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기와 논설 문체 형성 과정과 자기 형상의 글쓰기 = A Study on Figuration of Self-Identity way of Using the Classical Sty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31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aims to deal with the nature of writing and skill that the figuration of self-identity. The results of composition means social communication, expression of thought and problem-solution. But the nature of writing is based self-expression.
      We have a good traditional writing culture. I notice the biographical writings and rhetorical writings. But the Korean traditional biographical writings were divided into chronicle style and descriptive style. The former was called JEON(傳) and the latter was called GI (記). Two style became one style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rhetoric style were similar to biographic writings. The RON(論) means discussion·argument or remarks, but the SEOL(說) means explanation about self experience and observations. Two style became one so-called rhetoric.
      I propose the methods of usage these traditional style for figuration of self-consciousness. I concluded the needs of objectification produced the integration of style. Self figuration require these elements.(Konkuk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report aims to deal with the nature of writing and skill that the figuration of self-identity. The results of composition means social communication, expression of thought and problem-solution. But the nature of writing is based self-expression. ...

      This report aims to deal with the nature of writing and skill that the figuration of self-identity. The results of composition means social communication, expression of thought and problem-solution. But the nature of writing is based self-expression.
      We have a good traditional writing culture. I notice the biographical writings and rhetorical writings. But the Korean traditional biographical writings were divided into chronicle style and descriptive style. The former was called JEON(傳) and the latter was called GI (記). Two style became one style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rhetoric style were similar to biographic writings. The RON(論) means discussion·argument or remarks, but the SEOL(說) means explanation about self experience and observations. Two style became one so-called rhetoric.
      I propose the methods of usage these traditional style for figuration of self-consciousness. I concluded the needs of objectification produced the integration of style. Self figuration require these elements.(Konkuk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문산문 수사법과 현대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5) : 9-42, 2007

      2 김철범,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작문학회 (1) : 65-110, 2005

      3 배수찬, "한문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작문학회 (1) : 231-254, 2005

      4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5 건국대 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창조적 글쓰기" 쿠북 2009

      6 이태준, "증정 문장강화" 박문서관 1946

      7 김성룡,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한국작문학회 (11) : 111-136, 2010

      8 강혜선, "조선후기 小品文과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5) : 43-74, 2007

      9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10 신종락, "전자책과 인터넷 글쓰기로 인한 문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인문학연구소 71 : 435-466, 2012

      1 심경호, "한문산문 수사법과 현대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5) : 9-42, 2007

      2 김철범,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작문학회 (1) : 65-110, 2005

      3 배수찬, "한문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작문학회 (1) : 231-254, 2005

      4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5 건국대 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창조적 글쓰기" 쿠북 2009

      6 이태준, "증정 문장강화" 박문서관 1946

      7 김성룡,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한국작문학회 (11) : 111-136, 2010

      8 강혜선, "조선후기 小品文과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5) : 43-74, 2007

      9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10 신종락, "전자책과 인터넷 글쓰기로 인한 문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인문학연구소 71 : 435-466, 2012

      11 박미정, "전기문 쓰기의 지도 요소 연구" 한국작문학회 (2) : 145-190, 2006

      12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작문학회 1 (1): 39-64, 2005

      13 최숙기,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작문학회 (5) : 205-240, 2007

      14 김경남,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우리말글학회 48 : 267-289, 2010

      15 최재학, "실지 응용 작문법" 휘문관 1909

      16 이각종, "실용 작문법" 박문서관 1911

      17 김근호,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한국작문학회 (10) : 303-336, 2010

      18 원진숙,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1) : 137-164, 2010

      19 김덕환, "문체학" 선명문화사 1964

      20 박영순, "문체론의 본질, In 국어 문체론" 대한교과서(주) 2-25, 1994

      21 이인모, "문체론" 이우출판사 1975

      22 최재학, "문장지남" 휘문관 1908

      23 이태준, "문장 강화" 문장사 1 (1): 196-205, 1939

      24 박수자, "독해와 읽기 지도" 한국문화사 1994

      25 이재성, "글쓰기 주체인 ‘나’와 의사소통 매개인 ‘우리 생각’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한국 문법교육학회 107-127, 2005

      26 김경연, "근대문학의 제도화와 여성의 읽고 쓰기 -『신여성』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66 : 97-126, 2009

      27 박갑수, "국어 문체 연구사, In 국어 문체론" 대한교과서(주) 26-44, 1994

      28 이영호, "관습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2) : 191-226, 2006

      29 이용주, "고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經學史의 경험을 통해 본 현대 중국의 “讀經 論爭”" 인문학연구소 66 : 205-242, 2009

      30 김영희,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45-109, 2010

      31 김경남, "1930년대 안서 김억의 ‘작문론’에 나타난 작문관" 한국문학언어학회 (50) : 163-188, 2009

      32 김경남, "1920~30년대 편지글의 형식과 문체 변화" 겨레어문학회 (41) : 189-21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gito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2 1.18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