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와 경상북도까지 이어지는 8곳의 절경으로 유명한 관동팔경의 문화적 요소를 이용하여 동해안 특화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문화상품은 고유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와 경상북도까지 이어지는 8곳의 절경으로 유명한 관동팔경의 문화적 요소를 이용하여 동해안 특화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문화상품은 고유한, ...
본 연구는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와 경상북도까지 이어지는 8곳의 절경으로 유명한 관동팔경의 문화적 요소를 이용하여 동해안 특화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문화상품은 고유한, 국가적 혹은 지역적, 철학적,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실현 가능성을 결합한 정신적, 형상적 형태를 포함하는 모든 공예품을 포함하고 있다. 관광 상품은 효과적인 대중매체의 하나로서 지역 이미지를 창출하고 홍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동해안의 누정 문화의 특수성을 활용하고 도자 기법을 응용하여 도자 관광문화상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관동팔경의 위치 및 정자각의 모습을 현장 답사와 역사적 고찰을 통해 자료 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관동팔경의 중요한 문화유적 정자(총석정, 삼일포, 청간정, 의상대, 경포대, 죽서루, 망양정, 월송정)의 특징을 살려 그 이미지를 형상화 디자인하여 관동팔경 전체 8개 정자를 연적 및 장식 조명으로 만들었다. 특히 연적은 관동팔경 대표 정자들의 처마 끝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적용하여 한국 누각의 전통미와 운치가 느껴지도록 하고, 전체적으로 단아하고 한국적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재료는 백자 소지를 이용하여 캐스팅 기법으로 성형하였고, 기능성, 심미성, 예술성, 경제성 등을 갖춘 도자 관광문화상품이 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관동팔경 사각 접시와 커피잔 세트를 전사지를 응용하여 디자인하였고 포장 디자인도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아름다운 관동팔경의 지역적 특성이 스며 있는 독특한 관광문화상품이 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specialized tourism and cultural products specialized for the east coast by using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Gandong, which are famous for eight scenic views from ancient times that extend along the eas...
This study is to develop specialized tourism and cultural products specialized for the east coast by using the cultural element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Gandong, which are famous for eight scenic views from ancient times that extend along the east coast to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Cultural products include all crafts, including mental and figurative forms that combine unique, philosophical, cultural values and economic feasibility. Tourism products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nd promoting a local image as one of the effective mass media.
In order to develop tourism and cultural products, the focus was on the development of ceramic tourism and cultural products by making the most of the specificity of the pavilion culture on the east coast and applying ceramic techniqu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pavilion were first investigated through field trips and historical considerations. In addition, the image was designed and shap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vilions (Chongseokjeong, Samilpo, Cheongganjeong, Uisangdae, Gyeongpodae, Jukseoru, Mangyangjeong, and Wolsongjeong) of the important cultural heritage of the Gandongpalgyeong, and the total of eight pavilions were made into yeonjeok and decorative lighting. In particular, the yeonjeok was intended to apply the water falling from the eaves of the representative pavilions in Gandongpalgyeong to feel the traditional beauty and charm of the Korean pavilion, and to feel the elegant and Korean beauty as a whole. The material was molded by casting method using white porcelain and was intended to be a ceramic tourism and cultural product with functionality, aesthetics, artistry, and economy. In addition, a set of square plates and coffee cups in Gandongpalgyeong was designed by applying transfer paper, and a packaging design was also develope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unique tourism and cultural product that permeat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eautiful Gandongpalgyeong.
중국 『주역』에 나타난 기호를 활용한 도자작품 사례연구
중국 현대 도자 예술 소재의 확장에 관한 연구 -경덕진 국제도예비엔날레 공모전 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회귀(回歸)를 중심으로 한 도자 조형 연구 - 뼈 형상을 이용한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