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부지역의 논 토양에 적합한 콩(Glycine max (L.) Merrill) 품종의 선발 = Selection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the Paddy Fields of the Souther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45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 This study was in order to select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that are suitable for cultivating in paddy fields of the southern Korea and beneficial for mechanized harvesting with combine harvesters. Five soybean cultivars ...

      Abstract - This study was in order to select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cultivars that are suitable for cultivating in paddy fields of the southern Korea and beneficial for mechanized harvesting with combine harvesters. Five soybean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paddy fields to survey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and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seed. Plant height was longer than 55 cm for ‘Cheongja-3ho’, ‘Daewon’ and ‘Seonpung’. First pod height was higher than 12 cm for ‘Daewon’, ‘Seonpung’, and ‘Seonyu-2ho’. Seed yields were 280 kg/10a or more for ‘Daechan’, ‘Seonpung’ and ‘Daewon’. The protein content of ‘Daechan’ were 40.7%,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and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than 200 ㎍․g-1 for ‘Seonpung’, ‘Cheongja-3ho’, ‘Daechan’, and ‘Daew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echan’, ‘Seonpung’, ‘Daewon’ could be suitable for cultivating in paddy fields, and ‘Daewon’ and ‘Seonpung’ could be more beneficial for mechanized harvesting with combine harvesters. Furthermore, ‘Daechan’ and ‘Seonpung’ have not only high seed yields, but also high protein and isoflavone contents,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used for production of various food produ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적 요남부지역 논 토양에 적합하면서 기계화 작업이 용이한 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수종의 품종을 논에서 재배하여 생육 및 수확량을 확인하고 콩 종실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경장...

      적 요남부지역 논 토양에 적합하면서 기계화 작업이 용이한 콩 품종을 선발하고자, 수종의 품종을 논에서 재배하여 생육 및 수확량을 확인하고 콩 종실의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경장은청자3호, 대원과 선풍이 55 ㎝ 이상으로 길고, 착협고는 대원, 선풍, 선유2호가 12 ㎝이상으로 높았다. 종실 수량은 대찬, 선풍, 대원이 280 ㎏/10a 이상으로 높았다.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대찬이 40.7%로 가장 높았고, 이소플라본은 선풍, 청자3호, 대찬, 대원이 200 ㎍․g-1 이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실수량이 많은 대찬, 선풍, 대원이 남부지역 논토양에 적합하고, 경장이 비교적 길고 착협고가 높은 대원과 선풍은 수확 시 콤바인과 같은 기계화 작업을 위해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찬과 선풍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종실 수확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이소플라본 함량이 높아 여러 가지 식품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