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 :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02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1.06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injury :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 형태사항

        vii, 84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권경인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12-200000745545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감정표현불 능증과 경험회피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29세 초기 성인기 4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중복참여, 불성실한 응답, 연구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 자해 경험이 없는 대상, 자살 의도 가 있는 자해 경험자 83부를 제외한 총 335명의 자료를 SPSS 22.0와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경험, 감정표현불능증, 경험회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가 모두 정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감정표현불능증이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경험회피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만 19세~29세 초기 성인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고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초기 성인기 내담자의 경우,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 수준을 낮춤으로써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점차 낮출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실제 상담 장면에서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감정표현불 능증과 경험회피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29세 초기 성인기 4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감정표현불 능증과 경험회피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29세 초기 성인기 4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중복참여, 불성실한 응답, 연구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 자해 경험이 없는 대상, 자살 의도 가 있는 자해 경험자 83부를 제외한 총 335명의 자료를 SPSS 22.0와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학대 경험, 감정표현불능증, 경험회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가 모두 정적으로 유의했다. 둘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감정표현불능증이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경험회피가 두 변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만 19세~29세 초기 성인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비자살적 자해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고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초기 성인기 내담자의 경우,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 수준을 낮춤으로써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점차 낮출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실제 상담 장면에서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in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non-suicidal self-injur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57 early adulthood aged 19 to 29. Of these, a total of 33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2, excluding 83 copies of overlapping participation, unfaithful responses, subjects who did not fall under the study subjects,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of self-injury, and those who had suicidal inten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inability to alexithymia, experience avoidance, and non-suicidal self-injury was all sta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injury, it was found that alexithymi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early adulthood between the ages of 19 and 29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leading to experiential avoidance. In particular, for early adult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attempt non-suicidal self-injury,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reduce the frequency of non-suicidal self-injury by lowering the level of inability to express emotions and experience avo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in the actual counseling scene,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in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non-suicidal self-injur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57 early adulthood aged 19 to 29. Of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in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non-suicidal self-injur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57 early adulthood aged 19 to 29. Of these, a total of 335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2, excluding 83 copies of overlapping participation, unfaithful responses, subjects who did not fall under the study subjects,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of self-injury, and those who had suicidal inten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inability to alexithymia, experience avoidance, and non-suicidal self-injury was all sta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injury, it was found that alexithymi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found that experience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lexithymia and experience avoid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 early adulthood between the ages of 19 and 29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leading to experiential avoidance. In particular, for early adult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attempt non-suicidal self-injury,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reduce the frequency of non-suicidal self-injury by lowering the level of inability to express emotions and experience avo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in the actual counseling scene,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비자살적 자해 9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비자살적 자해 9
      • 2. 경험회피 11
      • (1) 경험회피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13
      • 3. 감정표현불능증 15
      • (1) 감정표현불능증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 17
      • (2)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간의 관계 17
      • 4. 정서적 학대 경험 19
      • (1)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간의 관계 20
      • (2) 정서적 학대 경험과 감정표현불능증간의 관계 22
      • (3) 정서적 학대 경험과 경험회피간의 관계 23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대상 25
      • 2. 측정도구 27
      • 1) 정서적 학대 경험 척도 27
      • 2)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 척도 28
      • 3) 경험적 회피 척도(K-MEAQ-24) 30
      • 4) 자해 기능 평가지(FASM) 31
      • 3. 자료분석 33
      • Ⅳ. 연구결과 34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4
      • 1) 비자살적 자해 기술통계 34
      • 2)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7
      • 3) 정서적 학대 경험, 감정표현불능증, 경험회피, 비자살적 자해의 상관관계 39
      • 2.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42
      • 3.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44
      • 4.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46
      • Ⅴ. 논의 48
      •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48
      •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6
      • 참고문헌 57
      • 부록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