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從詞牌運用觀察李齊賢對北宋金元代詞接受攷 = A study on Lee Je-Hyun's acceptance to Chinese Ci's Poetry Ci Pai through the operation of spa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Tang Song Dynasty, the company was called '小道' or '薄技' and was recognized as an emotional literature dealing with love between ma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when he came to Jin Yuan Dynast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je...

      During the Tang Song Dynasty, the company was called '小道' or '薄技' and was recognized as an emotional literature dealing with love between man and women. On the other hand, when he came to Jin Yuan Dynast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jecting the writer's subjective consciousness that reflects the times, views of life, and political attitudes. In addition, as Ci's Poetry emphasized Confucian poetry tradition by reciting her emotions at Jin Yuan Dynasty in earnest, the musical character of Ci's Poetry gradually faded.
      Lee Je-hyun's a Goryeo scholar, wrote many original works by using his favorite autographs such as "柳永(Liu yong)," "蘇軾(Su Shi)" and "吳激(Wu Ji)" or "元好問(Yuan Hao Wen) " as examples. In fact, Korean artists used to create creative death by digesting their own materials by accepting the historical theory that used to be popular in the Jin Yuan era in private creation, using similar contents, themes, and foregrounds that used to be hominids, the operation of the same order, borrowing similar phrases or phrases, or rhymes.
      Therefore, Seo Geo-jeong of the Joseon Dynasty highly valued Lee Je-hyun's private works, which were published in 10 volumes of 『益齋亂稿』. Seo Geo-jung acknowledged that the Goryeo Dynasty signatories did not know Chinese, so he could not build a temple, and claimed that Lee was able to build a temple because he had earlier gone to China and learned to study Qing Culture. However, Seo's theory is not true, although simila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ve Ci Pai, which were widely used among the 53 Ci's Poetry of Lee Je-hyun, he already had a foundation to build a private temple for himself from the Goryeo Dynasty, and later, he went to China to interact with many Chinese writers, building a unique Korean Ci Xue through multi-faceted knowledge theory and practic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his private school training was transferred from North Song Dynasty to Won Dynasty, Jin Dynasty and Goryeo Dynasty. It is believed that contemporary or junior scholars failed to create such high-quality pieces as Lee Je-hyun because they lacked various foundations for private affairs like Lee Je-hyu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唐宋 시기 詞를 ‘小道’ 혹은 ‘薄技’라고 불렀고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는 ‘言情’의 문학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金元시기에 와서는 사에 ‘言志’를 부분을 강조하여 시대상황, 인생관...

      唐宋 시기 詞를 ‘小道’ 혹은 ‘薄技’라고 불렀고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는 ‘言情’의 문학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金元시기에 와서는 사에 ‘言志’를 부분을 강조하여 시대상황, 인생관, 정치태도 등을 반영한 작가의 주관적 의식을 투영하는 것을 중시했다. 또한 본격적으로 金元代에 오면 詞가 ‘情性’을 읊어 儒家의 詩敎論을 강조함으로써 音韻과 格律을 강구하지 않는 면이 많아지게 되어 詞의 음악적 특성이 점차 퇴색하게 되었다. 고려사인 이제현은 북송대 유영, 소식, 원금대 오격이나 원호문 등과 같은 사인이 즐겨썼던 사패를 본보기로 삼아 모방하여 독창적인 사작품을 많이 지었다. 실제 한국사인들은 사창작에 있어 금원대 유행했던 사론을 수용하여 호방사인 다용한 내용 · 주제 · 전고, 사조의 운용, 비슷한 구절이나 어구의 차용, 원운에 대해 차운하거나 화운하여 사를 지으면서 나름대로 자기 것으로 소화시켜 창조적으로 사를 짓곤 했다.
      그래서 조선시대 서거정은 『東人詩話』에서 『益齋亂稿』 10권에 실려있는 이제현의 사작품을 매우 높이 평가하였다. 그는 고려시대 사인들은 중국어를 몰라서, 倚聲塡詞할 수 없었다고 인식했고, 이제현은 일찍이 중국에 가서 일찍이 北學을 배웠기 때문에 사를 지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거정의 학설을 비슷하긴 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이제현의 53수 사작품 중에서 다용했던 5개 사패를 뽑아 분석해본 결과 , 그는 고려에 있을 때부터 이미 중국어를 알아서 사를 지을 수 지을 수 있는 기초토대가 있었고, 이후에 중국에 가서 많은 중국문인들과 교류하면서 사에 대한 다방면의 지식이론 및 실제 연습을 통하여 뛰어난 한국 특유의 사를 짓게 되었던 것이다. 아울러 그의 詞學 연원이 북송에서 원, 금 그리고 고려를 거쳐서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대 또는 후학자들이 이제현처럼 수준 높은 사작품을 창작하지 못한 것은 그들이 이제현과 같은 사에 대한 다양한 기초토대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聖基, "李齊賢의 詩文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2 金乾坤, "李齊賢文學硏究" 精神文化硏究院 1993

      3 徐建順, "李齊賢在中國行蹟考" 2005

      4 李鳳能, "李齊賢和他的旅蜀詞" 2000

      5 柳己洙, "李齊賢及其詞之硏究" University of Hong Kong 1991

      6 車柱環, "高麗與中國詞學的比較硏究" (9) : 1992

      7 류기수, "高麗時代의 詞人 및 詞文學의 發展 背景 考察" 중국학연구회 (29) : 121-142, 2004

      8 鄭麟趾, "高麗史" 文史哲出版社 1972

      9 羅慷烈, "高麗 朝鮮詞說略" 1991

      10 李承梅, "韓國詞文學論" 成均館大學校出版部 2006

      1 金聖基, "李齊賢의 詩文學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2 金乾坤, "李齊賢文學硏究" 精神文化硏究院 1993

      3 徐建順, "李齊賢在中國行蹟考" 2005

      4 李鳳能, "李齊賢和他的旅蜀詞" 2000

      5 柳己洙, "李齊賢及其詞之硏究" University of Hong Kong 1991

      6 車柱環, "高麗與中國詞學的比較硏究" (9) : 1992

      7 류기수, "高麗時代의 詞人 및 詞文學의 發展 背景 考察" 중국학연구회 (29) : 121-142, 2004

      8 鄭麟趾, "高麗史" 文史哲出版社 1972

      9 羅慷烈, "高麗 朝鮮詞說略" 1991

      10 李承梅, "韓國詞文學論" 成均館大學校出版部 2006

      11 李丙疇, "韓國漢文學史" 半島出版社 1991

      12 柳己洙, "韓國及中國<巫山一段雲>比較" (8) : 1993

      13 李泰衡, "韓中詞牌的淵源及發展樣相" 2019

      14 鍾陵, "金元詞記事會評" 黃山書社 1995

      15 唐圭璋, "詞話叢編" 中華書局 1986

      16 梁榮基, "詞學理論綜考" 北京大學出版社 1991

      17 王灼, "碧鷄漫志校正" 巴蜀書社 2000

      18 韓國漢文學硏究所, "益齋亂稿" 亞細亞文化社 1973

      19 徐居正, "東人詩話" 保景文化社 1991

      20 衣若芬, "李齊賢八景詩與韓國地方八景之開創" 人民文學出版社 (9) : 2004

      21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江蘇廣陵古籍刻印社 1984

      22 唐圭璋, "全金元詞" 中華書局 1979

      23 劉澤宇, "元高麗詞人李齊賢的兩首華山詞" 2003

      24 孫安邦, "元好問全集(下)" 山西人民出版社 1990

      25 車柱環, "中國詞文學論稿" Seoul大學校出版部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8-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6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