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특이적 만성 목 통증환자를 대상으로 척추재활 운동프로그램이 통증강도, 경부통증장애 정도 및 자세교정에 미치는 효과 연구 = Effects of Spine Rehabilitation Program on Pain Intensity, Neck Disability Index, and Posture Correction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Neck P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과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강도, 경부통증장애 정도, 관절가동범위 등 경추의 자세 변화가 대상자들에게 효율적 개선도와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비특이성 만성목통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명의 연구대상자가 척추재활운동그룹 10명, 카이로넥운동그룹 10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 모두 8주간 주 3일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운동이 끝난 8주 후에 통증강도(VAS),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두 개-척추각(Craniovertevral angle), 관절 가동범위(굽힘, 젖힘, 가로 굽힘, 돌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증강도(VAS)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척추재활운동그룹이 조금 더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2) 경부장애지수(NDI)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자세분석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만성목통증을 개선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목통증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추의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켜 경추의 안정성 제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특이적 만성목통증 관리를 위한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과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강도, 경부통증장애 정도, 관절가동범위 등 경추의 자세 변화...

      본 연구는 비특이성 만성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과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강도, 경부통증장애 정도, 관절가동범위 등 경추의 자세 변화가 대상자들에게 효율적 개선도와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비특이성 만성목통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명의 연구대상자가 척추재활운동그룹 10명, 카이로넥운동그룹 10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그룹 모두 8주간 주 3일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 운동이 끝난 8주 후에 통증강도(VAS),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두 개-척추각(Craniovertevral angle), 관절 가동범위(굽힘, 젖힘, 가로 굽힘, 돌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증강도(VAS)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척추재활운동그룹이 조금 더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2) 경부장애지수(NDI)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자세분석 평가에서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두 집단 간 모두 만성목통증을 개선시키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목통증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추의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켜 경추의 안정성 제공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특이적 만성목통증 관리를 위한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의 활용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hen the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nd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were applied for 8 weeks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pain, the postural change of cervical spine such as pain intensity, cervical spine disorder, and range of joint movement were improv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nonspecific chronic neck pain pati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sitive effects.

      Twenty subjects were randomized to 10 spinal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s and 10 chiro-neck exercise groups. Both groups exercised three days a week for eight weeks. Before the exercise and 8 weeks after the end of the exercise, the pain intensity (VAS),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re set to 2-the craniovertevral angle, and the joint range of motion (bending, bending, transverse bending, turning). Measured.
      1) The pain strength (VAS) evalu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ucing pain between both groups through the eight-week exercise program and demonstrated that the spinal rehabilitation group was a little more effective.

      2) In the evaluation of the Cervical Disorder Index (ND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ducing pain between both groups through an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3) The 8 week exercis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ing chronic sore throats between both groups.

      In this study, the spin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pain improvement. Considering the normal range of joint motion of the cervical joint movement range, two cervical spine angles, cervical flexion, cervical flexion, and cervical spine. lateral bending, cervical rotation could be improved.

       The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on pain intensity, cervical spine disorder index, and posture correction than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and the exercise program considering the range of joint movement of the cervical spine was applied to the subjects. This results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agittal plane as well as in many areas. Data were used to determine if the program was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pain. The spinal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restored the range of motion of the cervical spine, which was effective in providing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and reducing pain.
      번역하기

      In this study, when the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nd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were applied for 8 weeks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pain, the postural change of cervical spine such as pain intensity, cervical spine disorde...

      In this study, when the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and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were applied for 8 weeks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pain, the postural change of cervical spine such as pain intensity, cervical spine disorder, and range of joint movement were improv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nonspecific chronic neck pain pati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ositive effects.

      Twenty subjects were randomized to 10 spinal rehabilitation exercise groups and 10 chiro-neck exercise groups. Both groups exercised three days a week for eight weeks. Before the exercise and 8 weeks after the end of the exercise, the pain intensity (VAS),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re set to 2-the craniovertevral angle, and the joint range of motion (bending, bending, transverse bending, turning). Measured.
      1) The pain strength (VAS) evalu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ducing pain between both groups through the eight-week exercise program and demonstrated that the spinal rehabilitation group was a little more effective.

      2) In the evaluation of the Cervical Disorder Index (NDI),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ducing pain between both groups through an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3) The 8 week exercis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ing chronic sore throats between both groups.

      In this study, the spin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 pain improvement. Considering the normal range of joint motion of the cervical joint movement range, two cervical spine angles, cervical flexion, cervical flexion, and cervical spine. lateral bending, cervical rotation could be improved.

       The spin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on pain intensity, cervical spine disorder index, and posture correction than the chiro-neck exercise program, and the exercise program considering the range of joint movement of the cervical spine was applied to the subjects. This results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agittal plane as well as in many areas. Data were used to determine if the program was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pain. The spinal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restored the range of motion of the cervical spine, which was effective in providing stability of the cervical spine and reducing p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가설 5
      • 4. 연구의 제한점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5
      • 3. 연구의 가설 5
      • 4. 연구의 제한점 5
      • Ⅱ. 연구 방법 6
      • 1. 연구대상 6
      • 2. 연구설계 및 절차 7
      • 3. 연구기간 8
      • 4. 측정방법 8
      • 5. 척추재활운동프로그램 9
      • 6. 카이로넥운동프로그램 13
      • 7. 통증강도 16
      • 8. 경부장애지수(NDI) 17
      • 9. 자세교정 측정방법 18
      • 10. 자료처리 20
      • Ⅳ. 연구결과 21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1
      • 2. VAS에 따른 연구대상자 평균차이 22
      • 3. NDI에 따른 연구대상자 평균차이 22
      • 4. 자세교정 분석 23
      • 가. 두 그룹 간 머리-척추자세(CVA) 변화도 비교 23
      • 나. 두 그룹 간 경추 굽힘(Cervical Flexion) 변화도 비교 23
      • 다. 두 그룹 간 경추 젖힘(Cervical Extension) 변화도 비교 24
      • 라. 두 그룹 간 경추 좌, 우 가로 굽힘(Cervical Lateral Bending) 변화도 비교 25
      • 마. 두 그룹 간 경추 좌, 우 돌림(Cervical Rotation) 변화도 비교 26
      • Ⅴ. 고찰 27
      • Ⅵ. 결론 30
      • 1. 연구 요약 30
      • 2. 연구의 함의 31
      • 3. 연구결과 31
      • 4. 제언 31
      • 참고문헌 32
      • 부 록 35
      • 1. 경부장애지수 설문지 35
      • 2. 카이로넥 운동기구의 주의사항 38
      • Abstract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