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이 통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단 이후 한국은 북한 사회주의에 반해 자본주의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분단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은 25년 전 분단을 뛰어 넘은 독일을 조사· 분석하여 모델로 삼아야 한�...

      분단 이후 한국은 북한 사회주의에 반해 자본주의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발전해 왔다. 분단국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은 25년 전 분단을 뛰어 넘은 독일을 조사· 분석하여 모델로 삼아야 한다. 독일은 정치 외교적 화합과 주변국 도움으로 평화 통일을 이루었다. 한국은 평화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통일 경험을 토대로 해야 한 다는 점이 이 논문의 관점이다. 분단을 극복하는 길은 여러 가지 있겠으나, 동일문 화권의 두 체제는, 동질성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교류가 중요하다. 한국은 분단극 복을 위한 통합과 협력의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한국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화예술분야 정책을 연구하여 한국 환경에 적합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한국은 정치외교, 안보, 경제발전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화예술을 통한 동질성회복을 통해 남북이 화합할 수 있는 융합정책을 찾 아야 한다. 이러한 사례가 개성공단 조성과 북한관광지 개방이며, 이 과정을 통해 북한 주민의 생활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결국 남북한 격차를 좁히는 일에 남한의 주도적 지원으로, 디오니소스적 비전이 요구된다. 또한 유엔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인권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 스스로 일어서게 할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탈북 주민들이 평화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접근도 모색해야 한다. 끝으로 한국은 성숙한 외교정책으로 인접 국가들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내야 한다. 독일통일의 주역을 담당했던 헬무트 콜(Helmut Kohl) 전 총리는 구동독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만들어 준다.”고 했다. 이 약속을 25년 동안 지속적 으로 실천한 결과, 현재 구동독은 문화예술의 눈부신 발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바 로 이러한 문화예술의 발전 경험을 통일한국을 위해서는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결국 통일독일의 경험이 주는 시사점은 냉전체제에서 벗어나 한반 도 통일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에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25 years ago,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help from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Germany has become a role model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precedents. The following thesis asserts that both Koreas should take Germa...

      25 years ago, Germany achieve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help from their neighboring countries. Since the Germany has become a role model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precedents. The following thesis asserts that both Koreas should take Germany as a model to work towards their peaceful unification: thus in the present century of 21st, which we call it as an era of globalization, both Koreas should carefully and thoroughly scrutinize and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Germany. cultures and Arts in South Korea have evolved along with capitalism since the Korean War unlike the North. As two Koreas share same culture, enhancing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restoring culture homogeneity can be one way of over coming the divided nations. Cooperative policies in the field of cultures and Arts may even be more effective as an alternative road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e joint venture Kaese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Mountain Kumgang tour project are one of good examples of such an alternative policy. This was a case in which South Korea took a lead in supporting to improve their standards of living and to open North Korean tourism. Moreover South Korea should look for ways to approach North Korea's human rights issues through the United Nations (UN): in this way North Koreans can come to realization or movement on their own. At the same time South Korea should seek ways to work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making good use of defected North Koreans. Lastly, South Korea should gain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such an alternative North Korean policy from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more mature foreign policies. Helmut Kohl, a former prime minster of Germany, who took a major lead in German unification, once promised Eastern Germans blooming landscapes and a new Western-style life. Such promises have been kept for the past 25 years and is shown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cultures and Arts in former East Germany. Circumsta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may not be all that identical to that of East and West Germanys yet somethings can surely be studies and learned as prece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독일 제국, 분단 독일과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 III.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
      • IV. 통일 독일의 통합 과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독일 제국, 분단 독일과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 III. 통일 독일의 문화예술 정책
      • IV. 통일 독일의 통합 과정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추진방향" 2008

      2 매일경제 한류본색프로젝트팀, "한류본색" (주)M프린트 2012

      3 윤덕희, "통일문화형성의 방향과 실천과제" 31 (31): 1997

      4 임상오, "유럽의 예술가 지원정책과 시사점, 유럽문화콘텐츠 산업 환경과 유럽통합의 시사점" 2006

      5 김효정, "유럽의 문화예술정책과 창조성 연대와 관계망: 한국유럽학의 재조명" 15-21, 2013

      6 장홍,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이해" 도서출판 고원 2014

      7 이복남, "유럽문화건설과 EU문화정책" (11) : 91-, 2002

      8 중앙일보사,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1989

      9 노명환, "서양 현대사-제2차 세계대전에서 현재까지" 삼지원 1997

      10 김영윤, "사회적 시장경제와 독일통일 시사점한국과 독일관계의 재조명"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주한협력사무소 2000

      1 조성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추진방향" 2008

      2 매일경제 한류본색프로젝트팀, "한류본색" (주)M프린트 2012

      3 윤덕희, "통일문화형성의 방향과 실천과제" 31 (31): 1997

      4 임상오, "유럽의 예술가 지원정책과 시사점, 유럽문화콘텐츠 산업 환경과 유럽통합의 시사점" 2006

      5 김효정, "유럽의 문화예술정책과 창조성 연대와 관계망: 한국유럽학의 재조명" 15-21, 2013

      6 장홍,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이해" 도서출판 고원 2014

      7 이복남, "유럽문화건설과 EU문화정책" (11) : 91-, 2002

      8 중앙일보사,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1989

      9 노명환, "서양 현대사-제2차 세계대전에서 현재까지" 삼지원 1997

      10 김영윤, "사회적 시장경제와 독일통일 시사점한국과 독일관계의 재조명"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주한협력사무소 2000

      11 "박근혜정부‘통일준비위원회’놀라운 파워"

      12 김성곤, "문화와 제국주의" 도서출판 창 1995

      13 이미재, "마이스터의 나라 독일 - 바우하우스" 67-71, 2004

      14 피터 루딘스키, "디지털 기술시대의 예술행위, 창조적 인간 미래의 교육" 29-, 2010

      15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독의 경험을 바탕으로 되짚어 보는 정치, 역사, 경제적 의미와 한국을 위한 합의" 2014

      16 Andreas Hillgruber, "독일현대사 1945-1986" 까치글방 1971

      17 한종수, "독일연방주의와 시사점" (7) : 379-387, 1998

      18 조두환, "독일문화기행, 독일인의 법, 도덕과 인내심" 자연사랑 186-189, 2001

      19 이규영, "독일-분단을 넘어 초 일류로" 평화문제연구소 2011

      20 이서행, "남북한 통일문화 형성의 방향" 통일연구원 9 (9): 1-24, 2000

      21 유영옥, "남북한 이질성 극복을 위한 심리사회적 조망" 31 (31): 1997

      22 조혜정, "남북통일의 문화적 차원: 북조선과 남한의 문화적 동질성, 이질성논의와 민족주의,진보주의 담론, 통일사회로 가는 길" 도서출판 오름 29-68, 1996

      23 "나치의 미술품 약탈"

      24 홍면기, "광복 70주년 100년 국가전략을 세우자" 동아일보사 2014

      25 Dean Bakerw, "가장 최근의 미국사 1980-2011" 시대와창 2012

      26 Stern, "Zeitgeschichte - Berliner Mauer, Vor 50 Jahren erreichte die DDR das monstroese Bauwerk"

      27 Die Welt, "Wirreden ueber die Beutekunste"

      28 Dennis smith, "Whose Europe? the turn towards democracy" Blackwell Publishers 1999

      29 "The world in 2014"

      30 Spiegel., "Phantom Collector: The Mystery of the Munich Nazi Art Trove"

      31 "Park Keun Haue and Angela Merkel vow to work closely for Korean Unification Process"

      32 Günter Nelles., "Nelles Guide, Berlin mit Potsdam, Geschichte und Kultur" Nelles Verlag GmbH 15-28, 2001

      33 FAZ., "Im Ein Satz fuer die Kuenstler"

      34 "Holocaust-Erziehung"

      35 Peter Hintereder., "Facts about Germany" Societaets-Verlag 2005

      36 Ansbert Bauman., "Ein kritischer Zwischenruf zur deutsch-frazsoesichen Kulturpolitik"

      37 Deutsche Sportjugend., "D eutsch-Französisches Jugendwerk mit dem Diskus der Deutschen Sportjugend geehrt"

      38 Siegner Zeitung., "Buerger.“auf die Waagschale"

      39 정종욱, "5․24 제재조치 풀 수 있지만 북한 사과 선행돼야" 동아일보사 262-271, 2014

      40 Maria Diefenbach., "10 Jahre Raum der Stille im Brandenburger Tor in Berlin 1994-2014" Förderkreis Raum der Stille in Berlin e. V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 0.8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