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열, "힘의 미학 김복진" 재원 1995
2 "한국의 사찰문화재 1-13"
3 안귀숙,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 양사재 2008
4 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 양사재 2007
5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 경인문화사 2011
6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7 이희정,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불교조각 연구" 세종 2013
8 김창화, "조선시대 제주도 불상연구 :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복진, "조각생활 20년기-스승과 지기와 내 성격을 아뢰는 편지" 1940
10 이국전, "조각가 정관 김복진 선생" 1957
1 최열, "힘의 미학 김복진" 재원 1995
2 "한국의 사찰문화재 1-13"
3 안귀숙,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 양사재 2008
4 최선일,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조소" 양사재 2007
5 최선일,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 경인문화사 2011
6 송은석, "조선후기 불교조각사" 사회평론 2012
7 이희정,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불교조각 연구" 세종 2013
8 김창화, "조선시대 제주도 불상연구 :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9 김복진, "조각생활 20년기-스승과 지기와 내 성격을 아뢰는 편지" 1940
10 이국전, "조각가 정관 김복진 선생" 1957
11 "제주 불교문화재 자료집"
12 이경화, "일제강점기 목포 유달산의 弘法大師像과 88靈場" 동북아역사재단 (47) : 171-200, 2015
13 최선일, "용주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상과 조각승 - 戒初比丘를 중심으로" 동학미술사학회 4 : 2003
14 사)불교문화산업기획단, "아름다움과 깨달음" 여시아문 2002
15 윤범모, "마침내 찾아낸 김복진의 불상조각" 6 : 1995
16 이경성, "김복진의 예술세계" 얼과 알 2001
17 김복진, "김복진 전집" 청년사 1995
18 윤범모, "김복진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9 윤범모, "김복진 불상예술의 세계" 경원대학교 아세아문화연구소 1 : 1996
20 이숙희, "금용 일섭스님의 조각세계" 사)불교미술일섭문도회 2016
21 김영희, "금용 일섭(1900-1975)의 불상과 예술관 : 개인양식 성립기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9 : 2010
22 최은령, "금어 일섭의 대구에서 행적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32 (32): 99-140, 2017
23 신은영, "금어 금용일섭의 『연보』 연구" 전남대학교 2016
24 "근현대문화유산 종교분야(불교) 목록화 조사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2013
25 지미령, "군산 지역 西國33所觀音靈場성립에 관한 일고찰 - 동국사 관음석불군 조성과 관련해서 -" 일본학연구소 42 : 217-240, 2016
26 김영희, "金蓉 日燮(1900-1975)의 後期 佛像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4 : 139-178, 2012
27 한국학문헌연구소, "金山寺誌" 亞細亞文化社 1983
28 문명대, "石南李慶成先生 古稀紀念論叢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一志社 1992
29 최선일, "朝鮮 後期 彫刻僧과 佛像樣式의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61 (261): 41-75, 2009
30 金子啓明, "名宝日本の美術13, 運慶・快慶" 小学館 1991
31 문년순, "佛母 梁玩虎의 生涯에 대한 再考"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6 : 2010
32 최선일, "1930년대 후반 井觀 金復鎭의 불상 양식과 사상에 관한 再考"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