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Childcare Center Teachers’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6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ildcare center teachers’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teachers working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deeply understood the real meaning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ought about their own teaching practices, and had opportunities to be better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y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a comfortable atmosphere for young children to feel safe and in control of their own learning.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bout how to support childcare center teachers’ growth, learning, and practices in facilitating children’s righ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ildcare center teachers’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teachers working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ildcare center teachers’ implementation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teachers working at a childcare center located in A c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deeply understood the real meaning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ought about their own teaching practices, and had opportunities to be better teachers for young children. They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a comfortable atmosphere for young children to feel safe and in control of their own learning.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bout how to support childcare center teachers’ growth, learning, and practices in facilitating children’s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경험과 그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A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4명을 대상으로 약 4개월 동안 총 16회기에 걸친 반구조화된 형태의 개별면담 및 그룹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인 실행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권리존중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깊게 들여다보면서, 교수 실제를 점검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좋은 교사로 한발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다. 나아가 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편안한 보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실행과정에서 구성해가는 교사들의 내러티브들을 토대로, 진정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거창한 이론이나 특별히 개발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따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실제에서 영유아중심 보육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들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경험과 그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A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경험과 그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A시에 소재한 B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4명을 대상으로 약 4개월 동안 총 16회기에 걸친 반구조화된 형태의 개별면담 및 그룹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적인 실행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권리존중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깊게 들여다보면서, 교수 실제를 점검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좋은 교사로 한발 더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하였다. 나아가 교사들은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편안한 보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이 실행과정에서 구성해가는 교사들의 내러티브들을 토대로, 진정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거창한 이론이나 특별히 개발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따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실제에서 영유아중심 보육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들을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2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3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4 김진숙,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1-79, 2011

      5 이유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9-259, 2014

      6 김미진,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43-162, 2014

      7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8 고영자,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22, 2006

      9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27-263, 2005

      10 이명순,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65-284, 2013

      1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2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3 서혜정,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4 김진숙,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51-79, 2011

      5 이유미,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239-259, 2014

      6 김미진,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43-162, 2014

      7 김정화,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43-364, 2014

      8 고영자,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22, 2006

      9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227-263, 2005

      10 이명순, "아동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이행수준"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65-284, 2013

      11 이호균, "아동관련 종사자에 대한 아동권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아동권리교육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387-409, 2014

      12 이재연, "아동과 권리" 한국아동학회 30 (30): 153-165, 2009

      13 김미정,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협동적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7) : 187-210, 2014

      14 황해익, "보육교사의 성격강점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411-438, 2015

      15 황해익,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93-122, 2013

      16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47-270, 2012

      17 Lee, J. H.,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teacher's educational belief and rights of respecting infant care's nursing practice" Hanyang University 2014

      18 Kim, S. 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center teacher’s edu-care beliefs and happiness and their implement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 respect edu-care" Chungang University 2012

      19 Park, S. 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 child 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du-care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 Chungang University 2012

      20 Yoon, M J., "The effectiveness and meaning of self supervision for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 edu-car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0

      21 Butler, J., "The PRE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International Positive Psychology Association 2013

      22 Hargreaves, A., "The Global Fourth Way" 21st Educational Research Center 2015

      23 "Report of Korea Monitoring Center for Children’s Rights, In The Ministry of Health-Welfare" Korea Monitoring Center for Children’s Rights 2013

      24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289-331, 1985

      25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Kyoyookkwahaksa 2006

      26 "General Comment No. 7: Implementing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27 Reardon, B. A., "Education for Human Dignity: Learning about Right and Responsibilit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5

      28 Donaldson, S., "Applied Positive Psychology: Improving Everyday Life, Health, Schools, Work, and Society" Psychology Press 2011

      29 Ryu, S. J., "A survey study of children’s rights and practice of safeguard for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Kyungsung University 2012

      30 Yoo, H. M., "A study on the children’s rights and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

      31 Kim, T. 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edu-care teachers and young children’s rights-respected edu-care" Chungang University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