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역사연구가 서구나 근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것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글로벌 히스토리는 인간집단이 가지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시공간을 재검토하려는 시도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44881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5-499(2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역사연구가 서구나 근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것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글로벌 히스토리는 인간집단이 가지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시공간을 재검토하려는 시도이다. ...
기존의 역사연구가 서구나 근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것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글로벌 히스토리는 인간집단이 가지는 관계성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시공간을 재검토하려는 시도이다. 즉 기존의 역사학이 특정 공간 특히 국민국가를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적 연속성에 주목하는데 반해, 글로벌 히스토리는 동시대적 공간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이나 방법론을 통해서 지역세계 그 중에서도 동아시아를 어떤 시각에서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는지를 일본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시간과 공간의 다양한 층위 가운데에서 지역세계가 규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지역세계의 다양성 혹은 유동성에 대해서 지적하였다. 또한 특정 지역세계내의 중심과 주변의 관계 및 중심의 가변성 혹은 이동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물론 글로벌 히스토리가 역사연구의 틀로서 완벽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글로벌 히스토리는 기존의 이론이 가진 문제점을 비판하기 위해 관계성과 상대성이라는 중요한 요소를 역사연구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처럼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하는 자세 자체가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덕목이라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lobal history has emerged as criticism on the prevalent Eurocentric and modern discourse in the historiography, with attempts to review world history across a broad range of time and space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human groups. In other words, ...
Global history has emerged as criticism on the prevalent Eurocentric and modern discourse in the historiography, with attempts to review world history across a broad range of time and space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human groups. In other words, the existing historical studies have observed a nation state as a particular space in continuity of time linking past and present, global history puts more emphasis on continuity in contemporary spa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based on Japanese research results, how a region, more specifically the East Asian area can be understoo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and methodology of global history. In addition, it deals with diversity or fluidity of region, characteristics that might occur due to defining the region in diverse layers of time and space. It also describes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s core and periphery together with variability or mobility of the ‘core’ position. Global history is not yet a complete framework for history research, of courses.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global history has brought important elements.relationship and relativity.to history research as a way to criticize problems and defects that current historical theories have. This attitude that tries to devise new methods to overcome existing limitations is believed to be the virtue of a good academic researcher.
참고문헌 (Reference)
1 岸本美緒, "「近世化」論と日本-「東アジア」の捉え方をめぐって" 勉誠出版 2015
2 조지형, "지구화시대의 새로운 세계사" 혜안 2008
3 요아임 라트카우, "자연과 권력-인간과 자연, 갈등과 개입 그리고 화해의 역사" ㈜사이언스북스 2012
4 니시지마 사다오, "일본의 고대사 인식-‘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비평사 2008
5 이매뉴얼 월러스틴,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19세기 페러다임의 한계" 창작과 비평사 1994
6 배한극, "빅 히스토리(Big History)의 이론과 문제점" 역사교육학회 (46) : 409-444, 2011
7 안드레 군더 프랑크, "리오리엔트" 이산 2003
8 파멜라 카일 크로슬리,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9 濱下武志, "近代中国の国際的契機" 東京大学出版會 1990
10 岸本美緒, "現代歴史学の成果と課題 1980~2000年 Ⅰ 歴史学における方法的転回" 青木書店 2002
1 岸本美緒, "「近世化」論と日本-「東アジア」の捉え方をめぐって" 勉誠出版 2015
2 조지형, "지구화시대의 새로운 세계사" 혜안 2008
3 요아임 라트카우, "자연과 권력-인간과 자연, 갈등과 개입 그리고 화해의 역사" ㈜사이언스북스 2012
4 니시지마 사다오, "일본의 고대사 인식-‘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비평사 2008
5 이매뉴얼 월러스틴, "사회과학으로부터의 탈피-19세기 페러다임의 한계" 창작과 비평사 1994
6 배한극, "빅 히스토리(Big History)의 이론과 문제점" 역사교육학회 (46) : 409-444, 2011
7 안드레 군더 프랑크, "리오리엔트" 이산 2003
8 파멜라 카일 크로슬리, "글로벌 히스토리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2010
9 濱下武志, "近代中国の国際的契機" 東京大学出版會 1990
10 岸本美緒, "現代歴史学の成果と課題 1980~2000年 Ⅰ 歴史学における方法的転回" 青木書店 2002
11 家島彦一, "海が創る文明-インド洋海域世界の歴史" 朝日新聞社 1993
12 小田中直樹, "比較史の復活へ: 西洋中心主義的一国史学とグローバル史学の双方を超えて" Tohoku Economics Research Group 309-, 2013
13 内田力, "歴史を射つ-言語論的転回・文化史・パブリックヒストリー・ナショナルヒストリー" お茶の水書房 2015
14 羽田正, "新しい世界史へ-地球市民のための構想" 岩波書店 2011
15 呉座勇一, "戦争の日本中世史-「下剋上」は本当にあったのか" 新潮社 2014
16 岸本美緒, "岩波講座世界歴史 13 東アジア・東南アジアにおける伝統社會の形成" 岩波書店 1998
17 岸本美緒, "岩波講座 世界歴史 1" 岩波書店 1998
18 吉澤誠一郎, "天津の近代-清末都市における政治文化と社會統合" 名古屋大学出版會 2002
19 K. ポメランツ, "大分岐(The Great Diveregence)" 名古屋大学出版會 2015
20 中里成章, "地域の世界史 1 地域史とは何か" 山川出版社 1997
21 濱下武志, "地域の世界史 1 地域史とは何か" 山川出版社 1997
22 川田順造, "地域の世界史 1 地域史とは何か" 山川出版社 1997
23 遅塚忠躬, "史学概論" 東京大学出版會 2010
24 廣瀬憲雄, "古代日本外交史-東部ユーラシアの視点から読み直す" 講談社 2014
25 板垣雄三, "人類が見た夜明けの虹-地域からの世界史・再論" 741 : 2012
26 近江吉明, "世界史論の歩みからみた「グローバル・ヒストリー論」" 741 : 2012
27 水島司, "グローバル・ヒストリー入門" 山川出版社 2010
28 水島司, "グローバル・ヒストリーの挑戦" 山川出版社 2008
29 秋田茂, "グローバルヒストリーと帝国" 大阪大学出版會 2013
30 中見立夫, "アジアから考える[1] 交錯するアジア" 東京大学出版會 1993
31 宇野重昭, "アジアからの世界史像の構築-新しいアイデンティティを求めて" 東方書店 2014
32 光田剛, "アジアからの世界史像の構築-新しいアイデンティティを求めて" 東方書店 2014
33 남철호, "‘글로벌 히스토리(Global History)’와 세계사" 역사교육학회 (49) : 441-470, 2012
류구왕국(琉球王國)과 조선왕조족보(朝鮮王朝族譜)의 비교연구
조선후기 량산(梁山)과 동래(東萊)지역의 동래정씨(東萊鄭氏) 족보 출간 작업과 그 방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8-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6-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7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