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 마음챙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der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957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8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sampled from a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cales of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ndfulness, perceived social suppor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ajor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indfulness and between uncondit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vert narcissism was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Mindfulness has a meaningful moderation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detail, the competent people on mindfulness has lowered the negativ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o decrease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s means that mindfulness prevents covert narcissism from decreas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 The subjec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s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8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sampled from a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cales of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indfulness, perceived social suppor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major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mindfulness and between uncondit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vert narcissism was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Mindfulness has a meaningful moderation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detail, the competent people on mindfulness has lowered the negativ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to decrease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s means that mindfulness prevents covert narcissism from decreas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ird, perceived social support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에 있는 한 곳의 고등학교 1, 2학년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내현적 자기애, 무조건적 자기수용, 지각된 사회적지지,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마음챙김,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는 이들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켜주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부적 상관에 의한 감소량이 덜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감소시키는 측면을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에 있는 한 곳의 고등학교 1, 2학년 408명을 대...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에 있는 한 곳의 고등학교 1, 2학년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인 내현적 자기애, 무조건적 자기수용, 지각된 사회적지지, 마음챙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마음챙김,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내현적 자기애는 이들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켜주어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부적 상관에 의한 감소량이 덜하였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감소시키는 측면을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무조건적 자기수용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10
      • 1) 내현적 자기애 10
      • (1) 자기애의 개념 10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이론적 배경 10
      • 1) 내현적 자기애 10
      • (1) 자기애의 개념 10
      • (2) 자기애의 유형 12
      • (3) 내현적 자기애의 특징 15
      • 2) 무조건적 자기수용 18
      • 3) 마음챙김 20
      • 4) 지각된 사회적 지지 23
      • 5)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마음챙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25
      • (1)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 25
      • (2) 내현적 자기애와 마음챙김 28
      • (3) 내현적 자기애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34
      • 3. 연구문제 및 가설 38
      • Ⅱ. 연구방법 40
      • 1. 연구대상 40
      • 2. 측정도구 40
      • 3. 연구절차 45
      • 4. 분석방법 46
      • Ⅲ. 연구결과 47
      • 1.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치 및 신뢰도 47
      •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47
      • 2.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48
      • 3.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검증 50
      • 4.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54
      • Ⅳ. 논 의 56
      • 참고문헌 74
      • 부 록 94
      • ABSTRACT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