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한 위헌심사 연구 - 헌법재판소 2015. 3. 26. 2014헌가5 결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4Hun-Ka5 (Mar 26, 2015)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0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few thses o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From the normative point of view,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should always be unconstitutional because it exceeds the requirements & limitations of the state emergency power which are written on the constitutio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re are few chance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examine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which is performed through the highly political determination of the President.
      But in some certain circumstances, there could be an extreme emergent situation that can not be solved through the regular state emergency power. And in such situations, there could be an urgent necessity that we should approve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in order to overcome such crises.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4Hun-Ka5(Mar 26, 2015) provided a clue to solve the problems.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mplied a concern and conclusion for the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and the extreme emergent situation.
      Both President and Constitutional Court are the guardians of the constitution. But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ident (that should cope with an urgent crisis through the state emergency power in order to protect the Constitution from the crisis) and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should review whether the exercise of the emergency power was constitutional in order to protect the Constitution from the emergency power) can be different. And such a difference is the natural consequenc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which sovereign citizens previously expected.
      In this thesis, I discussed the structure about the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and I hypothetically researched the detailed contents for the ‘extreme emergent situation’ & ‘burden of proof’. Judgment whether there was an extreme emergent situation or not carries significant meaning i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번역하기

      There are few thses o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From the normative point of view,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should always be unconstitutional because it exceeds the requirements...

      There are few thses o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From the normative point of view,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should always be unconstitutional because it exceeds the requirements & limitations of the state emergency power which are written on the constitutio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re are few chance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examine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which is performed through the highly political determination of the President.
      But in some certain circumstances, there could be an extreme emergent situation that can not be solved through the regular state emergency power. And in such situations, there could be an urgent necessity that we should approve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in order to overcome such crises.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4Hun-Ka5(Mar 26, 2015) provided a clue to solve the problems.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mplied a concern and conclusion for the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and the extreme emergent situation.
      Both President and Constitutional Court are the guardians of the constitution. But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ident (that should cope with an urgent crisis through the state emergency power in order to protect the Constitution from the crisis) and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at should review whether the exercise of the emergency power was constitutional in order to protect the Constitution from the emergency power) can be different. And such a difference is the natural consequenc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which sovereign citizens previously expected.
      In this thesis, I discussed the structure about the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and I hypothetically researched the detailed contents for the ‘extreme emergent situation’ & ‘burden of proof’. Judgment whether there was an extreme emergent situation or not carries significant meaning in constitutional examination of the ultra-constitutional state emergency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규범적 측면에서 보면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은 헌법이 예정한 국가긴급권의 요건과 한계를 넘어선 것이므로 당연히 위헌이고, 사실적 측면에서 보면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따라 이루어진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해 사후적으로 위헌심사할 기회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체적 상황에 따라서는 헌법에 규정된 국가긴급권으로 극복할 수 없는 위기상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을 예외적으로 인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해답의 실마리를 제시한 것이 헌재 2015. 3. 26. 2014헌가5 결정이다.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있어 극단적 위기상황 및 다양한 쟁점들에 대한 헌법재판관의 고민과 결론을 시사하였다.
      대통령과 헌법재판소는 모두 헌법의 수호자이다. 다만 당면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국가긴급권을 통해 이를 현재적 또는 예방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대통령의 결단과 상황이 정리된 후에 이를 사후적으로 돌아보고 국가긴급권의 발동이 합헌적이었는지를 판단해야 하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다를 수 있는데, 이것은 주권자이자 헌법개정권력자인 국민이 예정한 권력분립의 자연스런 결과이다.
      이 글에서는 위 결정의 심판대상이었던 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을 바탕으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한 위헌심사 구조를 살펴보면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한 위헌심사 가능성, 위헌심사 준거규범, 발동요건 측면에서의 원칙적 위헌성 및 예외적 정당화 사유로서 ‘극단적 위기상황’과 그 입증책임, 사후통제 절차 및 시간적 한계 측면에서의 위헌심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극단적 위기상황에 대한 판단은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번역하기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규범적 측면에서 보면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은 헌법이 예정한 국가긴급권의 요건과 한계를 넘어선 것이므로 당연히 위헌이고, 사...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규범적 측면에서 보면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은 헌법이 예정한 국가긴급권의 요건과 한계를 넘어선 것이므로 당연히 위헌이고, 사실적 측면에서 보면 고도의 정치적 결단에 따라 이루어진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해 사후적으로 위헌심사할 기회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체적 상황에 따라서는 헌법에 규정된 국가긴급권으로 극복할 수 없는 위기상황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을 예외적으로 인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해답의 실마리를 제시한 것이 헌재 2015. 3. 26. 2014헌가5 결정이다.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있어 극단적 위기상황 및 다양한 쟁점들에 대한 헌법재판관의 고민과 결론을 시사하였다.
      대통령과 헌법재판소는 모두 헌법의 수호자이다. 다만 당면한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국가긴급권을 통해 이를 현재적 또는 예방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대통령의 결단과 상황이 정리된 후에 이를 사후적으로 돌아보고 국가긴급권의 발동이 합헌적이었는지를 판단해야 하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다를 수 있는데, 이것은 주권자이자 헌법개정권력자인 국민이 예정한 권력분립의 자연스런 결과이다.
      이 글에서는 위 결정의 심판대상이었던 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을 바탕으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한 위헌심사 구조를 살펴보면서,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에 대한 위헌심사 가능성, 위헌심사 준거규범, 발동요건 측면에서의 원칙적 위헌성 및 예외적 정당화 사유로서 ‘극단적 위기상황’과 그 입증책임, 사후통제 절차 및 시간적 한계 측면에서의 위헌심사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극단적 위기상황에 대한 판단은 초헌법적 국가긴급권의 위헌심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한상, "현행 헌법상 국가긴급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13 (13): 473-507, 2007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7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5

      4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5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6 홍성방, "헌법학(하)" 박영사 2014

      7 장영수, "헌법학" 弘文社 2015

      8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9 문광삼, "헌법학" 삼영사 2015

      10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1 조한상, "현행 헌법상 국가긴급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13 (13): 473-507, 2007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7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5

      4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5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6 홍성방, "헌법학(하)" 박영사 2014

      7 장영수, "헌법학" 弘文社 2015

      8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9 문광삼, "헌법학" 삼영사 2015

      10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11 "헌법재판소판례집, 제8권 1집"

      12 "헌법재판소판례집, 제6권 1집"

      13 "헌법재판소판례집, 제27권 1집[상]"

      14 "헌법재판소판례집, 제25권 1집"

      15 "헌법재판소판례집, 제21권 1집[하]"

      16 "헌법재판소판례집, 제16권 1집"

      17 윤정인, "헌법재판소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인가"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135-162, 2015

      18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5

      19 칼 슈미트, "헌법의 수호자인 라이히재판소" 37 : 2005

      20 이황희, "헌법실무연구회 제134회 지정토론문" 15 : 2014

      21 이종수, "헌법실무연구회 제134회 지정토론문" 15 : 2014

      22 김경제, "헌법실무연구회 제134회 발표문(긴급조치 위헌 결정의 문제점)" 15 : 2014

      23 성낙인, "헌법보장과 대통령의 국가긴급권" 41 (41): 1996

      24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6

      25 류지태,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6

      26 박균성, "행정법강의" 박영사 2016

      27 김동희, "행정법Ⅰ" 박영사 2016

      28 김남진, "행정법Ⅰ" 법문사 2015

      29 김중권, "행정법" 법문사 2016

      30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11판" 집현재 2016

      31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6

      32 정종섭, "한국의 민주화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와 권력 통제 : 1988년부터 1998년까지" 42 (42): 2001

      33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 197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2

      34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 1960년대편 3권" 인물과사상사 2004

      35 이장희, "프랑스의 국가긴급권에 대한 소고" 33 (33): 2011

      36 김선화, "통치행위의 인정여부와 판단기준 소고" 한국공법학회 33 (33): 245-268, 2004

      37 고문현, "통치행위에 관한 소고" 한국헌법학회 10 (10): 367-400, 2004

      38 강승식, "초헌법적 국가긴급권과 저항권 행사" 58 (58): 2013

      39 김문현, "초헌법적 국가긴급권과 저항권" 44 (44): 1999

      40 최영해, "책갈피 속의 오늘: 1971년 국가보위 특별조치법 통과"

      41 박재윤, "주석형법 : 형법총칙⑴" 한국사법행정학회 2011

      42 애덤 스위프트, "정치의 생각(정의에서 민주주의까지)" 개마고원 2011

      43 김충식, "정치공작사령부 KCIA: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44 권기준, "일본의 국가긴급권" 한국법정책학회 15 (15): 691-715, 2015

      45 김상겸, "이탈리아의 국가긴급권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8 (38): 75-99, 2014

      46 박승호, "이른바 통치행위(정치문제)에 대한 헌법재판" 한국헌법학회 16 (16): 653-694, 2010

      47 정문식, "유럽헌법의 수호자" 한국헌법학회 14 (14): 131-158, 2008

      48 박은정, "왜 법의 지배인가" 돌베개 2014

      49 정재황, "신헌법입문" 박영사 2016

      50 김상겸, "사법심사의 대상으로서 통치행위" 59 (59): 2014

      51 김성진, "박대통령의 입 9년: 71년 비상사태 선포"

      52 권영설, "바이마르 헌법상의 국가긴급권논쟁 -슈미트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19 : 1994

      53 윤진수, "민법논고Ⅴ[상속법]" 2011

      54 백윤철, "미국의 국가긴급권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 (20): 185-210, 2014

      55 방승주, "독일 기본법상 국가긴급권제도" 법학연구소 (40) : 59-103, 2007

      56 성낙인, "대한민국헌법사" 법문사 2012

      57 이동원, "대통령을 그리며" 고려원 1992

      58 차수봉, "국가의 존립과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헌법적 대응- 국가긴급권의 사상과 규정체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25-140, 2013

      59 김승열, "국가위기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599) : 2007

      60 박정희, "국가비상사태선언(대통령공고 제28호)(1971. 12. 6.)"

      61 박정희,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즈음한 특별담화문(1971. 12. 6.)"

      62 구태회 국회의원, "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안 제안이유(1971. 12. 21.)"

      63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안 심사보고서(1971. 12. 27.)"

      64 국회 본회의, "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안 국회회의록(1971. 12. 27.)"

      65 백윤철, "英國의 國家緊急權" 한국토지공법학회 66 : 495-51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6 1.0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