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0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심리적 요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 후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의 진로적응성(care...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심리적 요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 후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의 진로적응성(career adaptability)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단절여성 분포비율이 높은 시도를 선정한 후 해당 지역에 위치한 여성취업지원기관을 이용하는 구직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다중회귀분석귀분석과 일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진로발달에 있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상담에 있어서의 중요성이 도출되었다. 즉, 재취업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진로 관련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적관계망과 제도적관계망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롤모델 및 유사한 상황의 경력단절여성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집단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연구의 표집 대상은 다양한 지역, 연령, 과거 경력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부 시도의 여성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응답자의 자기보고방식에 의해 변수들을 측정함에 의한 한계가 있어 향후 다각도의 측정방법을 통해 심층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on career adaptability that is an at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on career adaptability that is an attitude and also an ability, with which women hoping to get a job again after career discontinuity should be equipped while interacting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career. To this end, this study revealed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adapt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by targeting those women hoping to get a job again among the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discontinuity due to pregnancy, childbirth, child-rearing and care of family members, etc. Through the results here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data to be used for career counselling and consultation in order to allow those career-interrupted women to successfully get a job and conduct their career development continuously in the rapidly changing job environment.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 was undertaken.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for 10 days with a total of 400 female job seekers who were using the career support center for women located in the nation's 7 major cities having a high degree of distribution for the career-interrupted women by using tiered cluster sampling method. In the end, a total of 359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for survey tool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four areas such a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utilized. As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un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uch as SPSS 21.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adaptability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birth region, degree of work support of a spouse (family member). It was found that those women living in the capital area with college degree or higher educational level who had a high degree of spouse (or family) support ha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was playing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such as problem-solving, goal setting and career adaptability. Thus, it was possible to deduct the implication that the career guidance by tak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to consider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career-interrupted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2.1. 여성의 진로발달
      • 2.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2.1. 여성의 진로발달
      • 2.2.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2.3. 사회적 지지
      • 2.4. 진로적응성
      • 2.5.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2.6. 사회적 지지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 2.7.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 Ⅲ. 연구방법
      • 3.1. 연구모형
      • 3.2. 연구대상
      • 3.3. 설문도구
      • Ⅳ. 연구결과
      • 4.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4.2. 가설검증
      • Ⅴ. 결론
      • 참고문헌(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