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도 및 교육수준에 따른 판매효과 연관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91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oor-to-door salespersons'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education leve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effect and to serve as a basis for future door-to-door salesperson education and roles. The research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or-to-door salespersons, health functional food awareness and consumption, education level, sales, and purchases, etc..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door-to-door salespersons working in the company for 6 days from February 23 to 28, 2022. The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AS and AMOS programs. As a result, respondents in their 50s and 60s and those who worked for 10 to 20 years or mor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and the household income level was the highest with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In term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 the highest answer was ‘yes’ to the questions about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ir interest in information,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health, respectively. As for the reas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 ‘disease (adult disease) prevention’ was the highest response rate at 42%,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product's functionality’. In terms of health functional food education, 94.7% of respondents received educa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was the highest ‘5 times or more’, and the training time was the highest for ‘20 to 30 minutes’. After training, 'Very active' was the highest for the us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5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helpful for sales. The preferred education method was face-to-face education by in-house instructors (59%), and the additional desired education method was the invitation of a professional external instructor (such as a doctor).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variables that additionally affect the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we extracted three questions asking whether people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ir level of interest in inform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and defined it as awareness. The response score of each question was scored on a scale of 1 to 9, and then categorized into 4 groups. After selecting significant items by frequency analysis by group, regression analysis of education level, awareness, and sales effect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more respondents answered, 'the household income is high' and ‘the education is helpful and useful in sales', the higher the recognition and sales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for all significant items, it was concluded that raising the awareness of door-to-door salespersons and increasing the use of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sales effect of health functional food. Although the proportion of online and non-face-to-face sales is increasing in the consumption market for health functional foods, face-to-face sales by door-to-door salesperson are also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sales for compan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and awareness of door-to-door salesperson.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oor-to-door salespersons'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education leve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effect and to serve as a basis for future door-to-door salesperson education a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oor-to-door salespersons'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education level,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 effect and to serve as a basis for future door-to-door salesperson education and roles. The research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or-to-door salespersons, health functional food awareness and consumption, education level, sales, and purchases, etc..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door-to-door salespersons working in the company for 6 days from February 23 to 28, 2022. The surve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AS and AMOS programs. As a result, respondents in their 50s and 60s and those who worked for 10 to 20 years or more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and the household income level was the highest with less than 1 to 2 million won. In terms of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 the highest answer was ‘yes’ to the questions about whether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ir interest in information, and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of health, respectively. As for the reason for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 ‘disease (adult disease) prevention’ was the highest response rate at 42%,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product's functionality’. In terms of health functional food education, 94.7% of respondents received educa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was the highest ‘5 times or more’, and the training time was the highest for ‘20 to 30 minutes’. After training, 'Very active' was the highest for the us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5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helpful for sales. The preferred education method was face-to-face education by in-house instructors (59%), and the additional desired education method was the invitation of a professional external instructor (such as a doctor). In this study, to confirm the variables that additionally affect the awareness of health functional food, we extracted three questions asking whether people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ir level of interest in inform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and defined it as awareness. The response score of each question was scored on a scale of 1 to 9, and then categorized into 4 groups. After selecting significant items by frequency analysis by group, regression analysis of education level, awareness, and sales effect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more respondents answered, 'the household income is high' and ‘the education is helpful and useful in sales', the higher the recognition and sales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for all significant items, it was concluded that raising the awareness of door-to-door salespersons and increasing the use of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sales effect of health functional food. Although the proportion of online and non-face-to-face sales is increasing in the consumption market for health functional foods, face-to-face sales by door-to-door salesperson are also being used as an important means of sales for compan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and awareness of door-to-door salesper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와 교육수준을 파악하고 판매 효과 연관성을 규명하여 향후 방문판매원의 교육과 역할에 대한 기반 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일반적 특성, 건강기능식품 인식도 및 섭취실태, 교육수준, 판매 및 구매 등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2년 2월 23일부터 2월 28일까지 6일간 수도권, 경기, 대전에서 활동하고 있는 302명의 방문판매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SAS 및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50~60대 연령대와 10~20년 이상 근무연수 응답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가구수입 수준은 100~200만원미만이 가장 많았다.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에서는 건강기능식품 필요성 인지여부, 정보 관심도, 본인의 건강파악 수준이 각각 그렇다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이유에서는 질병(성인병)예방이 42%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섭취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제품의 기능성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교육 현황은 응답자의 94.7%가 교육을 받고 있었고, 교육 참여 횟수는 5회 이상 교육 시간은 20~30분이 가장 높았다. 교육 후 교육 내용의 활용 정도는 상당히 활용한다가 가장 높았고, 판매 도움정도는 56%가 도움된다고 응답했다. 선호하는 교육 방식은 사내 강사들을 통한 대면 교육이 59%로 절반이상을 차지했고, 더 받고 싶은 교육 방식은 전문 외부강사(의사)교육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판매현황에서 방문판매원의 한달 평균 판매수량은 1~5개 미만, 판매 고객수는 1~5명, 판매 금액은 50~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 판매 성공률은 30~60%미만 응답이 높았고, 고객의 재구매율은 50~80%미만, 재구매 이유에 대해서는 제품의 효과와 우수성이 63.5%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재구매가 안되는 이유는 가격부담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확인하기위해 설문에서 건강기능식품의 필요성 인지여부, 정보 관심도, 본인의 건강 파악을 묻는 3문항을 추출하여 인식도라고 정의하고 각 문항의 응답점수를 1~9점으로 총점화 한 뒤 4개 그룹으로 범주화 시켰다. 그룹별 빈도분석을 통해 유의적 항목을 선별 후 교육수준과 인식도 및 판매효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가구수입이 높다’, ‘교육이 판매에 도움과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할수록 인식도와 판매효과가 높음을 나타냈다. 모든 유의적 문항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판매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방문판매원의 인식도를 높이는 것과 교육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의 소비 시장은 온라인이나 비대면 판매 비중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방문판매원에 의한 대면식 판매방식도 기업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판매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교육 활용도와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콘텐츠 등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와 교육수준을 파악하고 판매 효과 연관성을 규명하여 향후 방문판매원의 교육과 역할에 대한 기반 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는 방문...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와 교육수준을 파악하고 판매 효과 연관성을 규명하여 향후 방문판매원의 교육과 역할에 대한 기반 자료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일반적 특성, 건강기능식품 인식도 및 섭취실태, 교육수준, 판매 및 구매 등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2년 2월 23일부터 2월 28일까지 6일간 수도권, 경기, 대전에서 활동하고 있는 302명의 방문판매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SAS 및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50~60대 연령대와 10~20년 이상 근무연수 응답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가구수입 수준은 100~200만원미만이 가장 많았다.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에서는 건강기능식품 필요성 인지여부, 정보 관심도, 본인의 건강파악 수준이 각각 그렇다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이유에서는 질병(성인병)예방이 42%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섭취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제품의 기능성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교육 현황은 응답자의 94.7%가 교육을 받고 있었고, 교육 참여 횟수는 5회 이상 교육 시간은 20~30분이 가장 높았다. 교육 후 교육 내용의 활용 정도는 상당히 활용한다가 가장 높았고, 판매 도움정도는 56%가 도움된다고 응답했다. 선호하는 교육 방식은 사내 강사들을 통한 대면 교육이 59%로 절반이상을 차지했고, 더 받고 싶은 교육 방식은 전문 외부강사(의사)교육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판매현황에서 방문판매원의 한달 평균 판매수량은 1~5개 미만, 판매 고객수는 1~5명, 판매 금액은 50~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 판매 성공률은 30~60%미만 응답이 높았고, 고객의 재구매율은 50~80%미만, 재구매 이유에 대해서는 제품의 효과와 우수성이 63.5%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재구매가 안되는 이유는 가격부담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확인하기위해 설문에서 건강기능식품의 필요성 인지여부, 정보 관심도, 본인의 건강 파악을 묻는 3문항을 추출하여 인식도라고 정의하고 각 문항의 응답점수를 1~9점으로 총점화 한 뒤 4개 그룹으로 범주화 시켰다. 그룹별 빈도분석을 통해 유의적 항목을 선별 후 교육수준과 인식도 및 판매효과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가구수입이 높다’, ‘교육이 판매에 도움과 활용도가 높다’고 응답할수록 인식도와 판매효과가 높음을 나타냈다. 모든 유의적 문항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판매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방문판매원의 인식도를 높이는 것과 교육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의 소비 시장은 온라인이나 비대면 판매 비중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방문판매원에 의한 대면식 판매방식도 기업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판매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문판매원의 교육 활용도와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콘텐츠 등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4
      • 1. 건강기능식품 4
      • 가. 건강기능식품 정의 4
      • 나. 기능성 원료 4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4
      • 1. 건강기능식품 4
      • 가. 건강기능식품 정의 4
      • 나. 기능성 원료 4
      • 다. 기능성 종류 5
      • 2.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10
      • 3. 방문판매의 건강기능식품 15
      • 가. 방문판매의 정의 15
      • 나. 방문판매 활동의 특징 15
      • 다. 방문판매원의 교육 16
      • 4. 방문판매의 시장현황 17
      • III. 연구내용 및 방법 20
      • 1. 연구 대상 및 기간 20
      • 2. 연구 내용 및 방법 20
      • 3.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21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23
      • 1. 방문판매원의 일반적 특성 23
      • 2.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정도 및 섭취 정도 25
      • 3.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교육 현황 29
      • 4.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현황 33
      • 5. 건강기능식품 인식도 변수 정의 및 그룹별 빈도분석 38
      • 6. 방문판매원의 건강기능식품 인식도의 영향요인 분석 52
      • 7. 인식도와 교육수준에 따른 판매효과 구조방정식 62
      • Ⅴ. 결론 64
      • 참고문헌 65
      • Abstract 68
      • 부록 [설문지]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