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담화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that effects to Communication Discourse Structures of Mental Retardatio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003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ntal retardation children show that they have impediment to linguist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because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defect This communication defect causes bad effects for learning social ability and deficiency of social interaction.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impediment have some unusual conditions that they have difficulty of conversation that they just simply react to someone's voice, or keep questioning. These communication attempts and responses are not able to make them feel satisfied, and moreover make them feel failure from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They have to be provided an environment where they are able to express their liberal and creative words in autonomous atmosphere with various linguistic activitie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effectively.
      For this reason, it is the most important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is able to mak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ability defect motivated.
      Art is a method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provides stimulations in liberal and generous atmosphere. It also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by expressing words naturally and pleasantly through their sensational and various experiences. An art activity should be an important method of conversation, and it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in natural condition for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defect while they are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 mental retardation grade 3, 11 years old male child who is not able to attempt and response proper communication although he has an ability to speak a language in an art therapy facility, 24 session, every week from March to October 2006.
      It was not a certain structuralized condition or directed method, but let child himself to choose a work for him to control the attempt and response communication properly, and have conversation through art therapy. The child chose a free drawing each time. The therapist was abl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child by having conversation about the drawing, linking a new media and work, and supporting his small demand or expression of his opi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of all, the child could not choose a topic during a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had one-sided conversation with only a topic he wanted to talk, and talk as non-communicational way such as repeating whole sentence at the beginning of the art therapy. However, it reduced rate of one-sided conversation attempts while he was having conversations and doing many different works with the therapist through the art therapy, and it became to be able to have conversation with turn-taking talk and possessing a topic by increasing of the proper response rate that the child responses properly to the therapist's talk.
      Second, the child used to ask questions that reconfirm facts he already knew,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attempt was one-sided and passive at the beginning of the art therapy. However, the child attempted positive communication as requesting informations by using interrogative, asking additional questions for the questions from the therapist, and questioning that reconfirm contents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The child, at the beginning of the therapy, answered the questions from the therapist with a single word, or had communication response without self confidence such as speaking ambiguously when he answered with sentences. However, it changed the communication response to communication response that has been linked several sentences, and even he responded to the therapist's talk without any direct questions and spu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y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for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Also, this study corresponds with a former study which reported that the art therapy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and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programs which a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번역하기

      Mental retardation children show that they have impediment to linguist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because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defect This communication defect causes bad effects for learning social ability and deficienc...

      Mental retardation children show that they have impediment to linguist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because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defect This communication defect causes bad effects for learning social ability and deficiency of social interaction.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impediment have some unusual conditions that they have difficulty of conversation that they just simply react to someone's voice, or keep questioning. These communication attempts and responses are not able to make them feel satisfied, and moreover make them feel failure from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They have to be provided an environment where they are able to express their liberal and creative words in autonomous atmosphere with various linguistic activitie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y effectively.
      For this reason, it is the most important to provide an environment where is able to make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ability defect motivated.
      Art is a method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provides stimulations in liberal and generous atmosphere. It also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by expressing words naturally and pleasantly through their sensational and various experiences. An art activity should be an important method of conversation, and it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in natural condition for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communication defect while they are having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 mental retardation grade 3, 11 years old male child who is not able to attempt and response proper communication although he has an ability to speak a language in an art therapy facility, 24 session, every week from March to October 2006.
      It was not a certain structuralized condition or directed method, but let child himself to choose a work for him to control the attempt and response communication properly, and have conversation through art therapy. The child chose a free drawing each time. The therapist was abl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child by having conversation about the drawing, linking a new media and work, and supporting his small demand or expression of his opin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of all, the child could not choose a topic during a conversation with other people, had one-sided conversation with only a topic he wanted to talk, and talk as non-communicational way such as repeating whole sentence at the beginning of the art therapy. However, it reduced rate of one-sided conversation attempts while he was having conversations and doing many different works with the therapist through the art therapy, and it became to be able to have conversation with turn-taking talk and possessing a topic by increasing of the proper response rate that the child responses properly to the therapist's talk.
      Second, the child used to ask questions that reconfirm facts he already knew,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attempt was one-sided and passive at the beginning of the art therapy. However, the child attempted positive communication as requesting informations by using interrogative, asking additional questions for the questions from the therapist, and questioning that reconfirm contents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The child, at the beginning of the therapy, answered the questions from the therapist with a single word, or had communication response without self confidence such as speaking ambiguously when he answered with sentences. However, it changed the communication response to communication response that has been linked several sentences, and even he responded to the therapist's talk without any direct questions and spu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y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for mental retardation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Also, this study corresponds with a former study which reported that the art therapy is effective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and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programs which are able to develop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지체 아동은 인지적 ㆍ 심리적 ㆍ 기능적인 결함으로 인해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장애를 보이게 되며, 의사소통 결함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족을 초래하게 된다. 정신지체 아동이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 말의 주고받기가 원활하지 못하며, 상대방의 말에 단순히 반응만을 하거나, 질문만을 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은 아동의 욕구를 채워주지 못할 뿐 아니라, 타인과의 대화에서 실패감을 안겨준다. 정신지체 아동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적 활동을 통하여 자율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유롭고 창조적인 언어를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의 장애를 지닌 정신지체 아동에게 자발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술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속에서 자극을 제공하고, 다 감각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고 즐겁게 언어를 표현함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준다. 그리고, 타인과의 대화시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는 정신지체 아동에게 있어 미술활동은 대화의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런 환경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어능력을 가졌으나, 의사소통능력 결함으로 인해 적절한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을 하지 못하는 만11세의 정신지체 3급 남자어린이 1명을 대상으로 개인미술 치료실에서 2006년 3~10월까지 주1회씩, 총 24회기 동안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이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대화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특정의 구조화된 환경이나 지시적인 방법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은 매회기마다 자유화를 선택하였고, 치료사는 아동과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새로운 매체와 작업을 연결시켰으며, 아동의 사소한 요구나 의사표현에도 지지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초기에는 타인과의 대화시 적절한 주제를 선택하지 못하고, 자신이 고집하는 주제로 일방적인 이야기를 하고, 문장 전체를 반복하는 비 의사소통 적인 형태로 이야기를 하였으나,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치료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여러 가지 작업을 함께 하면서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의사소통 시도 비율이 줄었고, 치료사의 말에 적절히 반응하는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주고받기 대화와 주제를 유지하여 대화하기가 가능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초기에 연구대상 아동은 아동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을 주로 하고, 의사소통 시도 방법이 일방적이고 소극적 이었으나,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의문사를 사용하여 정보 요구를 하고, 치료사의 질문에 추가질문을 하거나,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을 하는 등 적극적인 의사소통 시도를 하였다 .
      미술치료 초기에 연구대상 아동은 치료사의 질문에 한단어로 대답하거나, 문장을 구성하여 대답할 때도 말끝을 흐리는 자신감 없는 의사소통 반응을 하였으나, 미술치료과정을 통해 여러 문장을 연결하여 의사소통 반응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또한, 치료사의 직접적인 질문이나 촉구가 없어도 치료사의 말에 반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지닌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결론 내릴 수 있고, 미술치료가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선행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추후에도 심리적인 문제와 의사소통능력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정신지체 아동은 인지적 ㆍ 심리적 ㆍ 기능적인 결함으로 인해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장애를 보이게 되며, 의사소통 결함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사회...

      정신지체 아동은 인지적 ㆍ 심리적 ㆍ 기능적인 결함으로 인해 언어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장애를 보이게 되며, 의사소통 결함은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족을 초래하게 된다. 정신지체 아동이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 말의 주고받기가 원활하지 못하며, 상대방의 말에 단순히 반응만을 하거나, 질문만을 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은 아동의 욕구를 채워주지 못할 뿐 아니라, 타인과의 대화에서 실패감을 안겨준다. 정신지체 아동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언어적 활동을 통하여 자율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유롭고 창조적인 언어를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의사소통능력의 장애를 지닌 정신지체 아동에게 자발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술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유롭고 허용적인 분위기속에서 자극을 제공하고, 다 감각적이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고 즐겁게 언어를 표현함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준다. 그리고, 타인과의 대화시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는 정신지체 아동에게 있어 미술활동은 대화의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런 환경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구어능력을 가졌으나, 의사소통능력 결함으로 인해 적절한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을 하지 못하는 만11세의 정신지체 3급 남자어린이 1명을 대상으로 개인미술 치료실에서 2006년 3~10월까지 주1회씩, 총 24회기 동안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를 통해 아동이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대화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특정의 구조화된 환경이나 지시적인 방법이 아니라 아동 스스로 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은 매회기마다 자유화를 선택하였고, 치료사는 아동과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새로운 매체와 작업을 연결시켰으며, 아동의 사소한 요구나 의사표현에도 지지적으로 반응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초기에는 타인과의 대화시 적절한 주제를 선택하지 못하고, 자신이 고집하는 주제로 일방적인 이야기를 하고, 문장 전체를 반복하는 비 의사소통 적인 형태로 이야기를 하였으나,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치료사와 이야기를 나누고, 여러 가지 작업을 함께 하면서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의사소통 시도 비율이 줄었고, 치료사의 말에 적절히 반응하는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주고받기 대화와 주제를 유지하여 대화하기가 가능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초기에 연구대상 아동은 아동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는 질문을 주로 하고, 의사소통 시도 방법이 일방적이고 소극적 이었으나,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의문사를 사용하여 정보 요구를 하고, 치료사의 질문에 추가질문을 하거나,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을 하는 등 적극적인 의사소통 시도를 하였다 .
      미술치료 초기에 연구대상 아동은 치료사의 질문에 한단어로 대답하거나, 문장을 구성하여 대답할 때도 말끝을 흐리는 자신감 없는 의사소통 반응을 하였으나, 미술치료과정을 통해 여러 문장을 연결하여 의사소통 반응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또한, 치료사의 직접적인 질문이나 촉구가 없어도 치료사의 말에 반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치료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지닌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결론 내릴 수 있고, 미술치료가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한 선행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추후에도 심리적인 문제와 의사소통능력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용어정의 = 4
      • 3.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용어정의 = 4
      • 3.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정신지체 아동 = 5
      • 1) 정신지체 아동의 정의 = 5
      • 2)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 6
      • 2.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 10
      • 3. 미술치료 = 13
      • 1) 정신지체아동과 미술치료 = 13
      • 2) 의사소통능력과 미술치료 = 14
      • Ⅲ. 연구방법 = 16
      • 1. 연구대상 = 16
      • 2. 연구절차 = 20
      • 3. 자료처리 = 23
      • Ⅳ. 연구결과 = 24
      • 1. 미술치료과정에 나타난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의 변화 = 24
      • 1) 초기관찰기 = 24
      • 2) 중기 = 36
      • 3) 종결기 = 87
      • Ⅴ. 논의 및 결론 = 103
      • 1. 논의 = 103
      • 2. 결론 = 113
      • 3. 제언 = 115
      • 참고문헌 = 116
      • ABSTRACT = 119
      • 부록 =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