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2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3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4 김진숙,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1-79, 2011
5 이유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9-259, 2014
6 김미진,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43-162, 2014
7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8 고영자,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22, 2006
9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27-263, 2005
10 이명순,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65-284, 2013
1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2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3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4 김진숙,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1-79, 2011
5 이유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9-259, 2014
6 김미진,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43-162, 2014
7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8 고영자,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22, 2006
9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27-263, 2005
10 이명순,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65-284, 2013
11 이호균, "아동관련 종사자에 대한 아동권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아동권리교육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387-409, 2014
12 이재연, "아동과 권리" 한국아동학회 30 (30): 153-165, 2009
13 김미정,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187-210, 2014
14 황해익,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11-438, 2015
15 황해익,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93-122, 2013
16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47-270, 2012
17 Lee, J. H.,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rights of respecting infant care's nursing practice" Hanyang University 2014
18 Kim, S. 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center teacher’s edu-care beliefs and happiness and their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respect edu-care" Chungang University 2012
19 Park, S. 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 child 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du-care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 Chungang University 2012
20 Yoon, M J., "The effectiveness and meaning of self supervision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 edu-c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0
21 Butler, J., "The PRE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International Positive Psychology Association 2013
22 Hargreaves, A., "The Global Fourth Way" 21st Educational Research Center 2015
23 "Report of Korea Monitoring Center for Children’s Rights, In The Ministry of Health-Welfare" Korea Monitoring Center for Children’s Rights 2013
24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289-331, 1985
25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Kyoyookkwahaksa 2006
26 "General Comment No. 7: Implementing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27 Reardon, B. A., "Education for Human Dignity: Learning about Right and Responsibilit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5
28 Donaldson, S., "Applied Positive Psychology: Improving Everyday Life, Health, Schools, Work, and Society" Psychology Press 2011
29 Ryu, S. J., "A survey study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Kyungsung University 2012
30 Yoo, H. M., "A study on the children’s rights and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
31 Kim, T. 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edu-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s rights-respected edu-care" Chungang Universit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