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번역과 국어 : 개념사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08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analyze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language experienced by the concepts of translation and national language intertwi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ideology of national langu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analyze historical changes in Korean language experienced by the concepts of translation and national language intertwin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ideology of national langu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For this purpose we decided to examine the terms as ‘Beonyeok’, ‘Gukeo’ and ‘Gukyeok’ in the corpus constituted by various dictionarie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newspapers and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in comparaision with Japanese counterparts. In fact, the concept of translation colored by the nationalism and the existence of a special word for translation in one’s own language are the shared characteristics of the notion of translation in Korea and Japan. During our research, we have arrived to find that the concept of a national language as the common noun, that is to say the language of a country or a nation is absorbed by the Korean word 'Beonyeok' while the concept of our own language or Korean language as a proper noun has been embodied by the Korean word 'Gukyeok' but that the ideology of national language is going to be removed from the translation concept in Korean since the 1990s. This is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ffecting nowadays the Korean society which enhanced this change to an opening on the other in the conceptualization of transl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연구동기 및 연구질문
      • 2. 한국어 번역(飜譯) 개념의 변천
      • 3. 국어(國語) 개념의 역사
      • 4. 국역(國譯)의 탄생과 변천
      • 1. 서론: 연구동기 및 연구질문
      • 2. 한국어 번역(飜譯) 개념의 변천
      • 3. 국어(國語) 개념의 역사
      • 4. 국역(國譯)의 탄생과 변천
      • 5. 결론을 대신하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희, "현대 이전의 ‘飜譯’과 ‘諺解’에 대한 몇 고찰. 한국어문학과 번역" 2013

      2 김혜정, "해방 직후 국어에 대한 인식 및 교과 형성 과정 연구" 국어교육학회 (18) : 129-168, 2003

      3 이영훈, "한국에서의 번역 개념의 역사" 통번역연구소 15 : 129-151, 2011

      4 "한국언론진흥재단 고신문 검색 서비스"

      5 "한국어 사전"

      6 이영훈, "한국어 번역 개념사의 명칭론적 접근: 조선왕조실록 탐구 (2)" 한국번역학회 13 (13): 167-203, 2012

      7 백두현,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26 : 1-16, 2004

      8 "한국사데이터베이스"

      9 "한국고전종합DB"

      10 한글학회, "큰사전" 한글학회 1957

      1 이현희, "현대 이전의 ‘飜譯’과 ‘諺解’에 대한 몇 고찰. 한국어문학과 번역" 2013

      2 김혜정, "해방 직후 국어에 대한 인식 및 교과 형성 과정 연구" 국어교육학회 (18) : 129-168, 2003

      3 이영훈, "한국에서의 번역 개념의 역사" 통번역연구소 15 : 129-151, 2011

      4 "한국언론진흥재단 고신문 검색 서비스"

      5 "한국어 사전"

      6 이영훈, "한국어 번역 개념사의 명칭론적 접근: 조선왕조실록 탐구 (2)" 한국번역학회 13 (13): 167-203, 2012

      7 백두현, "한국어 문자 명칭의 역사적 변천" 26 : 1-16, 2004

      8 "한국사데이터베이스"

      9 "한국고전종합DB"

      10 한글학회, "큰사전" 한글학회 1957

      11 서민정, "주변어로서 조선어, ‘국어’ 되기" 인문학연구소 65 : 7-31, 2009

      12 "조선왕조실록"

      13 김슬옹,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역락 2012

      14 백두현, "우리말[韓國語] 명칭의 역사적 변천과 민족어 의식의 발달" 언어과학회 1 (1): 115-140, 2004

      15 "연세 한국어 사전"

      16 박광현, "언어적 민족주의 형성에 관한 재고-'국문'과 '조선어'의 사이" 한국문학연구소 (23) : 247-262, 2000

      17 김병문, "언어적 근대의 기획 ― 주시경과 그의 시대" 소명출판 2013

      18 신기철, "새 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74

      19 이연숙, "번역과 근대국어의 탄생"

      20 전성기, "번역과 국어의 형성: 한국어의 경우" 한국불어불문학회 (50) : 287-314, 2002

      21 이연숙, "말이라는 환영(幻影) : 근대 일본의 언어 이데올로기" 심산 2012

      22 "다음 한국어사전(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3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상세검색"

      24 "네이버 국어사전"

      25 김민수,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26 최경봉,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58) : 231-269, 2012

      27 최화인, "근대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언어 내셔널리즘 ― 19세기 후반의 ‘國語國字’ 논쟁" 21 : 123-160, 2000

      28 이현희, "근대 한국어 시기의 언어관·문자관 연구" 소명출판 2014

      29 조태린, "근대 국어 의식 형성의 보편성과 특수성 - 언어와 국민 사이의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39) : 81-108, 2009

      30 이연숙, "국어라는 사상 : 근대 일본의 언어 인식" 소명출판 2006

      31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관 1961

      3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3 김슬옹, "고종의 국문에 관한 공문식 칙령 반포의 국어사적 의미" 33-54, 2006

      34 이승재, "고대의 ‘방언’과 그 유사 지칭어" 11 (11): 49-63, 2001

      35 조태린, "계급언어, 지역언어로서의 표준어" 26 : 74-87, 2004

      36 Gale J.S., "韓英字典" Kelly and Walsh 1897

      37 Gale J.S., "韓英字典" 耶蘇敎書會 1911

      38 Gale J.S., "韓英大字典" 朝鮮耶蘇敎書會 1931

      39 이연숙, "近代日本의 「國語」 개념의 성립" 19 : 101-117, 1987

      40 이병근, "近代國語學의 形成에 관련된 國語觀 - 大韓帝國 時期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2) : 1-33, 2003

      41 장윤희, "近代 移行期 韓國에서의 自國語 認識" 한국학연구소 (30) : 49-92, 2013

      42 "詞典"

      43 中村幸彦, "角川古語大辭典 第五卷" 角川學藝出版 2012

      44 Jones G.H., "英韓字典" 敎文館 1914

      45 "现代汉语词典"

      4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漢韓大辭典 1-16"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47 "漢典"

      48 문세영, "朝鮮語辭典" 博文書館 1938

      49 朝鮮總督府, "朝鮮語辭典" 大和印刷 1920

      50 김동성, "最新 鮮英辭典" 博文書館 1928

      51 김상원, "晩淸 時期 ‘國語’ 企劃과 新文化運動" 중국어문학연구회 (40) : 245-266, 2006

      52 室町時代語辭典編修委員會, "時代別 國語大辭典 : 室町時代編 五" 三省堂 2001

      53 梅棹忠夫, "日本語大辞典" 講談社 1989

      54 日本大辭典刊行會, "日本国語大辞典 第八卷" 小学館 1972

      55 長沼美香子, "日本における「飜譯」の誕生" 4 : 1-18, 2010

      56 新村出, "広辞苑" 岩波書店 1955

      57 金田一春彦, "学研国語大辞典" 学習研究社 1978

      58 小學館大辭泉編集部, "大辞泉" 小学館 1995

      59 松村明, "大辞林" 三省堂 1988

      60 大槻文彦, "大言海" 冨山房 1932

      61 諸橋轍次, "大漢和辞典 全15巻" 大修館書店 2001

      62 松井簡治, "大日本国語辞典" 冨山房;金港堂 1915

      63 황호덕, "國語와 朝鮮語 사이, 內鮮語의 존재론―일제말의 언어정치학, 현영섭과 김사량의 경우" 대동문화연구원 12 (12): 135-182, 2007

      64 "国語辞典"

      65 大野透, "「翻訳」考" 139 : 121-132, 1984

      66 이연숙, "「國語」以前의 日本語 ― 森有禮와 馬場辰猪 論" 24 : 79-100, 1990

      67 이상혁, "‘한국어’ 명칭의 위상 변천과 그 전망 -언어 환경 변화에 따른 ‘Korean language’ 명칭 변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6) : 165-188, 2009

      68 미쓰이다카시, "‘언어문제’에서 본 한국 근대사 -교육 정책과 언어운동의 측면에서-" 한국학연구소 (22) : 441-477, 2010

      69 조태린, "‘국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학회 (48) : 363-394, 2006

      70 정승철, "‘方言’의 개념사" 한국방언학회 (13) : 61-84, 2011

      71 Cheung, M., "‘To translate’ means ‘to exchang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earliest Chinese attempts to define translation (‘fanyi’)" 17 (17): 27-48, 2005

      72 Iwamoto N., "The Role of Language in Advancing Nationalism" Kanagawa University 38 : 91-113, 2005

      73 Wakabayashi, J., "The Oxford handbook of transla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3-36, 2011

      74 "Oxford English Dictionary"

      75 "Le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informatisé"

      76 Anderson B.,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Verso 2006

      77 Halverson, S., "Image Schemas, Metaphoric Processes, and the “Translate” Concept" 14 (14): 199-219, 1999

      78 Kobayashi K., "Hon’yaku and Translation" 37 : 22-, 2002

      79 Tymoczko, M., "Enlarging translation, Empowering translators" St. Jerome 2007

      80 Wakabayashi, J., "Decentering translation studies : India and beyond" John Benjamins 175-194, 2009

      81 "DUDEN online"

      82 Halverson, S., "Conceptual Work and the “Translation” Concept" 11 (11): 1-31, 1999

      83 Wakabayashi, J., "Asian Translation Traditions" St. Jerome 17-6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0.9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