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서비스에 있어서 규제형평성 문제는 국내외사업자 간의 동일서비스 동일규제의 문제와 관련된다. 최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국내외 규제차별로 인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29188
2015
-
360
KCI등재
학술저널
467-495(29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서비스에 있어서 규제형평성 문제는 국내외사업자 간의 동일서비스 동일규제의 문제와 관련된다. 최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국내외 규제차별로 인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
인터넷서비스에 있어서 규제형평성 문제는 국내외사업자 간의 동일서비스 동일규제의 문제와 관련된다. 최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국내외 규제차별로 인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인터넷상에서의 규제는 단순히 규제의 적용에 있어서 사업자간 불공정 문제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의 규제 관할권 확보와 관련된다. 국가의 관할권은 결국 국가가 인터넷 공간에서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의 문제와 연계된다. 또한 일부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터넷의 영향으로 인해 국내문제에 대하여 외국의 개입이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국가주권의 힘이 빠른 속도로 잠식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 공간에서의 국가주권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검토한 후 국가주권에 근거한 규제의 집행으로서 규제형평성원리가 국내외사업자에게 공정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주권개념은 각 국가들의 독립성과 자주성을 전제로 한 국가 간 관계 규율의 한계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국제관계의 근본적 골격이 되어왔기 때문에, 인터넷 공간에서의 주권개념의 전면적인 포기나 변경은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국가주권의 개념이 인터넷 공간에서 여전히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며 다만 국가주권이 작동되는 방식이 영토기반의 주권실현 방식과 다를 수 있을 뿐이다. 즉 인터넷 공간의 국민 역시 국가주권에 의한 국가운영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이며, 인터넷 공간이라고 해서 국가주권이 배제될 수 없다. 다만 세계 모든 국가는 서로 고유한 법체계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형성해 온, 정치·사회·경제적 배경이 각각 다르므로 인터넷 공간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규제를 만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 인터넷 규제의 국제적 합의의 실패는 국가 간에 논쟁과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우리의 국가주권을 얼마만큼 지켜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독립국가로서의 위상과 국민적 자부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민감하면서도 중요할 수밖에 없다. 인터넷 공간은 여전히 한 국가의 주권이 미치는 영역이며 이러한 주권의 실현으로서 규제형성 및 집행과 관련된 관할권이 인정된다. 따라서 인터넷 활동이 자국 영토 이외의 지역에서 물리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경우라 할지라도 국내에서 발생한 불법적 결과와 견련성 있는 경우 효과적인 규제의 집행을 위해 그들에 대한 규제관할권이 인정되게 된다. 이러한 규제는 마땅히‘동일범주 동일대우의 원칙’, ‘분배기준 조절의 원칙’ 등의 규제형평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즉 차별 없이 규제 집행력이 담보되어야 공정경쟁을 통한 수범자의 자발적 규범준수를 기대할 수 있으며 규제의 일관성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 공간의 특성에 기반하여 규제를 우회 또는 회피함으로서 주권에 기반 한 국가규제의 무력화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비스니스에 있어서 “동일범주 동일대우의 원칙”이라는 규제형평성이 국내외 사업자 간에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규제의 품질저하 및 불평등 규제로 인한 규제비용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터넷상의 주권에 기반 한 규제형평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규제영향분석 시 역차별가능성 요소를 명확히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사전에 인터넷상의 불합리한 규제를 억제하고 사실상의 규제개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넷 규제 거버넌스’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외에서 국내의 이용자에게 제공된 온라인 서비스가 국내에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가치와 관련된 경우 즉 국가주권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경우 온라인상의 국가관할권이 인정됨을 명확히 함으로서 인터넷 공간에서의 규제형평성 실현을 위핸 국가의 의지를 천명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regulatory discrimin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have been consistently raised. Regulation on the Internet is associated with securing regulatory jurisdiction of the state. The jurisdiction of the state is ul...
Recently, regulatory discrimin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ternet service providers have been consistently raised. Regulation on the Internet is associated with securing regulatory jurisdiction of the state. The jurisdiction of the state is ultimately linked to the issue of whether the state can exercise its sovereignty in the cyberspace. This paper, after reviewing about the meanings of sovereignty in the cyberspace, tried to look for ways that equitable enforcement of regulations can be implemented fairly to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sovereignty. Since the concept of sovereignty has a function as the limi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ies governed by assuming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each country, sweeping waiver or modification of the concept of sovereignty in the cyberspace is unrealistic. Therefore, the concept of state sovereignty is still present in the cyberspace. However, the manner in which state sovereignty s working can be modified in the cyberspace. In other words, the people of the cyberspace can not be ompletely free from the country also operated by state sovereignty, and state sovereignty can not be ruled out in the cyberspace. But all over the world, each country has a unique legal system and culture, having formed each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so the unified regulation on the cyberspace around the world, is not feasible. Eventually,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consensus on Internet regulations can lead to disputes and conflicts between nations. In this conflicts, whether we are able to observe state sovereignty is a sensitive and important issue. because it may affect the phase and national pride as an independent state. The cyberspace is still the area on the sovereignty of a country, as the realization of such a sovereign, jurisdiction regarding making and enforcing regulation about cyberspace is recognized. Therefore, even if the business activity in the cyberspace is provided by the foreign operators, if it is connected to the illegal results occurred in domestic, regulatory jurisdiction over them is to be recognized for the effective nforcement of regulation. Equity in regulatory implementation shall be applied. That regulation is to be enforced without discrimination, the process can expect the voluntary compliance with the regulation through the fair competition,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consistency of regul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berspace, bypassing or avoiding regulation has occurred. Also in the Internet business "the principle of the same category, the same treatment" of regulatory equity has not been kept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rriers, and due to the regulation deterioration and unequal regulation, regulatory costs are also being used excessively. So I would like to propose three measures to implement regulatory equity based on state sovereignty over the cyberspace. First, in implementing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reverse discrimination factor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operators need to be clearly reflected. Also in order to perform role to prevent unreasonable regulations on the Internet in advance
and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regulation, Internet regulation governance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Also, if we have universal validity of the regulations and restrictions,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rvice providers to abide by such regulations without discrimination. Even if there is not the regulation in abroad, it has been recognized as a national law regulating because of its universal rationality, government enforcement of such regulations shall be stro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2 김명재, "헌법상의 국민주권의 개념-정당화원리설에 대한 비판적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85-106, 2006
3 홍준형, "행정규제기본법의 내용과 문제점(상)" 63-81, 1997
4 김종서, "한미FTA와 민주주의 - 주권문제를 중심으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2) : 117-154, 2006
5 김민호, "통신방송 융합 시대의 규제정책 조사 분석 및 효율적 조직의 운영방안 연구" 정보통신부 2005
6 오병철,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사법관할권" IT와 법연구소 (7) : 73-115, 2013
7 김민호, "지식정보사회에서 행정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443-462, 2007
8 주현, "중소기업 관점에서 본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실효성 검토" 산업연구원 2008
9 Hermann Heller, "주권론(Ⅱ)" (32) : 2003
10 Hermann Heller, "주권론(Ⅰ)" (29) : 2001
1 허 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0
2 김명재, "헌법상의 국민주권의 개념-정당화원리설에 대한 비판적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85-106, 2006
3 홍준형, "행정규제기본법의 내용과 문제점(상)" 63-81, 1997
4 김종서, "한미FTA와 민주주의 - 주권문제를 중심으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2) : 117-154, 2006
5 김민호, "통신방송 융합 시대의 규제정책 조사 분석 및 효율적 조직의 운영방안 연구" 정보통신부 2005
6 오병철,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사법관할권" IT와 법연구소 (7) : 73-115, 2013
7 김민호, "지식정보사회에서 행정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443-462, 2007
8 주현, "중소기업 관점에서 본 규제영향분석제도의 실효성 검토" 산업연구원 2008
9 Hermann Heller, "주권론(Ⅱ)" (32) : 2003
10 Hermann Heller, "주권론(Ⅰ)" (29) : 2001
11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1994
12 황종성, "정보화 관련 법령정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07
13 윤종수, "전자소송 및 인터넷 규제의 역외적용" 한국정보법학회 2010
14 이상희, "인허가 규제의 네거티브 전환과 입법정책론" 한국공법학회·국민권익위원회 2011
15 윤종수, "인터넷에서의 국가관할과 국내법의 역외적용" 한국공법학회 39 (39): 27-58, 2010
16 최경진, "인터넷과 자율규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6 (16): 181-197, 2013
17 강영수, "인터넷과 법률 II" 2005
18 조소영, "인터넷 주권과 통제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53-372, 2011
19 한국정보법학회, "인터넷 그 길을 묻다" 한국정보법학회 2012
20 최유성, "시장경제와 규제개혁" FKI미디어 2002
21 홍석한, "세계화에 따른 주권의 변화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187-212, 2009
22 정찬모, "사이버공동체에서의 규범형성과 유지행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3
23 박경철, "보댕, 홉스, 루소의 주권이론과 주권론" 23 : 73-104, 2006
24 李元雨, "변화하는 금융환경 하에서 금융감독체계 개선을 위한 법적 과제" 한국공법학회 33 (33): 35-94, 2005
25 최경진, "미래 ICT 법제체계 개편방향" 한국정보법학회 17 (17): 207-234, 2013
26 홍승진, "미국의 행정입법과 규제개혁" 한국법제연구원 2009
27 김재광, "규제와 법제개선 그리고 경제적 효과 - 규제품질 제고를 위한 규제 개선방안" 4-37, 2012
28 국무총리실, "규제영향분석서 작성지침" 2013
29 이민호, "규제개혁을 위한 형평성 기준의 제고 방안: 중소기업 규제영향평가, 한시적 규제유예, 규제형평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261-289, 2010
30 한상우, "규제개혁을 위한 법제개선 추진방향" 법제 2008
31 선정원, "규제개혁과 정부책임" 30 (30): 377-401, 2001
32 홍완식, "규제개혁과 입법정책" 한국공법학회 36 (36): 339-363, 2008
33 이원우, "규제개혁과 규제완화: 올바른 규제정책 실현을 위한 법정책의 모색" 한국법학원 (106) : 355-389, 2008
34 한국행정연구원, "규제개념 재정립 및 규제법령 개선방안 연구" 2009
35 이성환, "국민국가의 변천과 헌법의 과제" (10) : 1998
36 소병천, "국내법의 역외적용에 관한 미국의 관행" 대한국제법학회 49 (49): 169-196, 2004
37 노영돈, "국내경제법의 성외적용과 국가관할권의 충돌에 관한 연구" 47 (47): 57-76, 2002
38 김대순, "국가관할권 개념에 관한 소고"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소 5 : 206-217, 1995
39 이원우, "경제규제법론" 홍문사 2010
40 최승필, "경쟁법의 역외적용에 대한 법적검토 - 역외적용 이론의 발전 및 적용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3 (33): 205-233, 2009
41 김성수, "개별행정법" 법문사 2004
42 Jack Goldsmith, "Who Controlls the Internet? : Illusion of a Borderless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3 Dan Burk, "Virtual Exit in the Global Information Economy" 73 : 943-, 1998
44 Henry H. Perritt, "The Internet as a Threat to Sovereignty" 5 (5): 1998
45 Rolf H. Weber, "Regulatory Models for the Online World" Schulthess 2002
46 David Johnson, "Law and Borders - The Rise of Law in Cyberspace" 48 : 1367-, 1996
47 Georgios Zekos, "Internet or Electronic Technology" (3) : 1999
48 Neil Weinstock Netanel, "Cyberspace Self-Governance: A Skeptical View from Liberal Democratic Theory" 88 : 395-, 2000
49 Kenneth Anderson, "Book Review: Squaring the Circle? Reconciling Sovereignty and Global Governance through Global Government Network" 118 : 1255-1257, 2005
50 "Better Regulation Task Force, Principles of Good Regulation"
51 Jack L. Goldsmith, "Against Cyberanarchy" 65 : 1199-, 1998
계획행정에 있어서 위원회의 기능에 관한 법적 한계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0.68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