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픈 소스 기반 데이터 분산 중복 제거 파일 시스템의 성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6624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21.39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Performance Analysis of Open Source-based Distributed De-duplication File System

      • 형태사항

        62 p.: 삽화;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최 훈
        참고문헌 : p. 57-58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FS, LessFS, SDFS is deduplication file system. Deduplication file system performance comparison results. Lessfs were shown the execution time and the CPU utilization good results. SDFS were shown reduce Storage usage 1/8 than the general file system ...

      ZFS, LessFS, SDFS is deduplication file system. Deduplication file system performance comparison results. Lessfs were shown the execution time and the CPU utilization good results. SDFS were shown reduce Storage usage 1/8 than the general file system
      In this paper, new system is propose that the SDFS and the Lessfs Combine Advantage. New system is use the two DFE and one DSE.
      New system combines one DSE with two DFE and it is keep up to data integrity and consistency. Test environment make a comparison between Single DFE and Dual DFE.
      Test result, Dual DFE was good better than Single DFE. Dual DFE target was reduced CPU usage and a fast deduplication time could confirm the result. In this paper, new system was achievement of the purposes.
      Thereby new system can be solved that problem of large data storage increase and of power consum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5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5
      • 1.2. 연구 내용 및 범위 6
      • 1.3. 논문 구성 8
      • 2. 관련연구 10
      • 1. 서론 5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5
      • 1.2. 연구 내용 및 범위 6
      • 1.3. 논문 구성 8
      • 2. 관련연구 10
      • 2.1. 중복제거와 중복제거처리방식 10
      • 2.2. Open Source Based De-duplication 기술 16
      • 2.2.1. ZFS(The Z File System) 16
      • 2.2.2. Lessfs(Data De-duplication for Less) 17
      • 2.2.3. SDFS(A user space De-duplication File System) 18
      • 2.3. Open Source Based De-duplication 장단점 19
      • 3. 분산 중복제거 하드웨어 구조 21
      • 3.1. 서버 구조 22
      • 3.2. 스토리지 구조 23
      • 3.2.1. 스토리지의 개요 23
      • 3.2.2. 스토리지의 구조 23
      • 3.3. SAN/NAS/DAS의 구조 24
      • 3.3.1. SAN(Storage Attached Network) 24
      • 3.3.2. NAS(Network Attached Storage) 26
      • 3.3.3. DAS(Direct Attached Storage) 28
      • 4. 분산 중복제거 소프트웨어 구조 29
      • 4.1. SDFS(A User Space De-duplication File System) 30
      • 4.2. DFE(De-duplication File Engine) 32
      • 4.3. DSE(De-duplication File Engine) 33
      • 4.4. Dual DFE(De-duplication File Engine) 35
      • 4.5. GFS2(Global File System) 36
      • 4.6. Fuse(File System in User Space) 38
      • 5. 성능 분석 39
      • 5.1. 성능 분석 시나리오 39
      • 5.1.1. Single DFE 데이터 입력 방식 39
      • 5.1.2. Dual DFE 데이터 입력 방식 40
      • 5.1.3. Dual DFE Meta 동기화 42
      • 5.1.4. 성능비교 시나리오 43
      • 5.2. 제안 시스템 성능 분석 45
      • 5.2.1. 가상화 환경 Dual DFE 성능 분석 45
      • 5.2.2. 물리적 환경 Single DFE와 Dual DFE의 압축 파일 분산 중복제거 성능 분석 49
      • 5.2.3. 물리적 환경 Single DFE와 Dual DFE의 일반 파일 분산 중복제거 성능 분석 51
      • 6. 결론 55
      • 참고문헌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