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경호, "한문산문 수사법과 현대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5) : 9-42, 2007
2 김철범,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작문학회 (1) : 65-110, 2005
3 배수찬, "한문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작문학회 (1) : 231-254, 2005
4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5 건국대 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창조적 글쓰기" 쿠북 2009
6 이태준, "증정 문장강화" 박문서관 1946
7 김성룡,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한국작문학회 (11) : 111-136, 2010
8 강혜선, "조선후기 小品文과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5) : 43-74, 2007
9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10 신종락, "전자책과 인터넷 글쓰기로 인한 문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인문학연구소 71 : 435-466, 2012
1 심경호, "한문산문 수사법과 현대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5) : 9-42, 2007
2 김철범, "한문고전의 글쓰기 이론과 그 현재적 의미" 한국작문학회 (1) : 65-110, 2005
3 배수찬, "한문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작문학회 (1) : 231-254, 2005
4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5 건국대 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창조적 글쓰기" 쿠북 2009
6 이태준, "증정 문장강화" 박문서관 1946
7 김성룡, "중세 글쓰기에 나타난 자아정체성의 교육적 가치" 한국작문학회 (11) : 111-136, 2010
8 강혜선, "조선후기 小品文과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5) : 43-74, 2007
9 한국문학교육학회, "정전(正典)" 역락 2010
10 신종락, "전자책과 인터넷 글쓰기로 인한 문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인문학연구소 71 : 435-466, 2012
11 박미정, "전기문 쓰기의 지도 요소 연구" 한국작문학회 (2) : 145-190, 2006
12 이재승, "작문 교육의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작문학회 1 (1): 39-64, 2005
13 최숙기, "자기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의 교육적 함의" 한국작문학회 (5) : 205-240, 2007
14 김경남,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우리말글학회 48 : 267-289, 2010
15 최재학, "실지 응용 작문법" 휘문관 1909
16 이각종, "실용 작문법" 박문서관 1911
17 김근호, "서사 표현으로서 자기 소개서 쓰기의 본질" 한국작문학회 (10) : 303-336, 2010
18 원진숙,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1) : 137-164, 2010
19 김덕환, "문체학" 선명문화사 1964
20 박영순, "문체론의 본질, In 국어 문체론" 대한교과서(주) 2-25, 1994
21 이인모, "문체론" 이우출판사 1975
22 최재학, "문장지남" 휘문관 1908
23 이태준, "문장 강화" 문장사 1 (1): 196-205, 1939
24 박수자, "독해와 읽기 지도" 한국문화사 1994
25 이재성, "글쓰기 주체인 ‘나’와 의사소통 매개인 ‘우리 생각’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한국 문법교육학회 107-127, 2005
26 김경연, "근대문학의 제도화와 여성의 읽고 쓰기 -『신여성』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66 : 97-126, 2009
27 박갑수, "국어 문체 연구사, In 국어 문체론" 대한교과서(주) 26-44, 1994
28 이영호, "관습적 글쓰기와 창의적 글쓰기" 한국작문학회 (2) : 191-226, 2006
29 이용주, "고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經學史의 경험을 통해 본 현대 중국의 “讀經 論爭”" 인문학연구소 66 : 205-242, 2009
30 김영희,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와 의의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45-109, 2010
31 김경남, "1930년대 안서 김억의 ‘작문론’에 나타난 작문관" 한국문학언어학회 (50) : 163-188, 2009
32 김경남, "1920~30년대 편지글의 형식과 문체 변화" 겨레어문학회 (41) : 189-21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