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루터의 득의론 = (The) understanding of Luther's theory of just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27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루터의 득의론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해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그것은 먼저 루터가 의미한 바의 득의는 인간이 죄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은혜로 말미암아 의롭다고 인정하신다는 의미에서의 득의 즉 전가적 의미에서의 득의라는 것과 이러한 전가의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이 죄인을 실제로 의롭게 하신다는 사상이 함께 존재한다고 하는 주장이 그것들이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루터의 사상을 그리이스 정교회적인 관점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에 대한 상이한 해석 가운데서 본 논문은 루터의 득의론을 그의 신학 전반에 걸친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루터의 신학을 관통하는 한 축을 설정하였는데, 그것은 "십자가의 신학"으로 표현되는 루터의 십자가에 대한 고찰이었다. 그리고 루터 신학의 주제인 하나님과 인간은 득의론과의 관계에서 구원하시는 하나님과 타락한 인간이라는 구체적인 한정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방편이 되는 것은 은총과 신앙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모든 요소들이 십자가에서 종합되어 루터의 득의를 설명하게 된다고 본다. 루터에게서 십자가의 의미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십자가의 죽음에서 인간의 죄를 소멸하시며, 부활로 인해 새 피조물을 만드셨다는 사실에 의해 구체화된다. 따라서 득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러한 하나님의 계획에서 인간의 그리스도의 의에 힘입어 의롭다고 인정되는 한편 또 그 능력에 따라 새로운 피조물로서 실제로 의롭게 되는 것이다.
      또한 루터의 득의론을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두 종류의 의에 대한 루터의 구분을 득의의 두 부분으로 연결시켰다. 루터는 득의에 대해서 전가와 분여를 포함하여 논하는데, 이것은 득의의 두 부분에 루터 자신의 언급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은총과 은사에 대한 루터의 구분과 일치한다.
      의의 전가로서의 득의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선포해 주시는 죄 사면의 선포, 즉 인간의 죄악성에도 불구하고 의롭게 여겨주신다는 선언이다. 또한 루터가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소유한다고 선언하였던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의는 이제 은총에 의해서 인간 속으로 주입된다. 그 이유는 신자가 그리스도와 친교를 나누며 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역사로 의롭게 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신앙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신앙 안에서 자기의 것이 된 그리스도 곧 신앙을 통해 신자의 마음에 살아있는 그리스도만이 그의 의이다. 따라서 그 의는 여전히 낯선 것이다.
      그런데 거룩하게 되는 것이란 죄로부터 자신을 깨끗하게 하고 경건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믿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을 일으키는 데에 복음이 있다. 성서는 그것을 사랑하는 자를 그 능력으로 자기에게로 변화시킨다고 루터는 말한다. 그리고 그는 말씀과 성령의 역할을 연결시키는데, 성령은 성서의 말씀 속에 나다난 하나님의 창조적 임재로서 신앙과 새로운 실존을 실현시킨다. 성령은 복음의 지리를 인간에게 확신시키는 역할만이 아니라 인간을 거룩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것 즉 그리스도의 거룩함이 분여의 측면이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는 신앙에 그리고 그리스도에 의존하는 전가이며 신생으로 따라서 득의된 인간은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공식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득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의해서 루터의 이 공식은 전통적인 해석보다 더 넓은 의미로 확대될 수 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갖는 전체성 속에서 그것은 죄인으로서의 인간과 그러한 인간을 의인으로 여기신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의 완전하심에 의한 인간의 새 창조의 완전함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언제나 낯선 것으로서의 득의라는 사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새 창조물로서의 인간은 계속해서 진보해야 하며, 그것은 운동성으로 해석되는 부분성이다. 그리고 루터의 이와 같은 전체성과 부분성이라는 특징은 종말론적인 전망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 그러므로 새 피조물인 그리스도인은 단지 그 자신이 의롭지 않음을 알아갈 뿐이다. 이러한 이해는 율법과의 관계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새로운 자유를 부여하였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자신을 통해 선행을 하시지 않더라도 혼란되지 않는 자유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창조적인 사랑에 대해 순종하는 자유로, 그리스도가 인간에게 하셨던 것처럼 그의 이웃을 위해 그의 원함 속에서 봉사할 수 있는 자유이다.
      번역하기

      루터의 득의론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해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그것은 먼저 루터가 의미한 바의 득의는 인간이 죄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은혜로 말미암아 의...

      루터의 득의론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해석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그것은 먼저 루터가 의미한 바의 득의는 인간이 죄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그의 은혜로 말미암아 의롭다고 인정하신다는 의미에서의 득의 즉 전가적 의미에서의 득의라는 것과 이러한 전가의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이 죄인을 실제로 의롭게 하신다는 사상이 함께 존재한다고 하는 주장이 그것들이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루터의 사상을 그리이스 정교회적인 관점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에 대한 상이한 해석 가운데서 본 논문은 루터의 득의론을 그의 신학 전반에 걸친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루터의 신학을 관통하는 한 축을 설정하였는데, 그것은 "십자가의 신학"으로 표현되는 루터의 십자가에 대한 고찰이었다. 그리고 루터 신학의 주제인 하나님과 인간은 득의론과의 관계에서 구원하시는 하나님과 타락한 인간이라는 구체적인 한정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하나님과 인간을 이어주는 방편이 되는 것은 은총과 신앙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모든 요소들이 십자가에서 종합되어 루터의 득의를 설명하게 된다고 본다. 루터에게서 십자가의 의미는 하나님의 사랑과 능력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십자가의 죽음에서 인간의 죄를 소멸하시며, 부활로 인해 새 피조물을 만드셨다는 사실에 의해 구체화된다. 따라서 득의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러한 하나님의 계획에서 인간의 그리스도의 의에 힘입어 의롭다고 인정되는 한편 또 그 능력에 따라 새로운 피조물로서 실제로 의롭게 되는 것이다.
      또한 루터의 득의론을 파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두 종류의 의에 대한 루터의 구분을 득의의 두 부분으로 연결시켰다. 루터는 득의에 대해서 전가와 분여를 포함하여 논하는데, 이것은 득의의 두 부분에 루터 자신의 언급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또한 은총과 은사에 대한 루터의 구분과 일치한다.
      의의 전가로서의 득의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선포해 주시는 죄 사면의 선포, 즉 인간의 죄악성에도 불구하고 의롭게 여겨주신다는 선언이다. 또한 루터가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소유한다고 선언하였던 바와 같이 그리스도의 의는 이제 은총에 의해서 인간 속으로 주입된다. 그 이유는 신자가 그리스도와 친교를 나누며 살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역사로 의롭게 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신앙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신앙 안에서 자기의 것이 된 그리스도 곧 신앙을 통해 신자의 마음에 살아있는 그리스도만이 그의 의이다. 따라서 그 의는 여전히 낯선 것이다.
      그런데 거룩하게 되는 것이란 죄로부터 자신을 깨끗하게 하고 경건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믿는 것이다. 이러한 사건을 일으키는 데에 복음이 있다. 성서는 그것을 사랑하는 자를 그 능력으로 자기에게로 변화시킨다고 루터는 말한다. 그리고 그는 말씀과 성령의 역할을 연결시키는데, 성령은 성서의 말씀 속에 나다난 하나님의 창조적 임재로서 신앙과 새로운 실존을 실현시킨다. 성령은 복음의 지리를 인간에게 확신시키는 역할만이 아니라 인간을 거룩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것 즉 그리스도의 거룩함이 분여의 측면이다.
      이러한 루터의 득의는 신앙에 그리고 그리스도에 의존하는 전가이며 신생으로 따라서 득의된 인간은 의인이며 동시에 죄인이라는 공식으로 설명된다. 그런데 득의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의해서 루터의 이 공식은 전통적인 해석보다 더 넓은 의미로 확대될 수 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갖는 전체성 속에서 그것은 죄인으로서의 인간과 그러한 인간을 의인으로 여기신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나님의 완전하심에 의한 인간의 새 창조의 완전함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은 언제나 낯선 것으로서의 득의라는 사실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새 창조물로서의 인간은 계속해서 진보해야 하며, 그것은 운동성으로 해석되는 부분성이다. 그리고 루터의 이와 같은 전체성과 부분성이라는 특징은 종말론적인 전망 가운데 이루어진 것으로 , 그러므로 새 피조물인 그리스도인은 단지 그 자신이 의롭지 않음을 알아갈 뿐이다. 이러한 이해는 율법과의 관계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새로운 자유를 부여하였는데, 그것은 하나님이 자신을 통해 선행을 하시지 않더라도 혼란되지 않는 자유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창조적인 사랑에 대해 순종하는 자유로, 그리스도가 인간에게 하셨던 것처럼 그의 이웃을 위해 그의 원함 속에서 봉사할 수 있는 자유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Luther's Theory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Justification of Imputation which means that God accepts the righteousness with his Grace even though men are sinful being. The other way of study is that God actually makes men righteous as well as he takes men as righteousness being. Currently, in addition to these ideas, there are some other efforts to interpret Luther's Idea as the view point of Greek orthodox chu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Luther's Justification with his theoretical ideas relating to his thoughts of other themes. For this purpose, one axis was established is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Cross expressed "Theology of the Cross". In Luther's theology God and man are the two subjects have a specific and limited relationship that is God who save and Man who was fallen under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The ways to connect God and men are Grace and Faith. Thus, this point of this study is to explain Luther's Justification with the Cross. The meanings of the cross to Luther are the love and abilities of God. This meanings are realized by the fact that men were saved by the god's death on the cross and became new creatures by his resurrection. So, in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men are thought being righteous with Christ and also men became righteous as new creatures with his abilities.
      So this study related Luther's category of two kinds of righteousness to two part of Luther's Justification. Luther explained Justification including Imputation and Impartation. This agrees with Luther's distinction of Grace and Gift.
      Being holy is not from self-discipline or piety but from belief. And The Bible cause this event. Luther said that "Bible changes those who love bible". He also connected the roles of Bible and Holy Spirit and Holy Spirit realize faith and new Being as the God's creature in the Bible. Holy Spirit not only confirm the truth of evangelism but also make men holy. The holiness of Christ is an aspect of impartation.
      Luther's Justification is depending upon faith and Christ so that justified men are simul iustus et peccator. However, this Luther‘s formula can be extended more than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The more broadened understanding is that God takes men as righteous being in the wholeness of the relationship of God and men, and he makes new creatures with his perfection. However, men as new creatures have to keep advancing because the Justification is always alian. This means this formula is interpreted as the partialness in movement. A characteristic of Luther's Formula of wholeness and partialness is due to eschatologic prospect so that christian who are new creatures only know that they are not righteous. This understand gave a new freedom to christians in Law. That is not a confusing freedom even though God doesn't make man do goods, but an obedient freedom to God's creative love and serving freedom for neighbor like Christ did to men.
      번역하기

      The study of Luther's Theory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Justification of Imputation which means that God accepts the righteousness with his Grace even though men are sinful being. The other way of study is that God actuall...

      The study of Luther's Theory of Jus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two ways. One is Justification of Imputation which means that God accepts the righteousness with his Grace even though men are sinful being. The other way of study is that God actually makes men righteous as well as he takes men as righteousness being. Currently, in addition to these ideas, there are some other efforts to interpret Luther's Idea as the view point of Greek orthodox church.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Luther's Justification with his theoretical ideas relating to his thoughts of other themes. For this purpose, one axis was established is Luther's understanding of the Cross expressed "Theology of the Cross". In Luther's theology God and man are the two subjects have a specific and limited relationship that is God who save and Man who was fallen under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The ways to connect God and men are Grace and Faith. Thus, this point of this study is to explain Luther's Justification with the Cross. The meanings of the cross to Luther are the love and abilities of God. This meanings are realized by the fact that men were saved by the god's death on the cross and became new creatures by his resurrection. So, in the view point of Justification, men are thought being righteous with Christ and also men became righteous as new creatures with his abilities.
      So this study related Luther's category of two kinds of righteousness to two part of Luther's Justification. Luther explained Justification including Imputation and Impartation. This agrees with Luther's distinction of Grace and Gift.
      Being holy is not from self-discipline or piety but from belief. And The Bible cause this event. Luther said that "Bible changes those who love bible". He also connected the roles of Bible and Holy Spirit and Holy Spirit realize faith and new Being as the God's creature in the Bible. Holy Spirit not only confirm the truth of evangelism but also make men holy. The holiness of Christ is an aspect of impartation.
      Luther's Justification is depending upon faith and Christ so that justified men are simul iustus et peccator. However, this Luther‘s formula can be extended more than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The more broadened understanding is that God takes men as righteous being in the wholeness of the relationship of God and men, and he makes new creatures with his perfection. However, men as new creatures have to keep advancing because the Justification is always alian. This means this formula is interpreted as the partialness in movement. A characteristic of Luther's Formula of wholeness and partialness is due to eschatologic prospect so that christian who are new creatures only know that they are not righteous. This understand gave a new freedom to christians in Law. That is not a confusing freedom even though God doesn't make man do goods, but an obedient freedom to God's creative love and serving freedom for neighbor like Christ did to 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약어표 = v
      • 국문요약 = vii
      • 제1장 서론
      • 1.1. 논쟁사 = 1
      • 1.1.1. 루터의 득의론에 대한 두 가지 해석 = 1
      • 약어표 = v
      • 국문요약 = vii
      • 제1장 서론
      • 1.1. 논쟁사 = 1
      • 1.1.1. 루터의 득의론에 대한 두 가지 해석 = 1
      • 1.1.2. 핀란드 학파의 새로운 해석 = 7
      • 1.2.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 9
      • 1.3. “Justification"에 대한 해석들 = 15
      • 1.3.1. 카톨릭에서의 해석 = 15
      • 1.3.2. 루터교회의 해석 = 17
      • 1.3.3. 칼빈주의 교회의 해석 = 18
      • 제2장 루터의 사상적 배경
      • 2.1. 루터와 스콜라주의 = 20
      • 2.1.1. 스콜라주의의 구원론 = 20
      • 2.1.2. 스콜라주의와의 결별 = 26
      • 2.2. 루터와 어거스틴 = 30
      • 2.2.1. 어거스틴의 영향 = 30
      • 2.2.2. 어거스틴과 루터의 득의사상에 있어서의 차이점 = 33
      • 2.3. 루터와 인문주의 = 36
      • 2.3.1. 인문주의의 등장 = 36
      • 2.3.2. 루터와 인문주의의 관계 = 37
      • 2.4. 루터와 신비주의 = 38
      • 2.4.1. 루터와 신비주의의 관계 = 38
      • 2.4.2. 루터의 신비주의 비판 = 41
      • 제3장 루터 득의론의 두 가지 주제
      • 3.1. 구원하시는 하나님 = 45
      • 3.1.1. 하나님의 의 = 46
      • 3.1.1.1. 신앙의 의 = 46
      • 3.1.1.2. 외부로부터의 의 = 49
      • 3.1.1.3. 수동적인 의 = 51
      • 3.1.2. 하나님의 사역 = 53
      • 3.1.2.1. 하나님의 낯선 사역과 고유한 사역 = 53
      • 3.1.2.2. 계시된 하나님과 감추어진 하나님 = 57
      • 3.1.2.3. 루터의 삼위일체론 - 활동하시는 하나님 = 60
      • 3.1.3. Coram Deo = 63
      • 3.2. 타락한 인간 = 66
      • 3.2.1. 원죄와 득의의 전제로서의 절망 = 67
      • 3.2.2. 노예의지와 은혜의 수여 = 70
      • 3.2.3. 구원의 전체성(Totality) 속에서의 죄의 죽음 = 74
      • 제4장 득의의 방편 : 은총과 신앙
      • 4.1. 의롭게 하는 은총 = 77
      • 4.1.1. 스콜라주의와 대조되는 은총에의 준비 = 77
      • 4.1.2. 득의에 있어서의 은총의 역할 = 80
      • 4.1.3. 은총과 은사의 구분 = 83
      • 4.2. 득의를 가능케 하는 신앙 = 86
      • 4.2.1. 참된 신앙 = 87
      • 4.2.1.1. 선물로서의 신앙 = 87
      • 4.2.1.2. 참된 신앙의 중요성 = 90
      • 4.2.2. 신앙과 말씀의 관계 = 94
      • 4.2.2.1. 말씀에 대한 응답 = 94
      • 4.2.2.2. 개인적 경험으로서의 신앙 = 95
      • 4.2.3. 득의에 있어서의 신앙의 역할 = 99
      • 4.2.3.1. 그리스도를 붙잡음 = 99
      • 4.2.3.2. 신앙에 의한 의의 전달 = 102
      • 4.2.3.3. 신앙의 역동성에 의한 인간의 변화 = 106
      • 제5장 득의의 근거 : 그리스도의 십자가
      • 5.1. “십자가의 신학”에 대한 전이해 = 110
      • 5.1.1. 하이델베르크 논제의 구조 = 110
      • 5.1.2. "십자가의 신학”에 대한 바른 이해 = 113
      • 5.2. 십자가의 신학 = 114
      • 5.2.1. 두 종류의 신학 : 영광의 신학과 십자가의 신학 = 115
      • 5.2.2. 두 종류의 신학자 : 영광의 신학자와 십자가의 신학자 = 118
      • 5.2.3. 두 종류의 길 : 영광의 길과 십자가의 길 = 122
      • 5.3. 득의에 있어서 십자가가 가진 두 가지 모티브 = 126
      • 5.3.1. 낮추시는 하나님의 사랑 = 126
      • 5.3.2. 십자가의 능력 = 129
      • 5.3.2.1. 죄의 죽음과 부활로 인한 새 피조물의 탄생 = 129
      • 5.3.2.2. 그리스도인 안에 있는 그리스도 = 132
      • 5.3.2.3. 그리스도 사죄의 의미 = 134
      • 5.3.3. 그리스도의 성업과 득의의 두 가지 차원 = 136
      • 제6장 득의의 의미
      • 6.1. 루터 득의론의 기본적 요소 = 143
      • 6.2. 득의의 두 가지 차원 = 145
      • 6.2.1. 두 종류의 의와 득의의 두 부분의 구별 = 145
      • 6.2.2. 의의 전가로서의 득의 = 150
      • 6.2.3. 의의 분여와 신생 = 154
      • 6.2.3.1. 말씀과 성령의 역할 = 155
      • 6.2.3.2. 실제적 의미에서의 의롭게 됨 = 159
      • 6.2.3.3. 견지되는 의의 수동성 = 162
      • 6.2.4. 득의된 존재 = 165
      • 6.3. 전기 루터와 후기 루터의 구분의 문제 = 168
      • 제7장 득의된 존재와 행위
      • 7.1. 새로운 피조물 : “의인인 동시에 죄인” = 171
      • 7.1.1. “의인인 동시에 죄인”의 이중적 특성 = 171
      • 7.1.2.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해석 : 전체성 = 174
      • 7.1.3. 운동성으로서의 해석 : 부분성 = 178
      • 7.1.4. 종말론적 의미에서의 해석 = 182
      • 7.2. 득의와 행위 = 185
      • 7.2.1. 신앙과 행위의 관계 = 185
      • 7.2.1.1. 득의에 있어서의 신앙의 우월성 = 186
      • 7.2.1.2. 공로가 아닌 신앙의 결과로서의 행위 = 189
      • 7.2.2.3. 득의의 증거로서의 행위 = 191
      • 7.2.2. 그리스도와 행위 : “은사이며 모범” = 193
      • 7.2.2.1. 선행의 근원 : 그리스도 = 193
      • 7.2.2.2. 자유로운 존재로서의 그리스도인 = 196
      • 7.2.4. 득의와 율법의 관계 = 198
      • 제8장 결론
      • 8.1. 요약 = 202
      • 8.2. 평가 = 209
      • 참고문헌 = 211
      • 영문요약 = 2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