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21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anxiety, depression, intended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leep.
      Method: A total of 15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operativ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a cancer hospital in Gyeonggi-do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earch tools include the sleep quality i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orea version), gastric cancer symptoms experienced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LSD,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0.0 program.
      Result: Subject's quality of sleep was 7.81±3.521 point on average and quality of sleep domain among 7 sub-domains scored the highest presenting 1.49 poin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104 subjects in group with low quality of sleep (69.3%) and 46 subjects in group with fair quality of sleep (30.7%).
      In regards to symptom experience, 62%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presented to experience moderate fatigue or higher followed by distressed (upset) (58.0%), loss of appetite (55.3%), and sleepiness (drowsiness) (54.7%). Among daily life associated items influenced by the symptom, it was revealed that 48.6%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receiving moderate or higher influence on mood followed by enjoyment of life (42.7%), general activity (41.3%), and work (40.0%).
      Anxiety rating was 6.66±3.766 point on average and 78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51.9%) were under clinically significant anxiety. The depression rating was 7.89±3.173 point on average and 109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72.7%) was under depression.
      In regards to quality of sleep based on general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economic burden (F=2.449, p=.049). For the quality of sleep based on illness associated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diagnosis of gastric cancer (F=-2.116, p=.036), staging of gastric cancer (F=2.795, p=.043), and treatment status (F=3.686, p=.027).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f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r=.455, p<.001), anxiety (r=.259, p<.001), and depression (r=.354, p<.00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ymptom experience with anxiety (r=573, p<.001) and depression (r=.522, p=<.001).
      In regards to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 based on sleeping disorder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accordingly with the quality of sleep (F=-18.865, p=.001), degree of symptom (F=-3.535, p=.001), hindrance to daily life (F=-5.712, p=.001), total symptom points (F=-3.859, p= .001), anxiety (F=-2.249, p=.026), and depression (F=-3.476, p=.001).
      In regards to the factor that has influence o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symptom experience (β=.449, p<.001).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quality of sleep will be lowered with the increase in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regression model analysis, it was revealed to be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2.763, p<.001) and explanatory power of model (Adj R2) was revealed to be .191.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symptom experience is a variable to be considered for enhancement i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order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symptom experience such as fatigue, distressed, loss of appetite, sleepiness, etc. The significance of such result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anxiety, depression, intended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leep. Me...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anxiety, depression, intended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sleep.
      Method: A total of 15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eiving adjuvant chemotherapy, operativ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a cancer hospital in Gyeonggi-do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earch tools include the sleep quality i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orea version), gastric cancer symptoms experienced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LSD, Scheff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20.0 program.
      Result: Subject's quality of sleep was 7.81±3.521 point on average and quality of sleep domain among 7 sub-domains scored the highest presenting 1.49 poin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104 subjects in group with low quality of sleep (69.3%) and 46 subjects in group with fair quality of sleep (30.7%).
      In regards to symptom experience, 62%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presented to experience moderate fatigue or higher followed by distressed (upset) (58.0%), loss of appetite (55.3%), and sleepiness (drowsiness) (54.7%). Among daily life associated items influenced by the symptom, it was revealed that 48.6% of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was receiving moderate or higher influence on mood followed by enjoyment of life (42.7%), general activity (41.3%), and work (40.0%).
      Anxiety rating was 6.66±3.766 point on average and 78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51.9%) were under clinically significant anxiety. The depression rating was 7.89±3.173 point on average and 109 among total gastric cancer patients (72.7%) was under depression.
      In regards to quality of sleep based on general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economic burden (F=2.449, p=.049). For the quality of sleep based on illness associated trai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diagnosis of gastric cancer (F=-2.116, p=.036), staging of gastric cancer (F=2.795, p=.043), and treatment status (F=3.686, p=.027).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fy of sleep and symptom experience (r=.455, p<.001), anxiety (r=.259, p<.001), and depression (r=.354, p<.00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ymptom experience with anxiety (r=573, p<.001) and depression (r=.522, p=<.001).
      In regards to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 based on sleeping disorder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accordingly with the quality of sleep (F=-18.865, p=.001), degree of symptom (F=-3.535, p=.001), hindrance to daily life (F=-5.712, p=.001), total symptom points (F=-3.859, p= .001), anxiety (F=-2.249, p=.026), and depression (F=-3.476, p=.001).
      In regards to the factor that has influence o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symptom experience (β=.449, p<.001). In other word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quality of sleep will be lowered with the increase in degree of symptom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ducting regression model analysis, it was revealed to be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2.763, p<.001) and explanatory power of model (Adj R2) was revealed to be .191.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symptom experience is a variable to be considered for enhancement in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order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symptom experience such as fatigue, distressed, loss of appetite, sleepiness, etc. The significance of such result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the gastric cancer patients' quality of sleep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경험, 불안과 우울,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암 전문 병원에 내원하여 위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중이거나, 위암 수술을 시행 받은 자, 또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받은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수면의 질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Korea version), 위암환자의 증상 경험은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병원 불안과 우울은 병원-불안 우울 척도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s test와 LSD사후 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평균 7.81±3.521점으로 7개의 하위영역 중 수면의질 영역이 1.49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은 104명(69.3%)이었으며,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은 46명(30.7%)으로 나타났다.
      증상 경험은 전체 위암환자의 62.0%가 중등도 이상의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괴로움(58.0%), 식욕부진(55.3%), 졸음(54.7%)순으로 나타났다. 증상으로 인해 지장을 받는 일상생활에 관한 항목 중 전체 위암환자의 48.6%가 기분에 대해 중등도 이상의 영향을 받고 있었고 다음으로 인생 즐김(42.7%), 일상적인 활동(41.3%), 일(40.0%)의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불안 점수는 평균 6.66±3.766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78명(51.9%)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불안이 있는 상태였고, 우울 점수는 평균 7.89±3.173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109명(72.7%)이 우울이 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경제적 부담(F=2.449,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위암의 진단명(F=-2.116, p=.036), 위암의 병기(F=2.795, p=.043), 치료 상태(F=3.686,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과 증상경험(r=.455, p<.001), 불안(r=.259, p<.001), 우울(r=.354,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증상 경험과 불안(r=573, p<.001), 우울(r=.52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장애군에 따른 연구 변수의 차이는 수면의 질(F=-18.865, p=.001), 증상정도(F=-3.535, p=.001), 일상생활방해정도(F=-5.712, p=.001), 증상 총점(F=-3.859, p=.001), 불안(F=-2.249, p=.026), 우울(F=-3.47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상경험(β=.449, p<.001)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증상경험 정도가 높아지면 수면의 질은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763, p<.001), 모형의 설명력(Adj R2)은 19%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증상 경험이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의 향상을 위해 피로, 괴로움, 식욕부진, 졸음 등의 증상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경험, 불안과 우울,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 경험, 불안과 우울, 수면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암 전문 병원에 내원하여 위암 진단을 받고 항암화학요법 중이거나, 위암 수술을 시행 받은 자, 또는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받은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수면의 질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Korea version), 위암환자의 증상 경험은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MDASI-GI Korea), 병원 불안과 우울은 병원-불안 우울 척도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HADS)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Scheff's test와 LSD사후 검정,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평균 7.81±3.521점으로 7개의 하위영역 중 수면의질 영역이 1.49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다. 수면의 질이 낮은 군은 104명(69.3%)이었으며, 수면의 질이 양호한 군은 46명(30.7%)으로 나타났다.
      증상 경험은 전체 위암환자의 62.0%가 중등도 이상의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괴로움(58.0%), 식욕부진(55.3%), 졸음(54.7%)순으로 나타났다. 증상으로 인해 지장을 받는 일상생활에 관한 항목 중 전체 위암환자의 48.6%가 기분에 대해 중등도 이상의 영향을 받고 있었고 다음으로 인생 즐김(42.7%), 일상적인 활동(41.3%), 일(40.0%)의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다.
      불안 점수는 평균 6.66±3.766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78명(51.9%)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불안이 있는 상태였고, 우울 점수는 평균 7.89±3.173점으로 전체 위암환자 중 109명(72.7%)이 우울이 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경제적 부담(F=2.449,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PSQI)은 위암의 진단명(F=-2.116, p=.036), 위암의 병기(F=2.795, p=.043), 치료 상태(F=3.686,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과 증상경험(r=.455, p<.001), 불안(r=.259, p<.001), 우울(r=.354,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증상 경험과 불안(r=573, p<.001), 우울(r=.52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수면장애군에 따른 연구 변수의 차이는 수면의 질(F=-18.865, p=.001), 증상정도(F=-3.535, p=.001), 일상생활방해정도(F=-5.712, p=.001), 증상 총점(F=-3.859, p=.001), 불안(F=-2.249, p=.026), 우울(F=-3.47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증상경험(β=.449, p<.001)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증상경험 정도가 높아지면 수면의 질은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회귀모형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763, p<.001), 모형의 설명력(Adj R2)은 19%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증상 경험이 반드시 고려되어야할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위암환자의 수면의 질의 향상을 위해 피로, 괴로움, 식욕부진, 졸음 등의 증상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위암 환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1) 위암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4
      • 1) 위암 4
      • 2) 증상 경험 4
      • 3) 불안 및 우울 5
      • 4) 수면의 질 5
      • 4. 연구의 제한점 6
      • Ⅱ. 문헌 고찰 7
      • 1. 위암과 치료 7
      • 2. 암환자의 수면장애 10
      • 3. 암 환자의 수면장애 영향요인 12
      • 1) 증상 경험 12
      • 2) 우울 및 불안 14
      • Ⅲ. 연구 방법 17
      • 1. 연구 설계 17
      • 2. 연구 대상 17
      • 3. 연구 도구 18
      • 1) 증상 경험: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Gastrointestinal Cancer Module (MDASI-GI Korea) 18
      • 2) 우울 및 불안: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19
      • 3) 수면의 질: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Korea version) 19
      •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20
      • 4. 자료 수집 20
      • 5. 윤리적 고려 21
      • 6. 자료 분석 방법 22
      • Ⅳ. 연구 결과 23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3
      •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6
      • 3. 대상자의 증상경험 28
      • 4. 대상자의 우울 및 불안 30
      • 5. 대상자의 수면의 질 31
      • 6.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32
      • 7.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35
      • 8. 수면장애군에 따른 연구 변수 차이 검증 37
      • 9. 대상자의 수면의 질, 증상경험, 불안, 우울간의 관계 39
      • 10. 대상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 Ⅴ. 논 의 41
      • Ⅵ. 결론 및 제언 47
      • 참고문헌 49
      • 부 록 57
      • 국문초록 73
      • Abstract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