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콘텐츠에서 등장인물에 관한 연구 = 등장인물의 행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76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동의 주체로서 등장인물은 영화가 제시하는 사건 속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영화 속의 인물을 파악하기 위해 두 방법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첫째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행위소 모델 내의 6개의 추상적인 기능들의 의인화로 파악될 수 있다. 행위소 모델은 그레마스(Greimas)가 서술체의 서술구조를 드러내 보이기 위해 제안한 이야기의 통사론이다. 둘째로,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다른 등장인물들과 관계의 망을 형성하는 존재로 파악될 수 있다. 등장인물은 허구적인 사람들이 사는 인간적 세계에서 동떨어져 홀로 존재하는 자가 아니다. 사건의 기본 단위인 행동은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망의 변화와 다름이 아니다. 따라서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영화의 디에게스 내에서 행동하는 등장인물들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방법론을 통해 홍상수의 영화 <오! 수정>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제안하는 등장인물에 대한 접근 방법이 매우 유효하고 적절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행동의 주체로서 등장인물은 영화가 제시하는 사건 속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영화 속의 인물을 파악하기 위해 두 방법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첫째로, 거...

      행동의 주체로서 등장인물은 영화가 제시하는 사건 속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영화 속의 인물을 파악하기 위해 두 방법을 보여 주고자 하였다. 첫째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행위소 모델 내의 6개의 추상적인 기능들의 의인화로 파악될 수 있다. 행위소 모델은 그레마스(Greimas)가 서술체의 서술구조를 드러내 보이기 위해 제안한 이야기의 통사론이다. 둘째로,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등장인물은 다른 등장인물들과 관계의 망을 형성하는 존재로 파악될 수 있다. 등장인물은 허구적인 사람들이 사는 인간적 세계에서 동떨어져 홀로 존재하는 자가 아니다. 사건의 기본 단위인 행동은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망의 변화와 다름이 아니다. 따라서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영화의 디에게스 내에서 행동하는 등장인물들에 대한 분석과 동일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러한 거시적, 미시적 방법론을 통해 홍상수의 영화 <오! 수정>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제안하는 등장인물에 대한 접근 방법이 매우 유효하고 적절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글
      • 2. 등장인물의 거시적인 접근
      • 3. 등장인물의 미시적인 접근
      • 4. 나가는 글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글
      • 2. 등장인물의 거시적인 접근
      • 3. 등장인물의 미시적인 접근
      • 4.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Resu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1990

      2 서명수, "제라르 주네트의 『서술체 담화(Discours du récit)』에서 서술법(mode de narration)에 관한 연구" 한국서사학회 (7) : 2003

      3 A. UBERSFELD Lire le théâtre,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91

      4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tome IX"

      5 Etienne Souriau, "Vocabulaire d'esthétique" P.U.F 1990

      6 P. WATZLAWICK, "Une logique de la communication, traduit de l'américain par Janine Morche" Editions de Seuil 1972

      7 A-J. Greimas, "Sémantique structurale" Larousse 1966

      8 Vladimir Propp, "Morphologie du conte" Seuil 1965

      9 Etienne Souriau, "Les Deux Cent Mille Situations dramatiques" Flammarion 1950

      10 André Helbo, "Le discours théâtral: une sémantique de la relation, In texte réunis par Régis Durand" P.U.L 1980

      1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1990

      2 서명수, "제라르 주네트의 『서술체 담화(Discours du récit)』에서 서술법(mode de narration)에 관한 연구" 한국서사학회 (7) : 2003

      3 A. UBERSFELD Lire le théâtre, "연극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1991

      4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tome IX"

      5 Etienne Souriau, "Vocabulaire d'esthétique" P.U.F 1990

      6 P. WATZLAWICK, "Une logique de la communication, traduit de l'américain par Janine Morche" Editions de Seuil 1972

      7 A-J. Greimas, "Sémantique structurale" Larousse 1966

      8 Vladimir Propp, "Morphologie du conte" Seuil 1965

      9 Etienne Souriau, "Les Deux Cent Mille Situations dramatiques" Flammarion 1950

      10 André Helbo, "Le discours théâtral: une sémantique de la relation, In texte réunis par Régis Durand" P.U.L 1980

      11 J. de ROSNAY, "Le Macroscope" Seuil 1975

      12 E. Goffman, "La mise en scène de la vie quotidienne: 1. la présentation de soi" Les Editions de Minuit 1973

      13 E. T. Hall, "La dimension cachée, traduit de l'américain par Amélie Petits" Editions de Seuil 1971

      14 Jacques Aumont, "L'analyse des films" Armant Colin cinéma 2008

      15 Jean-Pierre Ryngaert, "Introduction à l'analyse du Théâtre" Bordas 1992

      16 PAVIS, "Dictionnaire du Théàtre" Les Editions Sociales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