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中代의 동아시아 政策과 對應 = The East-asian Policy and Actions of Middle Age of the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0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cies and actions of the Silla's Middle East Asian count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The first is the period between the Munmu Kingdom and the Hyoso Kingdom, before King Seongdeok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second is the ...

      The policies and actions of the Silla's Middle East Asian count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The first is the period between the Munmu Kingdom and the Hyoso Kingdom, before King Seongdeok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second is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Gyeongdeok Kingdom after King Seongdeok succeeded to the throne. Finally, it was the period from the mid-Gyeongdeok Dynasty to the time before King Wonseong, when the late period of Silla Dynasty began. Such timing distinctions are useful framework to explain the East Asian policy of middle period of Silla. This is because diplomatic policy of middle Silla period was closely linked to events that occurred in East Asia at that time.
      The East Asian policy, which was promoted during the middle of the Silla period and Tang dynasty, maintained as a diplomatic relationship. After the Ahn-sa’s Rebellion, the confrontation and tension between Balhae and Silla 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Tang dynasty showed great dignity in the west, but it gradually weakened with changes in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and Silla changed from confrontation to exchange, but political confrontations were also existed. Japan tried to pursue an independent world beyond the order of East Asia. They could move away from Silla's interest, but still remained as a subject of commercial exchan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신라 중대의 동아시아 정책과 대응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서술한 결과를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덕왕 이전의 시기에 대외정책은, 특히 당에 대한 정책은 소극적이...

      이 글은 신라 중대의 동아시아 정책과 대응에 대하여 서술한 것이다. 서술한 결과를 정리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성덕왕 이전의 시기에 대외정책은, 특히 당에 대한 정책은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자세로 일관하였다. 신라는 당의 재침을 두려워하였으며 사신을 파견하는 것에 매우 신중한 입장을 취하였다. 반대로 신라의 일본에 대한 정책은 적극적이고 개방적이었다. 이는 후방 세력을 포섭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일본 또한 당의 침공을 두려워하여 신라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 것을 적절하게 이용하였다.
      둘째로 성덕왕이 왕위를 계승한 이후 당과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정책을 취하였는데 이는 효소왕 재위 말기에 등장한 발해가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발해의 당 등주 침입으로 말미암아 신라는 군대를 파견하였고 그 결과 당으로부터 패강 이남의 땅을 확실하게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발해와는 적대적인 관계로 변화하였음은 이를 나위가 없다. 이와 같은 친당 및 반발해 정책은 당에서 안사의 난이 일어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이 시기 신라의 대일정책도 당과 발해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신라는 당을 등에 업고 있었기에 일본에 대하여 군자국의 위상을 드러냈고 그것을 수용하지 못한 일본은 신라와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로 경덕왕대 중반기에 당에서 발생한 안사의 난으로 말미암아 신라는 당의 상황을 예의 주시하는 한편 발해와는 교류를 가지는 정책을 취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발해가 일본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게 되자 신라는 일본과는 더욱 멀어지는 상황이 되었고 그에 대한 특별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
      신라 중대 시기에 추진된 동아시아 정책은 큰 틀에서 보면 당과 조공책봉을 통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발해와는 대립과 긴장 관계를 지속하다가 안사의 난 이후에는 교류를 하는 관계로 바뀌었다.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당나라와 발해로 말미암아 점차 불편한 관계가 되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해서 볼 때 서쪽에는 당이 위용을 과시하였지만 시간의 변화와 더불어 점차 약화되었고 발해와 대립에서 교류 관계로 바뀌었으나 이후 정치적인 대립도 없지 않았다. 일본은 당에 사신을 파견하면서 동아시아의 질서를 벗어난 독자적인 세계를 추구하고자 하였기에 신라의 관심에서 점차 멀어질 수밖에 없었으나 상업적인 교류의 대상국으로서의 위치는 여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현, "효소왕대 귀족세력과 왕권" 14 : 1996

      2 송기호, "한국상고사" 민음사 1989

      3 권덕영,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4 구난희, "일본의 신라침공계획 추진 의도" 2 : 1998

      5 박해현, "신라중대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6 박해현, "신라중대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7 이천우, "신라 효소왕대의 정국 운영과 성덕왕의 즉위 과정 - 김순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65) : 1-27, 2017

      8 金壽泰, "신라 효소왕대 진골 귀족의 동향" 24 : 1991

      9 조범환, "신라 중대 聖德王의 왕위 계승 再考-『三國遺事』의 五臺山事蹟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3) : 87-119, 2015

      10 박남수, "신라 浿江鎭典의 정비와 漢州 西北境의 郡縣 설치"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4) : 37-87, 2013

      1 박해현, "효소왕대 귀족세력과 왕권" 14 : 1996

      2 송기호, "한국상고사" 민음사 1989

      3 권덕영,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4 구난희, "일본의 신라침공계획 추진 의도" 2 : 1998

      5 박해현, "신라중대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6 박해현, "신라중대정치사연구" 국학자료원 2003

      7 이천우, "신라 효소왕대의 정국 운영과 성덕왕의 즉위 과정 - 김순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65) : 1-27, 2017

      8 金壽泰, "신라 효소왕대 진골 귀족의 동향" 24 : 1991

      9 조범환, "신라 중대 聖德王의 왕위 계승 再考-『三國遺事』의 五臺山事蹟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3) : 87-119, 2015

      10 박남수, "신라 浿江鎭典의 정비와 漢州 西北境의 郡縣 설치"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4) : 37-87, 2013

      11 김은국, "새롭게 본 발해사" 고구려연구재단 2005

      12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13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14 이성시,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청년사 1997

      15 송기호, "남북국의 전쟁, 경쟁과 교류, 고대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2018

      16 노태돈, "고대동아시아 재편과 한일관계" 景仁文化社 2010

      17 延敏洙, "강좌 한국고대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18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潮閣 1984

      19 조범환, "神穆太后 -新羅 中代 孝昭王代의 政治的 동향과 神穆太后의 攝政-" 인문과학연구소 (29) : 5-38, 2010

      20 김종복, "渤海의 건국과정에 대한 재고찰" 한국고대사학회 34 : 299-328, 2004

      21 한규철, "渤海의 對外關係史" 신서원 1994

      22 김종복, "渤海初期의 對外關係" 9 : 1996

      23 宋基豪, "東아시아 國際關係속의 渤海와 新羅" 5 : 1989

      24 浜田耕策, "朝鮮歴史論集" 上龍渓書舎 1979

      25 趙二玉, "新羅聖德王代對唐外交政策硏究" 19 : 1990

      26 趙二玉, "新羅景德王代對渤海交涉의 背景" 48 : 1997

      27 黃雲龍, "新羅太宗廟號의 紛糾始末" 17 : 1982

      28 浜田耕策, "新羅国史の研究" 吉川弘文館 2002

      29 浜田耕策, "新羅国史の研究" 吉川弘文館 2002

      30 金壽泰, "新羅中代政治史硏究" 一潮閣 1994

      31 沈京美, "新羅中代對日關係에 관한 硏究" 52 : 1999

      32 전덕재, "新羅 下代 浿江鎭의 設置와 그 性格" 대구사학회 113 : 29-66, 2013

      33 윤태양, "孝昭王代후기 정국과 699년 對唐사절의 의미" 2018

      34 송기호, "大祚榮의 出自와 발해의 건국 과정" 7 : 1991

      35 임대희, "唐高宗 統治後期의 政治와 人物" 한국중국학회 47 : 523-546, 2003

      36 권덕영, "古代韓中外交史" 一潮閣 1997

      37 서영교, "九誓幢완성 배경에 대한 新考察-羅唐戰爭의 餘震-" 18 : 2000

      38 古畑徹, "七世紀末から八世紀初にかけての新羅・唐關係-新羅外交史の一試論" 107 : 1983

      39 石井靖敏, "アジアのなかの日本史 Ⅱ" 東京大学出版 1992

      40 김은숙, "8세기의 新羅와 日本의 關係" 29 : 1991

      41 김종복, "8세기 초 발해․당의 긴장관계에 대한 신라의 외교전략-나당간의 국서를 중심으로-" 대구사학회 126 : 99-134, 2017

      42 김종복, "8세기 초 나당관계의 재개와 사신 파견 - 『삼국사기』 신라본기 기사의 오류 수정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26) : 1-40, 2016

      43 구난희, "8세기 동아시아역사상" 동북아역사재단 2011

      44 권덕영, "8,9세기 ‘君子國’에 온 唐나라 使節" 신라문화연구소 (25) : 93-120, 2005

      45 서보경,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의 신라와 일본 관계 -‘倭典의 別置’ 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32) : 7-31, 2007

      46 조이옥, "7세기 후반 신라의 대일외교와 大宰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283-310, 2017

      47 박남수, "752년 金泰廉의 對日交易과 「買新羅物解」의 香藥" 한국고대사학회 (55) : 341-39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