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대학교육관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170107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 2013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0.1 판사항(6)

      • DDC

        37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ii, 47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상섭
        참고문헌: 장 43-4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 A.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f Higher Education


      Chang-Jun L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ang-Sup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n higher education. This trial is to find out the basic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of modern and post-modern based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Humboldt and Lyotard provided a new paradigm on higher education of each era. They made possible more sophisticated philosophical approaches on this point to the higher education. So I researched directing point of higher education and foundation of educational human character.
      In this study, first and foremost, I researched into ‘The directing point of Berlin Un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structure’. Humbolt’s university which became the matrix of these days university has an universal and total educational directing point. Such Humboldt’s position is based on the universal cognition on the knowledges and human beings. And in accordance with such Humboldt’s ideas, university has to be a field of purely academic research, namely ‘a field of Bildung’ which can build up a character. Finally, modern university has a directing point to complete a fundamental(universal) human character by education.
      Directing point and structure of modern university, in postmodern, is more and more loosing attraction. For justification of basic discussions on the universality of knowledges and human beings became more difficult in postmodern. In this point, Lyotard try to expla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game. Lyotard alleged that performance as the way of justificat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at postmodern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Lyotard’s idea, postmodern university is trying to make outstanding person equipped with maximal performance. Namely, Lyotard make a capacity obtained by language game the purpose of education.
      Humboldt and Lyotard have a different cognitive foundation on higher edu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Humboldt and Lyotard manifest ‘differences on the structure of education’. Because contents which Humboldt and Lyotard trying to convey by higher education commonly pursuing universality. To conclude, although Humboldt and Lyotard started from a different cognition, higher education has a possibility of universal cognition.
      번역하기

      M. A.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f Higher Education Chang-Jun L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ang-Sup Ph. D.) Abstract The purp...


      M. A.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f Higher Education


      Chang-Jun L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ang-Sup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on higher education. This trial is to find out the basic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of modern and post-modern based on Humboldt’s and Lyotard’s ideas. Humboldt and Lyotard provided a new paradigm on higher education of each era. They made possible more sophisticated philosophical approaches on this point to the higher education. So I researched directing point of higher education and foundation of educational human character.
      In this study, first and foremost, I researched into ‘The directing point of Berlin University’ and ‘The foundation of higher education structure’. Humbolt’s university which became the matrix of these days university has an universal and total educational directing point. Such Humboldt’s position is based on the universal cognition on the knowledges and human beings. And in accordance with such Humboldt’s ideas, university has to be a field of purely academic research, namely ‘a field of Bildung’ which can build up a character. Finally, modern university has a directing point to complete a fundamental(universal) human character by education.
      Directing point and structure of modern university, in postmodern, is more and more loosing attraction. For justification of basic discussions on the universality of knowledges and human beings became more difficult in postmodern. In this point, Lyotard try to expla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game. Lyotard alleged that performance as the way of justificat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at postmodern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Lyotard’s idea, postmodern university is trying to make outstanding person equipped with maximal performance. Namely, Lyotard make a capacity obtained by language game the purpose of education.
      Humboldt and Lyotard have a different cognitive foundation on higher edu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Humboldt and Lyotard manifest ‘differences on the structure of education’. Because contents which Humboldt and Lyotard trying to convey by higher education commonly pursuing universality. To conclude, although Humboldt and Lyotard started from a different cognition, higher education has a possibility of universal cogn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대학교육관을 비교하는 것에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근본적인 토대를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각 시대의 대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학자이다. 이점에서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철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본 연구자는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각각의 대학교육의 지향점과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토대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먼저 ‘베를린대학의 지향점’과 ‘대학교육 구조의 토대’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대학교육의 모태가 된 훔볼트의 대학은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적 지향점을 가진다. 이러한 훔볼트의 입장은 지식과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은 인격도야를 가능하게 하는 순수학문 탐구의 장, 즉 ‘빌둥(Bildung)의 장’이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근대적 대학은 근원적인(보편적인) 인간성을 교육을 통해 완성하려는 지향점을 가진다.
      포스트모던에 와서 근대적 대학의 지향점과 구조는 매력을 잃어간다. 지식과 인간에 보편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의 정당화가 포스트모던에서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을 통해서 대학교육을 설명하고자 한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던의 대학에서 교육과 지식의 정당화 방식을 ‘수행성’으로 본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의 대학은 최대의 수행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에서 획득되는 역량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대학교육에 다른 인식적 토대를 가진다. 하지만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인식적 차이가 ‘교육의 구조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기는 어렵다. 즉,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전체성과 언어게임이라는 형태로 학문을 규정하고 있지만, ‘지식의 보편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가 대학교육을 통해 전달하는 내용 속에는 동일하게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서로 다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은 보편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대학교육관을 비교하는 것에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근본적인 토대를 찾고자 하는 ...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대학교육관을 비교하는 것에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근본적인 토대를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각 시대의 대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학자이다. 이점에서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철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본 연구자는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관점을 통해서 각각의 대학교육의 지향점과 교육적 인간상에 대한 토대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먼저 ‘베를린대학의 지향점’과 ‘대학교육 구조의 토대’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대학교육의 모태가 된 훔볼트의 대학은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적 지향점을 가진다. 이러한 훔볼트의 입장은 지식과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은 인격도야를 가능하게 하는 순수학문 탐구의 장, 즉 ‘빌둥(Bildung)의 장’이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근대적 대학은 근원적인(보편적인) 인간성을 교육을 통해 완성하려는 지향점을 가진다.
      포스트모던에 와서 근대적 대학의 지향점과 구조는 매력을 잃어간다. 지식과 인간에 보편성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의 정당화가 포스트모던에서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을 통해서 대학교육을 설명하고자 한다. 리오타르는 포스트모던의 대학에서 교육과 지식의 정당화 방식을 ‘수행성’으로 본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포스트모던의 대학은 최대의 수행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리오타르는 언어게임에서 획득되는 역량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는다.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대학교육에 다른 인식적 토대를 가진다. 하지만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인식적 차이가 ‘교육의 구조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하기는 어렵다. 즉,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전체성과 언어게임이라는 형태로 학문을 규정하고 있지만, ‘지식의 보편성’을 전달하고자 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훔볼트와 리오타르가 대학교육을 통해 전달하는 내용 속에는 동일하게 보편성을 추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훔볼트와 리오타르는 서로 다른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육은 보편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Ⅱ. 훔볼트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성격 4
      • 목 차
      • Ⅰ. 서론 1
      • Ⅱ. 훔볼트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성격 4
      • 1. 훔볼트의 교육철학 5
      • 가. 인간의 자유와 학문탐구 6
      • 나. 보편성 안에서 개별성 8
      • 다. 자유로운 상상력과 총체성 10
      • 2. 빌둥으로서 대학교육 12
      • 가. 훔볼트의 대학교육 : 빌둥 12
      • 나. 변화 속의 훔볼트의 대학교육 14
      • Ⅲ. 리오타르에 있어서 대학교육의 성격 15
      • 1.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 지식관 16
      • 가. 언어게임과 다양성 16
      • 나. 거대서사의 회의로부터 소서사 19
      • 2. 포스트모던적 지식의 위상과 대학교육 22
      • 가. 수행성을 지나 숭고로 23
      • 나. 불일치 속에서 대학교육 26
      • Ⅳ.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변화 27
      • 1. 훔볼트와 리오타르의 언어관 28
      • 가. 지식의 기초 28
      • 나. 언어관의 변화에 따른 지식의 구조 재해석 30
      • 2. 근대와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의 인간상 31
      • 가. 인간이해 32
      • 나. 대학교육에서 교육적 인간관 33
      • 3. 사회제도로서의 대학교육 35
      • 가. 사회 내에서 대학교육의 위상 36
      • 나. 근대와 포스트모던적인 대학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37
      • Ⅴ. 결론 49
      • 참고문헌 43
      • Abstract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