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새로운 리터러시 유형으로 자리 잡은 다중 문식성 (Multimodal Literacy)은 언어, 이미지, 소리, 몸짓, 움직임 등 의미를 만들 수 있는 모든 매체들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다.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1544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vi, 117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어도선
부록: 문항 평가 루브릭
참고문헌: p. 104-113
I804:11009-0000002313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의 새로운 리터러시 유형으로 자리 잡은 다중 문식성 (Multimodal Literacy)은 언어, 이미지, 소리, 몸짓, 움직임 등 의미를 만들 수 있는 모든 매체들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다. 그...
현대 사회의 새로운 리터러시 유형으로 자리 잡은 다중 문식성 (Multimodal Literacy)은 언어, 이미지, 소리, 몸짓, 움직임 등 의미를 만들 수 있는 모든 매체들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다. 그 중에서도, 그림, 사진, 그래프, 기호 등의 모든 시각적인 요소를 매체로 하는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에 대한 연구가 주요하게 이루어져 왔다. 비주얼 리터러시는 의사소통을 위해 비주얼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평가하며, 효과적인 비주얼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단순히 실용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것을 넘어 사회와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 비주얼 리터러시와 영어 교육에 관하여 진행된 연구들은, 적절한 비주얼을 활용한 영어 교수학습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과 비주얼 리터러시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외 영어 교과서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 내 사용된 시각 자료의 단편적 역할이나 기능에 대한 것으로, 교과서 내 비주얼 요소들이 형식, 내용, 효과 측면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어느 정도로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등의 종합적인 연구는 미비한 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비주얼 리터러시와 교과서 시각 자료 관련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영어 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최초로 개발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를 크게 네 항목-비주얼의 형식적 측면, 텍스트 내용과의 연관성, 학습 활동과의 연관성, 비주얼의 기능과 효과-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항목을 7문항으로 구성하여, 총 28문항을 평가 기준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이었던 교과서들 대부분 어느 정도 이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볼 수 있었는데, 대체로 비주얼의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비주얼의 기능과 효과 측면에서는 낮은 평가를 얻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현재 국내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영어 교과서가 비주얼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형식적으로는 잘 구성되어 있으나 비주얼의 역할과 기능 측면에서의 효과는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과 비주얼 리터러시 증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의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