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목간기록의 지식 정보 자원화 - 메타데이터 국제 記述 요소를 중심으로 - = To Resourc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Korean Wooden Tablet Records : Focusing on Metadata International Technical El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4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의 목간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그 개념을 살펴보고, 메타데이터 국제 표준기술 요소를 설계하여, 역사기록으로서 지식 정보 자원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이를 위해 ...

      본고는 한국의 목간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그 개념을 살펴보고, 메타데이터 국제 표준기술 요소를 설계하여, 역사기록으로서 지식 정보 자원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한 글이다. 이를 위해 목간기록을 디지털 데이터로 통합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출처주의에 기반하여 기록물의 내용과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기술요소를 국제 표준에 의해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따라서 목간을 기록물로 보고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 정보자원화하는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박물관에서 목간은 유물로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목간에 쓰여진 글자는 종이 기록이 많지 않았던 고대나 중세에 법제와 행정 등 문서나 수발기능을 하였다. 따라서 목간은 기록물로서 종이 기록물과 함께 다룰 때 완결성을 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목간 기록은 기록학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 목간의 총수는 약 1,100여 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국내 박물관의 총합 채널인 e-뮤지엄에는 약 476건의 목간에 대하여 기술(記述, Description)하고 있다. 기술 요소는 기본적으로 명칭, 다른명칭, 국적/시대, 출토지, 분류, 재질, 크기, 소장품번호, 설명, 연관단어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정보만으로는 목간의 내용과 관련된 출처와 맥락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고에서는 ISAD(G), NAK//RMMS 등의 국제 표준에 기반한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박물관 유물로서의 출토와 간단한 내용정보는 물론 고고학, 역사학계 등에서 연구된 정보를 활용하여 목간기록의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대분류는 6개의 범주로 나누어 기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목간의 디지털 지식 정보를 통합 체계로 만들어 냄으로써,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한국 목간의 지식 정보를 자원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handling of wooden tablets in existing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and examines the management practices. Based on provenance considerations, it proposes the design of metadata technical elements acco...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handling of wooden tablets in existing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and examines the management practices. Based on provenance considerations, it proposes the design of metadata technical elements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to enabl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context of records. Drawing upon international standard technical elements such as ISAD(G), ISSAR, NAK/RMMS, it describes excavation details and contextual information related to wooden tablets, and categoriz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Korean wooden tablet archival materials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Furthermore, it suggests subdividing the primary classification into six categories. Through these efforts, it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on utilizing digital methods to digitize and resource wooden tablet records within museums, laying the groundwork for digital integration research on wooden tablet archival records across Korea, China, and Jap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