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읽기·쓰기 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4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는 듣기·말하기 같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주로 이루 어지고 있어 오랜 기간 한국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쓰기 능력이 향 상되지 못함을 바탕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어 교수자의 읽기·쓰기에 대한 현황 을 설문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읽기·쓰기 능력 향상 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92명과 한국어 교수자 20명을 대상으로 자료 조사하였다. 수집 된 자료 분석 결과 첫째, 한국어 읽기·쓰기의 필요성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직장을 갖거나, 한국 문화를 알거나, 자녀 교육을 하고자 하는 목적이 가장 컸 다. 둘째,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 읽기·쓰기에 대해 관심을 보였 다. 셋째, 한국어 교수자들은 한국어 읽기ㆍ쓰기 수업 시 유도된 연습을 선호하 는 교수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학생 중심의 자율적 수업을 선호하고, 짝 활 동으로 이루어진 교실활동을 선호하였다.
      번역하기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는 듣기·말하기 같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주로 이루 어지고 있어 오랜 기간 한국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쓰기 능력이 향 상되지 못함을 바탕으로 연구가 ...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는 듣기·말하기 같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주로 이루 어지고 있어 오랜 기간 한국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읽기·쓰기 능력이 향 상되지 못함을 바탕으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와 한국어 교수자의 읽기·쓰기에 대한 현황 을 설문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읽기·쓰기 능력 향상 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92명과 한국어 교수자 20명을 대상으로 자료 조사하였다. 수집 된 자료 분석 결과 첫째, 한국어 읽기·쓰기의 필요성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직장을 갖거나, 한국 문화를 알거나, 자녀 교육을 하고자 하는 목적이 가장 컸 다. 둘째,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 읽기·쓰기에 대해 관심을 보였 다. 셋째, 한국어 교수자들은 한국어 읽기ㆍ쓰기 수업 시 유도된 연습을 선호하 는 교수법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학생 중심의 자율적 수업을 선호하고, 짝 활 동으로 이루어진 교실활동을 선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orean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orea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people subject to reinvestigation. It is about analyzing demand surveys for teachers and female married immigrants. To identify these limitations and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married immigrants in Gyeong-san. The survey especially showed the general situation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Korean read-write posture and recognition and demand for the read-write portion of textbook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married immigrants were learning Korean with the aim of learning more about Korean culture, working life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I thought reading and writing were important in learning Hangul, but I can't learn well because I don't have confidence. In the case of demand for Korean-language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reading material for understanding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which is a direct and practical material for everyday life. And there were also high demand for writing to promote friendly relations that could simply be used. Second, a survey of Korean teachers showed that they preferred classroom activities consisting of reading and writing classes, student-oriented self-regulatory lectures and activities by desk colleagu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used the textbooks, they showed that they used the reconstructed textbooks.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found that the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on reading and writing. Basically, it is necessary to set goals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lead a normal life and adapt flexibly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orean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orea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peop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Korean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to examin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Korean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people subject to reinvestigation. It is about analyzing demand surveys for teachers and female married immigrants. To identify these limitations and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married immigrants in Gyeong-san. The survey especially showed the general situation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Korean read-write posture and recognition and demand for the read-write portion of textbook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married immigrants were learning Korean with the aim of learning more about Korean culture, working life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I thought reading and writing were important in learning Hangul, but I can't learn well because I don't have confidence. In the case of demand for Korean-language reading and writing textbook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reading material for understanding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which is a direct and practical material for everyday life. And there were also high demand for writing to promote friendly relations that could simply be used. Second, a survey of Korean teachers showed that they preferred classroom activities consisting of reading and writing classes, student-oriented self-regulatory lectures and activities by desk colleague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used the textbooks, they showed that they used the reconstructed textbooks.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found that the focu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on reading and writing. Basically, it is necessary to set goals for Korea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lead a normal life and adapt flexibly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연구 목적
      • 2. 연구 방법 및 내용
      • II. 이론적 배경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연구 목적
      • 2. 연구 방법 및 내용
      • II. 이론적 배경
      • 1. 읽기ㆍ쓰기 교육의 특성
      • 2.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읽기 교육
      • 3.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쓰기 교육
      • Ⅲ. 요구조사 및 분석 결과
      • 1. 요구조사 방법
      • 2. 학습자 설문 결과
      • 3. 한국어 교수자 설문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