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치매인구의 증가, 돌봄 문화의 변화, 비용 부담 완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추진중인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이 수요자의 정책적 욕구를 포괄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2840
2024
-
치매 ; 치매관리정책 ; AHP ; 웰에이징 ; 좋은죽음 ; 삶의 질 ; Dementia ; Dementia Management Policy ; AHP ; Well-aging ; Good Death ; Quality of Life
338
학술저널
75-9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치매인구의 증가, 돌봄 문화의 변화, 비용 부담 완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추진중인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이 수요자의 정책적 욕구를 포괄하고 있...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에서 치매인구의 증가, 돌봄 문화의 변화, 비용 부담 완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추진중인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21-2025)’이 수요자의 정책적 욕구를 포괄하고 있는지 다각도에서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각종 치매관리정책을 통해 삶의 질 개선, 웰에이징, 좋은죽음에 이르게 될 것이다(성재숙 외, 2024).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돌봄가족집단(13명)과 돌봄잠재집단(14명), 돌봄전문가집단(11명)의 총 38명을 대상으로 집단별 욕구정책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국가치매관리정책의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을 계층화 구조로 구성하여 계층적 의사결정분석(AHP)을 실시하였으며, SPSS ver. 23 및 Expert Choice ver. 11.5를 이용하여 가중치 산정 및 정책적 욕구 분석, 우선순위 선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부에서의 치매돌봄강화 영역에 대한 계층화 분석 결과의 우선순위는 ‘치매조기발견’, ‘치매치료 전문성강화’, ‘가족서비스 다양화’ 치매정책에 우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치매지원제도강화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는 ‘의료요양확충’, ‘인식개선홍보’, ‘의료요양전문화’ 등의 치매정책에 우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에 따라 치매관련 정책사업의 예산 배정 및 조기 사업 추진 등의 다양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need to consider from multiple angles whether the Fourth Comprehensive Dementia Management Plan (2021-2025),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ementia population, ch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need to consider from multiple angles whether the Fourth Comprehensive Dementia Management Plan (2021-2025), which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dementia population, changing the care culture, and easing the cost burden, encompasses the policy needs of consumers, and various dementia management policies will lead to improved quality of life, well aging, and a good death (Song Jae-sook et al., 2024).
To this end, we analyzed the priority of policy needs by group for a total of 38 people, including the caregiver family group (13 people), potential caregiver group (14 people), and care professional group (11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presented the results.
As a quantitative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structed the policy goals and policy measures of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policy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performed hierarchical decision analysis (AHP). 23 and Expert Choice ver. 11.5 were used to calculate weights, analyze policy needs, and select and analyze prior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caregiver family group, the potential caregiver group in the near future, and the care professional group, and looked at the priorities required by each group.
The government's priorities for the areas in which dementia care needs to be strength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ratified analysis suggest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dementia policies such as “early detection of dementia,”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dementia treatment,” and “diversifying family services.” Meanwhile, the priorities for the area in which dementia support systems need to be strengthened suggest that priority should be given to dementia policies such as “expanding medical care,” “public relations to improve awareness,” and “a culture of specialized medical care.” Therefore,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such as allocating budgets to dementia-related policy projects and promoting projects early.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비교적 고찰 - 미국,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웰에이징 관점에서 죽음 인식 준비의 결정요인 연구 - 노인실태조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우리나라 1인가구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해외 1인가구 지원정책(주거 및 사회적 관계)의 비교를 중심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공감성에 미치는 영향 - 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