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토양 내 중금속 추출 기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5363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희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원자력공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2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7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광헌
        참고문헌 : p. 74-75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토양 내 중금속 추출율 변화량과 효율적인 추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핵종으로는 코발트와 스트론튬, 카드뮴, 납, 아연을 선정하였으며 추출 실험을 위한 추출제로서 코발트와 카드뮴, 아연의 추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Diisooctlylphosphinic acid (Cyanex-272)와 Di ethylamine (DEA), 스트론튬과 납의 추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Benzo-18-crown-6 (B18C6), Perfluoro-1-octanesulfosic acid (Net4 pFOSA)를 선정하였다. 토양 내 중금속 추출 실험은 이산화탄소가 초임계 상태가 되는 60 ℃, 200 bar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시료 분석을 위한 전처리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방법을, 분석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계 (ICP)를 이용하였다. 토양 내에서 다양한 거동을 보이는 중금속의 효율적인 추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1) 토양의 비표면적이 커질수록 토양 내 중금속의 추출율은 감소한다.
      (2) 일정한 추출제의 양(Cyanex 272 : 1860 μL, DEA : 40 μL, B18C6 : 104.5 μg, Net4 pFOSA : 47 μg)에서의 중금속 추출양은 토양 1 g당 평균 170 μg이고 최대 250 μg을 넘지 못한다,
      (3) 추출제의 양은 추출 가능한 중금속의 양과 서로 비례한다.
      (4) 토양 내 중금속은 시간이 지나면 화학 결합 형태가 바뀐다.
      (5) 일반토양에서의 중금속은 시간이 경과하면 추출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토양과 토양 내 중금속의 추출율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정해진 추출제의 양에 의한 효과적인 추출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토양 내 중금속 추출율 변화량과 효율적인 추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핵종으로는 코발트와 스트론튬, 카드뮴, 납,...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토양 내 중금속 추출율 변화량과 효율적인 추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핵종으로는 코발트와 스트론튬, 카드뮴, 납, 아연을 선정하였으며 추출 실험을 위한 추출제로서 코발트와 카드뮴, 아연의 추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Diisooctlylphosphinic acid (Cyanex-272)와 Di ethylamine (DEA), 스트론튬과 납의 추출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Benzo-18-crown-6 (B18C6), Perfluoro-1-octanesulfosic acid (Net4 pFOSA)를 선정하였다. 토양 내 중금속 추출 실험은 이산화탄소가 초임계 상태가 되는 60 ℃, 200 bar의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시료 분석을 위한 전처리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방법을, 분석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계 (ICP)를 이용하였다. 토양 내에서 다양한 거동을 보이는 중금속의 효율적인 추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1) 토양의 비표면적이 커질수록 토양 내 중금속의 추출율은 감소한다.
      (2) 일정한 추출제의 양(Cyanex 272 : 1860 μL, DEA : 40 μL, B18C6 : 104.5 μg, Net4 pFOSA : 47 μg)에서의 중금속 추출양은 토양 1 g당 평균 170 μg이고 최대 250 μg을 넘지 못한다,
      (3) 추출제의 양은 추출 가능한 중금속의 양과 서로 비례한다.
      (4) 토양 내 중금속은 시간이 지나면 화학 결합 형태가 바뀐다.
      (5) 일반토양에서의 중금속은 시간이 경과하면 추출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토양과 토양 내 중금속의 추출율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정해진 추출제의 양에 의한 효과적인 추출 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extraction rates of heavy metal-ions in the s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extractants and to provide the best experiment condition. Target heavy metal-ions are cobalt, strontium, cadmium, lead and zinc. For extracting the heavy metal-ions in the soil, Diisooctlylphosphinic acid (Cyanex-272), Di ethylamine (DEA), Benzo-18-crown-6 (B18C6) and Perfluoro-1-octanesulfosic acid (Net4 pFOSA) were selected as a extractant. Cyanex-272 and DEA were a good extractant for the extraction of cobalt, cadmium and zinc. The others were an effective extractant for the extraction of strontium and lead. The experiment for extraction was conducted for a hour under 60 ℃, 200 bar and a pre-handling for a specime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icro-wave.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was used to analyze the specimen that was conducted in the extraction experiment. Through the diverse experiments, this study could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that:
      (1) the extraction rate is decreased whe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oil is increased,
      (2) under limited extractant amount(Cyanex 272 : 1860 μL, DEA : 40 μL, B18C6 : 104.5 μg, Net4 pFOSA : 47 μg), the extraction amount of heavy metal-ions is average 170 μg per 1 g soil and is restricted within 250 μg per 1 g soil,
      (3) the extractant amount is proportional to the extractable amount of heavy metal-ions,
      (4) the chemical bond of the heavy metal-ions in the soil is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
      (5) an extraction rate of heavy metal-ions in a common soil is decreased when an adsorbed period is increased.
      Therefore, we could obtain the extraction rate changes of heavy metal-ions depending on types and sizes of soils, types and sizes of extractants, and the time. Also, we could search the effective condition for the high extraction rate under diverse experiments.
      번역하기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extraction rates of heavy metal-ions in the s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extractants and to provide the best experiment condition. Target heavy metal-ions are cobalt, strontium, cadmi...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extraction rates of heavy metal-ions in the soil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extractants and to provide the best experiment condition. Target heavy metal-ions are cobalt, strontium, cadmium, lead and zinc. For extracting the heavy metal-ions in the soil, Diisooctlylphosphinic acid (Cyanex-272), Di ethylamine (DEA), Benzo-18-crown-6 (B18C6) and Perfluoro-1-octanesulfosic acid (Net4 pFOSA) were selected as a extractant. Cyanex-272 and DEA were a good extractant for the extraction of cobalt, cadmium and zinc. The others were an effective extractant for the extraction of strontium and lead. The experiment for extraction was conducted for a hour under 60 ℃, 200 bar and a pre-handling for a specimen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icro-wave.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was used to analyze the specimen that was conducted in the extraction experiment. Through the diverse experiments, this study could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that:
      (1) the extraction rate is decreased whe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oil is increased,
      (2) under limited extractant amount(Cyanex 272 : 1860 μL, DEA : 40 μL, B18C6 : 104.5 μg, Net4 pFOSA : 47 μg), the extraction amount of heavy metal-ions is average 170 μg per 1 g soil and is restricted within 250 μg per 1 g soil,
      (3) the extractant amount is proportional to the extractable amount of heavy metal-ions,
      (4) the chemical bond of the heavy metal-ions in the soil is changed depending on the time,
      (5) an extraction rate of heavy metal-ions in a common soil is decreased when an adsorbed period is increased.
      Therefore, we could obtain the extraction rate changes of heavy metal-ions depending on types and sizes of soils, types and sizes of extractants, and the time. Also, we could search the effective condition for the high extraction rate under diverse experi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 목차 = 2
      • 표 목차 = 4
      • 그림 목차 = 6
      • 제 1 장 서론 = 8
      • 요약 = 1
      • 목차 = 2
      • 표 목차 = 4
      • 그림 목차 = 6
      • 제 1 장 서론 = 8
      • 제 1 절 연구배경 = 8
      • 제 2 절 연구 목적 = 9
      • 제 2 장 토양의 이론적 고찰 = 12
      • 제 1 절 토양의 특성 = 12
      • 1. 토양의 정의 및 구성 광물 = 12
      • 2. 토양의 입경 분류 및 토성 = 12
      • 제 2 절 오염 토양의 정의 및 토양 내 중금속 = 16
      • 1. 오염 토양의 정의 = 16
      • 2. 토양 내의 중금속 거동 = 16
      • 제 3 절 오염토양 정화 기술 = 19
      • 1. 전기동력학적 기술 = 19
      • 2. 토양 세정 기술 = 20
      • 제 3 장 토양 내 중금속 제거 실험 = 21
      • 제 1 절 초임계 유체 = 21
      • 1. 초임계 유체의 정의 = 21
      • 2.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세정 = 22
      • 제 2 절 모의시편 = 24
      • 1. 중금속의 선정 = 24
      • 2. 모의시편 제작 = 27
      • 제 3 절 제염실험 = 30
      • 1. 실험 장치 = 30
      • 2. 실험조건 = 31
      • 제 4 절 분석방법 = 42
      • 제 4 장 실험결과 및 고찰 = 45
      • 제 1 절 실험결과 = 45
      • 1. 추출제의 종류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 = 45
      • 2. 토양의 종류 및 크기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 = 48
      • 3. 흡착된 Metal-Ions 양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 = 54
      • 4. 추출제의 양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 = 58
      • 5. 중금속이 흡착되고 경과된 시간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seasand) = 62
      • 6. 중금속이 흡착되고 경과된 시간에 의한 중금속 추출율 비교 실험 결과(일반토양) = 65
      • 제 2 절 실험 논의 = 71
      • 제 5 장 결론 = 72
      • 참고문헌 = 74
      • Abstract = 76
      • 감사의 글 =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