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는 예로부터 수로와 육로의 교통요충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해 온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농업생산력이 높은 지역이다. 본고는 나주지역에서 발달했던 누정문화에 대해 살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51427
2017
Korean
나주 ; 남평 ; 누정 ; 영산강 ; 강상수로 ; 관정(官亭) ; 사정(私亭) ; Naju-city ; Nampyung ; Nujeong ; Youngsan-river ; Waterway ; the nujeongs that exist now ; the nujeongs that don`t exist anymore
KCI등재
학술저널
123-155(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나주는 예로부터 수로와 육로의 교통요충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해 온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농업생산력이 높은 지역이다. 본고는 나주지역에서 발달했던 누정문화에 대해 살펴...
나주는 예로부터 수로와 육로의 교통요충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해 온 지역이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농업생산력이 높은 지역이다.
본고는 나주지역에서 발달했던 누정문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간 나주지역 누정에 대한 관심과 연구 성과가 없지 않았으나 아직은 기초자료 정리조차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남아있는 것도 관리소홀로 점차 사라져갈 위기에 처해 있고 이미 많은 누정이 오래전에 없어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관련 자료들을 취합해 나주지역 누정의 현황과 특징을 종합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현 행정구역내 나주지역 누정의 수는 현존 69개소, 부존 202개소, 총 271개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전에는 나주 관할이었다가 현재는 다른 지역으로 행정구역이 나누어진 광주 광산, 영암, 함평 등에 위치한 누정을 제외한 수 이다. 이들 중 건립연대나 건립주체를 파악할 수 있는 88개 누정의 현황과 특징을 시대별로 정리했다.
나주 누정의 건립 양상을 보면, 지역별로는 강상수로를 따라 중요 중심지였던 남평과 나주, 영산강변, 다시 지역 순으로 누정이 많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시대별로는 려말선초 시기, 조선중기 혼란시기, 일제국권피탈시기, 해방 이후 등 정치적 중요 변화의 시기에 다수 건립되는 특징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ju is located at an important traffic center by a cannal and overland route since ancient times. Also, Naju is rich in productivity of agriculture until now. This paper is about the culture of Naju nujeong. There has been Naju nujeong studies in th...
Naju is located at an important traffic center by a cannal and overland route since ancient times. Also, Naju is rich in productivity of agriculture until now.
This paper is about the culture of Naju nujeong. There has been Naju nujeong studies in the past. Those ones needed to dig more into Naju region culture, especially, about Naju nujeong but there wasn’t enough to dig into at that time. Naju nujeong is facing to be extinct, which means it is not in a good condition and many of those had long gone. That is why this paper intends to study more about Naju nujeong studies from the past and tries to gather up the threads. Based on the results, a number of Nujeong, which were established from the Koryo Dynasty to the 1980s and was built in Naju, are 271; extant nujeong 68, inexistent nujeong 203.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wo that were able to identify when it was built and who built it. Some area are excluded from the study. It is Gwangju gwangsan, youngam and hampyoung because they are no long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Naju.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Naju,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ites in the order of major sites. Nampyoung is the most, followed by naju center, youngsan riverside and dasi. This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It was built a lot during the period of rapid change.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용원, "樓亭을 매개로 한 鄕村 士族들의 結契와 運營 -高靈 碧松亭과 碧松亭儒契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20) : 205-245, 2011
2 우응순,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40) : 51-71, 2004
3 "樓亭題詠(국역)"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2002
4 정승진, "羅州 草洞洞契의 장기지속과 변화, 1601~2001" 대동문화연구원 (54) : 303-340, 2006
5 권수용, "화순 勿染亭과 적벽문화" 호남사학회 (44) : 133-163, 2011
6 "호남문화연구 14~16" 1985
7 "호남누정기초목록" 한국한문고전연구실 2015
8 김태웅, "해항도시 목포의 외래종교의 유입과토속화 과정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3) : 23-42, 2015
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10 박준규, "한국의 누정고"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17 : 1-27, 1987
1 오용원, "樓亭을 매개로 한 鄕村 士族들의 結契와 運營 -高靈 碧松亭과 碧松亭儒契를 중심으로-" 영남문화연구원 (20) : 205-245, 2011
2 우응순, "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40) : 51-71, 2004
3 "樓亭題詠(국역)"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 2002
4 정승진, "羅州 草洞洞契의 장기지속과 변화, 1601~2001" 대동문화연구원 (54) : 303-340, 2006
5 권수용, "화순 勿染亭과 적벽문화" 호남사학회 (44) : 133-163, 2011
6 "호남문화연구 14~16" 1985
7 "호남누정기초목록" 한국한문고전연구실 2015
8 김태웅, "해항도시 목포의 외래종교의 유입과토속화 과정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3) : 23-42, 2015
9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10 박준규, "한국의 누정고"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17 : 1-27, 1987
11 김은미, "조선초기 누정기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1
12 윤일이, "조선중기 호남사림의 누정건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55-162, 2006
13 윤일이, "조선중기 영?호남사림 누정건축의 유교적 토착화" 대한건축학회 23 (23): 153-160, 2007
14 김동수, "전남지방 누정 조사보고 2: 나주․화순지역"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15 : 63-79, 1985
15 김동수, "전남지방 누정 조사보고 1: 광주․광산․담양․장성지역" 전남대학교호남학연구원 14 : 37-79, 1985
16 김신중, "전남의 누정과 그 연구 동향" 택민국학연구원 (8) : 239-266, 2011
17 "전남담양-누정문학에 취하다"
18 천득염, "영산강 중류지방 누정건축 연구" 호남학연구원 (47) : 203-240, 2010
19 변남주,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민속원 2012
20 조태성, "영산강 권역의 누정문학 연구-누정문학 콘텐츠화를 위한 기초 조사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56) : 89-116, 2014
21 곽성기, "선비사상과 누정문화의 교육적 의미"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25-142, 2012
22 김희태, "무안 배뫼의 나주임씨와 식영정"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8 : 111-132, 2002
23 "마을유래사"
24 서영준, "누정미학산책" 2011
25 김지은,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에 의한 전통 누정(樓亭) 공간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3 (23): 325-334, 2010
26 권수용, "노사학파의 누정 건립활동 연구" 석당학술원 (49) : 207-238, 2011
27 조명환, "나주지역의 누정문학 연구" 국립목포대학교 2015
28 "나주의 누정문화"
29 "나주시문화유적"
30 권수용, "광주・전남의 근대 누정 연구" 민족문화연구소 (45) : 217-250, 2010
31 노재현, "공간구성의 특징과 문화적 정체성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37 (37): 96-107, 2012
32 허경진, "고려시대 송나라 사행해로(使行海路) 누정의 변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7-139, 2007
33 엄경흠, "麗末 明 使臣의 接賓과 詩" 한국중세사학회 (22) : 251-280, 2007
34 박진철, "韓末 羅州邑 鄕吏社會의 持續性과 變化" 대동문화연구원 (51) : 231-273, 2005
35 하원호, "韓末 榮山江流域과 木浦의 상품무역" 고려사학회 (23) : 237-267, 2006
36 박명희, "無等山圈 누정문학의 문화지도" 택민국학연구원 (16) : 237-274, 2015
37 박종우,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누정제영의 문학사적 의미 -호남지역 누정제영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2) : 255-284, 2008
출토 창의류의 형태적 특징과 구성에 관한 연구-전남지역 출토 창의류를 중심으로-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의 시기별 가락 변화 비교 연구 -1970년대와 1980년대 산조의 진양조 가락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4 | 1.02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