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뮬레이션 학습을 위한 부정맥 응급관리 시나리오 개발 및 효과연구 = Development and Effect of Arrhythmia Emergency Management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6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부정맥 응급관리 시나리오를 개발한 후 시나리오가 대상군의 실습몰입,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판단력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부정맥 응급관리 시나리오를 개발한 후 시나리오가 대상군의 실습몰입,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판단력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99명이며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2018년 8월 27일부터 12월 16일까지 진행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부정맥 실습교육 전·후로 실습몰입, 임상수행능력, 임상판단력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부정맥 실습교육 후 간호대학생들의 실습몰입(t=-2.431, p=.016)과 임상수행능력(t=-2.082, p=.039), 임상판단력(t=-2.676, p=.008)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에 시뮬레이션 기반 부정맥 응급관리 시나리오가 간호대학생의 실습몰입,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판단력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부정맥 질환을 적용한 시나리오 개발로 간호대학생의 심혈관계 실습 분야의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enarios on practice flow,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judgment after development of simulation -based arrhythmia emergency management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enarios on practice flow,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judgment after development of simulation -based arrhythmia emergency management scenario for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9 nursing students and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August 27 to December 16, 2019. Practice flow,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judgme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imulation-based arrhythmia trai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ractice flow(t=-2.431, p=.016), clinical performance ability(t=-2.082, p=.039) and clinical judgement(t=-2.676, p=.008)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simulation-based arrhythmia training.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imulation-based arrhythmia emergency management scenario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practice flow,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judgment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scenarios applying various arrhythmia diseases will enable efficient training course of cardiovascular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하, "호흡기질환 환자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평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13-426, 2019

      2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인증기준 및 핸드북"

      3 서은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속적 간호실습교육 모듈개발" 10 (10): 24-31, 2013

      4 신승화,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819-5826, 2013

      5 유지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실습몰입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변혜선,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61-273, 2014

      7 채명옥,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832-6838, 2015

      8 이정미,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50-861, 2014

      9 신현숙, "고위험 신생아 무호흡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평가" 한국아동간호학회 21 (21): 98-106, 2015

      10 한주랑, "간호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공유리더십이 팀성과 및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신뢰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03-311, 2016

      1 최윤하, "호흡기질환 환자 간호를 위한 시뮬레이션 설계 및 평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413-426, 2019

      2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인증기준 및 핸드북"

      3 서은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속적 간호실습교육 모듈개발" 10 (10): 24-31, 2013

      4 신승화,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819-5826, 2013

      5 유지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실습몰입과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6 변혜선,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261-273, 2014

      7 채명옥,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메타인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6832-6838, 2015

      8 이정미,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50-861, 2014

      9 신현숙, "고위험 신생아 무호흡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평가" 한국아동간호학회 21 (21): 98-106, 2015

      10 한주랑, "간호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공유리더십이 팀성과 및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팀신뢰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03-311, 2016

      11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5

      12 정효주,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의 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127-143, 2015

      13 정명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임상실습 교수 효율성과 임상실습 적절성"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550-560, 2015

      14 한주랑,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메타인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75-383, 2017

      15 임경춘,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실습 기반 임상판단력과 흡인간호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330-340, 2017

      16 임경자,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03-213, 2018

      17 김경아, "가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급성 심장질환자 간호 적용"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6 (6): 1-13, 2018

      18 Cant, R. P., "The value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pre-licensure nurse education : a state-of-the-art review and meta-analysis" 27 : 45-62, 2017

      19 Bazrafkan, L., "The effect of cardiac arrhythmias simulation software on the nueses’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6 (6): 86-91, 2018

      20 Mueller, M. P., "Teaching antiarrhythmic therapy and ECG in simulator-based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95 (95): 300-304, 2005

      21 AL Sabei, S. D., "Simulation debriefing for clinical judgement development : a concept analysis" 45 : 42-47, 2016

      22 박민정, "PBL 연계 투약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21-231, 2018

      23 Williams, K., "Mock code: a code blue scenario requested by and developed for registered nurses" 8 (8): e938-e946, 2016

      24 Issenberg, S. B., "Features and uses of high-fidelity medical simulations that lead to effective learning : a BEME systematic review" 27 : 10-28, 2005

      25 Sterner, A., "Factors developing nursing students and novice nurses’ ability to provide care in acute situations" 35 : 135-140, 2019

      26 Tubaishat, A., "Effwct of cardiac arrhythmia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cquisition" 37 (37): 1160-1174, 2015

      27 Cerra, C. L.,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 based on life-threatening clinical condition scenarios on learning outcomes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nursing stud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 : 1-9, 2018

      28 Kim, J. H.,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depending on fidelity; a meta-analysis" 16 (16): 1-8, 2016

      29 Lasater, K., "Clinical judgement development :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46 : 496-503, 2007

      30 Cutugno, C. L., "Atrial fibrillation; updated management guidelines and nursing implications" 115 (115): 26-38, 2015

      31 Warren, J. 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nurse practitioner programs" 46 : 99-108, 2016

      32 Jeffries, P. R., "A frame work for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26 (26): 96-103, 2005

      33 January, C. T., "2014 AHA/ACC/HR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Heart Rhythm Society" 130 (130): e199-e26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