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ve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0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verifies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n their sexual assault perpet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is pathway.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o five hundred and eighty one students in from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resident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31% of the subjects answered to hav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cluding verbal violenc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exual compulsion of the subjec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higher the sexual compulsion, the more frequent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f the subjects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sexual compulsion on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impact decreases when there is positive parents-children interaction. The researchers suggest possible practical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for the sexual violence problems in adolescents.
      번역하기

      The present research verifies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n their sexual assault perpet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is pathway.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o five hun...

      The present research verifies the impact of male adolescent’s sexual compulsion on their sexual assault perpet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n this pathway.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o five hundred and eighty one students in from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residents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31% of the subjects answered to hav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including verbal violence.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sexual compulsion of the subjec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higher the sexual compulsion, the more frequent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Parents-children interaction of the subjects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the sexual compulsion on the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and the impact decreases when there is positive parents-children interaction. The researchers suggest possible practical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 for the sexual violence problems in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청소년 중 31%가 언어적 성폭력을 포함한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충동이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성충동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성폭력 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 3학...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경로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의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학생 581명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청소년 중 31%가 언어적 성폭력을 포함한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충동이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면 성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성충동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성폭력 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인영,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12 (12): 138-148, 2001

      2 김윤정, "청소년들의 성충동과 성충동 대처간의 관계에서 성태도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85-406, 2004

      3 한상철,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85-210, 2009

      4 김은화,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대한가정학회 45 (45): 71-91, 2007

      5 김재엽, "청소년 성폭력 예방과 대책을 위한 성폭력 특별법의 개정방향" 27 : 1-16, 1998

      6 신기숙,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7 박영숙, "청소년 성심리검사의 신뢰도와 요인구조" 20 (20): 775-793, 2001

      8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성폭력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125-145, 2005

      9 박영숙, "중학생용 성심리검사 개발" 20 : 259-278, 2001

      10 김재엽, "자기통제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간 관계 분석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31 (31): 79-106, 2010

      1 한인영, "청소년의 성행동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12 (12): 138-148, 2001

      2 김윤정, "청소년들의 성충동과 성충동 대처간의 관계에서 성태도의 중재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85-406, 2004

      3 한상철,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의 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85-210, 2009

      4 김은화, "청소년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대한가정학회 45 (45): 71-91, 2007

      5 김재엽, "청소년 성폭력 예방과 대책을 위한 성폭력 특별법의 개정방향" 27 : 1-16, 1998

      6 신기숙,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7 박영숙, "청소년 성심리검사의 신뢰도와 요인구조" 20 (20): 775-793, 2001

      8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성폭력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7 (17): 125-145, 2005

      9 박영숙, "중학생용 성심리검사 개발" 20 : 259-278, 2001

      10 김재엽, "자기통제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인터넷 음란물 이용과 성폭력 가해간 관계 분석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 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31 (31): 79-106, 2010

      11 신현기, "우리나라 성폭력범죄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6 (16): 249-274, 2006

      12 최선희, "아동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의 다차원 상호작용" 한국아동복지학회 21 (21): 233-258, 2006

      13 이미경, "성폭력의 실태와 대책" 4 : 157-175, 2000

      14 조현빈,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 이해" 한국범죄심리학회 2 (2): 39-59, 2006

      15 고선영, "성폭력 범죄의 원인과 개입전략에 대한 고찰"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117-146, 2004

      16 김재엽, "성폭력 경험이 청소년기 여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왜곡된 성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0 (30): 231-247, 2009

      17 이상균,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자녀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가?: 조기·후기비행 진입청소년의 비행경로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24): 249-282, 2008

      18 박영숙, "고등학생용 성심리검사의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891-909, 2002

      19 전영실, "가족유대와 비행의 관계─허쉬의 사회통제이론에 대한 수정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277-304, 2007

      20 Martinez, R., "Validity of the juvenile sex offender assessment protocol Ⅱ(J-Soap-Ⅱ) in a Sample of Urban Minority Youth" 34 (34): 1284-1295, 2007

      21 Becker, J. V., "Understanding and treating child and adolescent sexual offenders" 19 : 177-197, 1997

      22 Marshall, W. L.,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bonds in the development of juvenile sex offending. in: The juvenile sex offenders" Guilford 164-181, 1993

      23 Barbaree, H. E., "Stimulus control of sexual arousal. in: Handbook of sexual abuse:Issues, theories, and treatment of the offender" Plenum Press 115-142, 1990

      24 Grotpeter, J., "Sexual Violence:Longitudinal, Multigenerational Evidence from the National Youth Surv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2008

      25 Langstrom, N., "Risk for criminal recidivism among young sex offenders" 15 : 855-871, 2000

      26 Finkenauer, C., "Parenting behaviour and adolescent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The role of self-control" 29 (29): 58-69, 2005

      27 Borduin, C. M., "Multisystemic treatment of juvenile sexual offenders:A progress report" 13 (13): 25-42, 2001

      28 Longo, R. E., "Juvenile Sexual Offenses in the Histories of Adult Rapists and Child Molesters" 27 (27): 150-155, 1983

      29 Ronis, S. T., "Individual, family, pe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male juvenile sexual offenders" 35 (35): 153-163, 2007

      30 Blaske, D. M., "Individual, family, and pee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ex offenders and assaultive offenders" 25 : 846-855, 1989

      31 Camp, C. M., "Handbook of adolescent behavioral problems evidence-based approaches to prevention and treatment, Chapter 22, Adolescent Sex Offenders" Springer 2005

      32 Hill, G. D., "Gender, family control, and delinquency" 26 (26): 127-149, 1988

      33 Bischof, G. P., "Family environments of adolescent sex offenders and other juvenile delinquents" 30 (30): 157-170, 1995

      34 Hetherington, E. M., "Coping with marital transitions:A family systems perspective" 57 : 1992

      35 Patock-Peckham, J. A., "College drinking behaviors:Mediational links between parenting styles, impulse control, and alcohol-related outcomes" 20 (20): 117-125, 2006

      36 Vizard, E., "Child and Adolescent Sex Abuse Perpetrators: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36 (36): 731-756, 1995

      37 Hirschi, T., "Causes of delinquenc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38 Prentky, R., "An Actuarial Procedure for Assessing Risk with Juvenile Sex Offenders" 12 (12): 71-93, 2000

      39 Moffitt, T., "Adolescent-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100 (100): 674-701, 1993

      40 Fehrenbach, P. A., "Adolescent sexual offenders:Offenders and offense characteristics" 56 : 225-233, 1986

      41 Becker, J. V., "Adolescent sexual offenders:Demographics, criminal and sexual histories, and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future offenses" 1 : 431-445, 1986

      42 Hagan, M. P., "A ten-year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rapists upon return to the community" 43 : 448-458, 1999

      43 Bischof, G. P., "A comparison of the family systems of adolescent sexual offenders and nonsexual offending delinquents" 41 (41): 318-323,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