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청소년의 가족 이미지, 가족 개념 및 미래가족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4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2 (9 boys and 3 girls) and a control group of 12 adolescents (6 boys and 6 girls) in E residential care.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each session)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amily-image, family 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were tested in both groups by questionnaires, and 1:1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data thus gather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COVA and a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materials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her-image. Second,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mily-role. Third,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future family values. Forth, the 1:1 interviews and the qualitative material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2 (9 boys and 3 girls) and a control group of 12 adolescents (6 boys and 6 girls) in E residential care.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each session)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amily-image, family 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were tested in both groups by questionnaires, and 1:1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data thus gather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COVA and a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materials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her-image. Second,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mily-role. Third, the bibliotherapy program was not effective in improving future family values. Forth, the 1:1 interviews and the qualitative material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family-image, family-concept and future family values for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미옥,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도서 탐색" 한국아동학회 25 (25): 89-104, 2004

      2 김수경,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8 (38): 277-298, 2007

      3 전숙영, "청소년의 문제행동 치료를 위한 소시오드라마의 집단발달과정 및 치료요인 연구" 한양대학교 2003

      4 최명선, "청소년의 가족 지칭어에 대한 이미지 연구-서울·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31-48, 2005

      5 황현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건강가족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고등학생이 지각한 결혼·가족관과 가족형성자신감 그리고 근원가족 건강성과 부모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63-82, 2004

      6 김성희, "청년 남녀의 이혼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75-85, 2003

      7 Yalom, I. D,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하나의학사 2001

      8 Corey, G,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1

      9 윤진숙, "중학생의 가정교과내용의 필요도 인식과 가족생활가치관: 가족 및 가정관리영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2

      10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1 서미옥,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도서 탐색" 한국아동학회 25 (25): 89-104, 2004

      2 김수경,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8 (38): 277-298, 2007

      3 전숙영, "청소년의 문제행동 치료를 위한 소시오드라마의 집단발달과정 및 치료요인 연구" 한양대학교 2003

      4 최명선, "청소년의 가족 지칭어에 대한 이미지 연구-서울·경기지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31-48, 2005

      5 황현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건강가족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고등학생이 지각한 결혼·가족관과 가족형성자신감 그리고 근원가족 건강성과 부모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1 (11): 63-82, 2004

      6 김성희, "청년 남녀의 이혼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75-85, 2003

      7 Yalom, I. D,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하나의학사 2001

      8 Corey, G,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01

      9 윤진숙, "중학생의 가정교과내용의 필요도 인식과 가족생활가치관: 가족 및 가정관리영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2002

      10 장경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43-162, 2003

      11 Luquet-wade, "이마고 부부치료" 학지사 2004

      12 이양숙, "육아시설청소년의 부모체험 연구" 충남대학교 1999

      13 김영옥, "우리나라 여대생의 배우자 선택 및 결혼관에 관한 조사연구" 8 (8): 25-42, 1999

      14 김영희, "아동의 가족 지칭어에 대한 이미지 연구-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8 (8): 1-19, 2001

      15 박은선,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들의 자립생활 준비를 위한 일반주의 실천 접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5

      16 강문희, "아동발달" 교문사 2004

      17 신혜령,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2001

      18 배은숙, "시설청소년의 가족 인식 및 건강가정 형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요구-시설청소년과 퇴소자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0 (10): 107-126, 2006

      19 배은숙, "시설청소년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백석대학교 2007

      20 염세영, "시설청소년을 위한 독서치료" 부산대학교 2005

      21 강복정, "시설청소년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연구: 건강가족적 관점" 5 (5): 153-182, 2000

      22 유안진, "시설아동의 자아정체감과 심리․사회적 적응: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을 중심으로" 15 (15): 135-149, 2001

      23 이춘지, "시설아동의 자기 표현능력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효과분석" 조선대학교 2006

      24 이미혜, "시설보호형태에 따른 보호청소년의 자아개념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2002

      25 현은민,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9-29, 2005

      26 정선욱,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2002

      27 한근희, "시설보호 아동 및 청소년의 입소원인 지각 및 통계소재에 따른 문제행동 유형" 명지대학교 2005

      28 최나야, "시설 청소년의 대인관계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61-174, 2002

      29 강복정, "시설 청소년을 위한 자립준비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적응 및 건강가정형성교육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0 (40): 33-48, 2002

      30 이희숙, "시설 아동 및 청소년 대상 독 서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대구 광역시 아동복지 시설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2008

      31 박종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이야기치료" 학지사 2005

      32 문경여,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동화 선정 및 프로그램 효과" 명지대학교 2006

      33 한윤옥,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상황설정 및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 37 (37): 5-25, 2003

      34 김갑선, "독서치료관련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1984-2006" 6 : 153-187, 2006

      35 김안희, "독서치료가 중학교 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2009

      36 최정미, "독서요법을 통한 시설아동의 심리와 행동의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2

      37 채혜정, "교사, 학부모, 아동의 상담 욕구에 기초한 통합적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5 (25): 299-320, 2004

      38 이지현, "가출 청소년의 가족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8

      39 권오미, "가족치료에서 동적가족화의 활용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2001

      40 송명숙, "가족내 아동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가족 개념과 자아존중감 종속변인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2005

      41 전종미, "‘가족’ 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3

      42 Prater, M. A., "Using Children's Books as Bibliotherapy for At-Risk Students: A Guide for Teachers" 50 (50): 5-13, 2006

      43 Ryan, S., "Traditional practices, new possibilities: transforming dominant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4 (24): 14-19, 1999

      44 Chase-Lansdale, P. L., "The long effects of parental divor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ng adults: A developmental perpective" 65 : 1614-1634, 1995

      45 Fernandez,E, "The grim legacy of divorce" 3 : 5-15, 1997

      46 Gries,L.T, "The Use of Multiple Goals in the Treatment of Foster Children With Emotional Disorders" 17 (17): 381-390, 1986

      47 Lerner.A, "Some semantic considerations in poetry therapy"

      48 Iaquinta, A, "Practical Bibliotherpy Strategies for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 34 (34): 209-213, 2006

      49 Marlowe, M., "Phenomenology of Bibliotherapy in Modifying Teacher Punitiveness" 161 (161): 325-336, 2000

      50 Friedlander, W, A,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Prentice-Hall 1980

      51 Roy, P., "Institutional Care: Risk from Family Background or Patten of Rearing?" 41 (41): 139-149, 2000

      52 Tussing, H. L., "Helping Adolescents Cope with the Mental Illness of a Parent Through Bibliotherapy" 18 (18): 455-469, 2001

      53 Kramer, P. A, "Easing the pain of divorce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26 (26): 89-94, 1998

      54 Doll, B.,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Librarian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 Libraries Unlimited, inc 1997

      55 Leathers,S.J, "Behavioral Disturbance Among Foster Children: The Role of Detachment From Care givers and Community Instit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2000

      56 Susan McEvilly, "Adolescent Identity Development in Foster Care" 46 (46): 263-269, 1997

      57 Mckinney,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in foster ca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