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0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는 7,932명의 한일부부자녀가 있고, 그 대부분은 한국의 일반 초중등 학교를 다닌다. 이러한 자녀들이배우는 부모의 모국어인 일본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75445
MATSUURA KEIKO (부산외국어대학교)
2024
Japanese
KCI등재
학술저널
21-3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0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는 7,932명의 한일부부자녀가 있고, 그 대부분은 한국의 일반 초중등 학교를 다닌다. 이러한 자녀들이배우는 부모의 모국어인 일본어를 ‘...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0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는 7,932명의 한일부부자녀가 있고, 그 대부분은 한국의 일반 초중등 학교를 다닌다. 이러한 자녀들이배우는 부모의 모국어인 일본어를 ‘계승어’라고 부른다. 본 연구는 ‘계승어’라는용어가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황에 대한 타당성과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에서어떤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산에서 활동하는 주로 한일부부 학부모로 구성된 ‘부산일본마을’ 그룹을 중심으로 부모의 모국어인 일본어를 배우는 아이들의 속성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계승어’라는 용어가 한국의 실제와 맞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 향후부모의 모국어로써 일본어를 배우는 자녀들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자녀에게 부모의 모국어로써의 일본어를 가르침으로 인한 어떤 인재로 육성될 지 논의가 필요하다. 그런 논의를 통해 한국에서 어떤 용어를 쓰는 것이 적당한지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in 2020, 7,932 children of Japanese-Korean couples live in Korea. The Japanese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of their parent(s) is called “Keishogo(Heritag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
According to the statistics in 2020, 7,932 children of Japanese-Korean couples live in Korea. The Japanese language as the mother tongue of their parent(s) is called “Keishogo(Heritag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term “Keishogo” which is used in Korea. Also, other terms used in the world and Korea are explored. Moreover, the Japanese-Korean couples’s children are not the only children learning “Keishogo” in Korea.
As a result, “Keishogo”is not very valid for the current situation since it contains pedigree. For further research, more details about the children should be explored and discuss the objectives of teaching “Keishogo”.
Through further discussion, more appropriate term will be decided.
우리 군(軍)과 다문화 -‘외면’과 ‘방치’의 중첩을 중심으로-
소비와 중국인의 공평의식에 대한 고찰 -중국 플랫폼 기업의 빅데이터 고객차별을 중심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한 다문화 동료상담자 양성과정 교육내용 연구
다문화 사회복지 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