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현의 자유의 현대적 쟁점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온라인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Hate Speech)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 = A Constitutional Analysis on Modern Issues of Free Expression - centering restriction on hate speech on the internet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0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dicially recognized and relatively unobjectionable and uncontroversial exceptions to the coverage and protection of free expression to the our Constitution are grounded, in part, on affirm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certain speech creates or could create actual or potential harms to, and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for, individuals and societal interests. Many believe that the problem of hate speech is, among other things, one of balanc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one hand, with the value of equal protection, on the other. We have a modern issues, restrictions on expressions which constitute defamation or invasions of privacy, speech which causes panic, provokes retaliatory violence, or incites others to insurrection. Should hste speech be prtmitted in a politically liberal society such as us? Or, is hate speech legitimately subsumable under some existing category of unprotected expression? Or, should there exist a separate category of unprotected expression under which hate speech fall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hate speech ought to be protected by our Constitution, I first analyze what hate speech is, the definition and the nature of hate speech. And then I examine some improvement plans of the related law in force.
      번역하기

      Judicially recognized and relatively unobjectionable and uncontroversial exceptions to the coverage and protection of free expression to the our Constitution are grounded, in part, on affirm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certain speech creates ...

      Judicially recognized and relatively unobjectionable and uncontroversial exceptions to the coverage and protection of free expression to the our Constitution are grounded, in part, on affirm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certain speech creates or could create actual or potential harms to, and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for, individuals and societal interests. Many believe that the problem of hate speech is, among other things, one of balanc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one hand, with the value of equal protection, on the other. We have a modern issues, restrictions on expressions which constitute defamation or invasions of privacy, speech which causes panic, provokes retaliatory violence, or incites others to insurrection. Should hste speech be prtmitted in a politically liberal society such as us? Or, is hate speech legitimately subsumable under some existing category of unprotected expression? Or, should there exist a separate category of unprotected expression under which hate speech fall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hate speech ought to be protected by our Constitution, I first analyze what hate speech is, the definition and the nature of hate speech. And then I examine some improvement plans of the related law in for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민주주의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가장 중심적인 기본권으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그 기능과 의미는 정치적 영역에서는 물론이고 일반 공동체의 사회관계 속에서도 결코 경시될 수 없는 중요한 기본권이다. 그런데 1990년대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등장한 인터넷은 고도로 탈집중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할 국가권력의 능력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되는 상황을 초래하면서 정보 및 의견교환에 연관된 사회구조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왔고, 현재에도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법현실에 전혀 새롭거나 복합적인 어려운 문제들을 초래하는 중요한 계기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되는 현실 중 가장 뜨거운 쟁점이 바로 적의적 표현행위(Hate Speech)이다. 이러한 적의적 표현에서 나타나는, 혹은 적의적 표현으로 조장되는, 적의적인 감정이 표현 그 자체에서 그치지 않고 특정집단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쓰이거나,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폭력행위로 이러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을 내포한 현실적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퍼져 나가는 적의적 표현들을 현대기술이 가져온 인권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협들 중의 하나로 인식하였듯이, 온라인에서의 적의적 표현은 온라인상에서의 따돌림과도 연계되어 전세계적인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의 적의적 표현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특성들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그것보다 널리 그리고 빠르게 확산됨으로써 그 파장의 결과가 엄청난 상황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라인 상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의 허용 또는 규제의 문제는 이론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고찰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을 지닌 현대적 문제라고 할 것이고, 이에 대한 헌법적 고찰을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hate speech’의 번역어로서의 단어를 왜‘적의적 표현’으로 사용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그 개념정의에서 출발하여, 현행법상 온라인상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들을 규제하는 규정들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현대 민주주의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가장 중심적인 기본권으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그 기능과 의미는 정치적 영역에서는 물론이고 일반 공동체의 사회관계 속에서도 결코 경시될 수 없는...

      현대 민주주의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가장 중심적인 기본권으로 자리매김되고 있고, 그 기능과 의미는 정치적 영역에서는 물론이고 일반 공동체의 사회관계 속에서도 결코 경시될 수 없는 중요한 기본권이다. 그런데 1990년대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등장한 인터넷은 고도로 탈집중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인터넷 공간에서의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할 국가권력의 능력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되는 상황을 초래하면서 정보 및 의견교환에 연관된 사회구조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왔고, 현재에도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법현실에 전혀 새롭거나 복합적인 어려운 문제들을 초래하는 중요한 계기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되는 현실 중 가장 뜨거운 쟁점이 바로 적의적 표현행위(Hate Speech)이다. 이러한 적의적 표현에서 나타나는, 혹은 적의적 표현으로 조장되는, 적의적인 감정이 표현 그 자체에서 그치지 않고 특정집단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쓰이거나,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폭력행위로 이러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을 내포한 현실적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퍼져 나가는 적의적 표현들을 현대기술이 가져온 인권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협들 중의 하나로 인식하였듯이, 온라인에서의 적의적 표현은 온라인상에서의 따돌림과도 연계되어 전세계적인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온라인 상에서의 적의적 표현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특성들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그것보다 널리 그리고 빠르게 확산됨으로써 그 파장의 결과가 엄청난 상황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온라인 상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의 허용 또는 규제의 문제는 이론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고찰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을 지닌 현대적 문제라고 할 것이고, 이에 대한 헌법적 고찰을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hate speech’의 번역어로서의 단어를 왜‘적의적 표현’으로 사용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그 개념정의에서 출발하여, 현행법상 온라인상에서의 적의적 표현행위들을 규제하는 규정들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성수, "혐오표현의 규제: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보호를 위한 규제대안의 모색"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287-336, 2015

      2 이주영, "혐오표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증오선동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60 (60): 195-227, 2015

      3 이준일, "혐오표현과 차별적 표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과 방식" 법학연구원 (72) : 65-90, 2014

      4 이승현, "혐오표현(hate speech)에 대한 헌법적 고찰" 연세대학교 2016

      5 박해영, "혐오표현(Hate Speech)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137-169, 2015

      6 이승현,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헌법적 이해" 한국공법학회 44 (44): 133-166, 2016

      7 오선희, "판례로 본 인터넷 공간에서의 모욕과 의견표현 자유의 한계" (가을) : 2016

      8 김지혜, "차별선동의 규제 - 혐오표현에 관한 국제법적·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 법조협회 64 (64): 36-77, 2015

      9 변종필, "집합명칭에 의한 모욕에서 피해자의 특정" 한국형사법학회 24 (24): 339-364, 2012

      10 曺小永, "적의적 표현행위(Hate Speech)의 헌법적 좌표-민주주의의 다양성의 의미(민주주의의 위기)-" 한국공법학회 30 (30): 6-6, 2002

      1 홍성수, "혐오표현의 규제: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보호를 위한 규제대안의 모색"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287-336, 2015

      2 이주영, "혐오표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증오선동을 중심으로 -" 대한국제법학회 60 (60): 195-227, 2015

      3 이준일, "혐오표현과 차별적 표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과 방식" 법학연구원 (72) : 65-90, 2014

      4 이승현, "혐오표현(hate speech)에 대한 헌법적 고찰" 연세대학교 2016

      5 박해영, "혐오표현(Hate Speech)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137-169, 2015

      6 이승현,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헌법적 이해" 한국공법학회 44 (44): 133-166, 2016

      7 오선희, "판례로 본 인터넷 공간에서의 모욕과 의견표현 자유의 한계" (가을) : 2016

      8 김지혜, "차별선동의 규제 - 혐오표현에 관한 국제법적·비교법적 검토를 중심으로 -" 법조협회 64 (64): 36-77, 2015

      9 변종필, "집합명칭에 의한 모욕에서 피해자의 특정" 한국형사법학회 24 (24): 339-364, 2012

      10 曺小永, "적의적 표현행위(Hate Speech)의 헌법적 좌표-민주주의의 다양성의 의미(민주주의의 위기)-" 한국공법학회 30 (30): 6-6, 2002

      11 신옥주, "장애인의 인권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향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4 : 501-524, 2011

      12 김민정, "일베식 “욕”의 법적 규제에 대하여: 온라인상에서의 혐오 표현에 대한 개념적 고찰"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131-163, 2014

      13 황승흠, "인터넷 콘텐츠 규제에 있어서 법제도와 사업자 자율규제의 결합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261-288, 2008

      14 황승흠, "인터넷 자율규제와 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5 김유승, "인터넷 공간의 자유와 규제: 공동규제 모델의 발전을 위한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 (20): 85-118, 2006

      16 박용상, "언론의 자유" 박영사 2013

      17 김현경,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표현, 그 옹호의 논리를 넘어서: 표현의 자유론 비판과 시민권의 재구성" 12 : 2012

      18 홍성수, "사이버상 혐오표현의 법적 쟁점과 규제방안" 2016

      19 박용숙, "미국에서의 증오표현행위의 규제에 관한 판례경향" 비교법학연구소 41 : 467-509, 2014

      20 한상규, "모욕죄에 있어서 피해자의 특정과 집단표시에 의한 모욕죄의 성부- 대상판결 : 대법원 2014. 3. 27. 선고 2011도15631 판결" 법학연구소 27 (27): 275-308, 2014

      21 박건, "모욕과 무시경험의차별유형화에 대한 연구- 입법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 5.18연구소 14 (14): 87-123, 2014

      22 홍성수, "규제학 - 개념, 역사, 전망" 안암법학회 (26) : 377-404, 2008

      23 박배근, "국제인권법상의 언론의 자유와 증오표현언론에 대한 규제" (9) : 2003

      24 이재진, "가상공간에서의 혐오언론의 문제-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2000

      25 홍성수, "‘혐오할 자유’ 보장하는 미국? 멋모르는 소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6 1.0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