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화 흰쥐의 장 내 균총 조성에 대한 식이섬유질원의 영향 = Effects of Dietary Fiber Sources on the Composition Intestinal Microflora in Aged R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64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이섬유질원중 장내 균총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탐색된 사과, 머위, 미역, 쑥을 건조분말화하여 식이섬유의 함량이 식이량의 5%와 15%가 되도록 첨가시켜 제조...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이섬유질원중 장내 균총의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탐색된 사과, 머위, 미역, 쑥을 건조분말화하여 식이섬유의 함량이 식이량의 5%와 15%가 되도록 첨가시켜 제조한 식이를 12개월된 노화쥐에 4주간 급여한 후, 이들의 대장내용물로부터 총균수와 주요 장내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노화쥐에서 4종류의 식이섬유질원을 섭취시킨 결과 총균수와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의 수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으나 장내 우세균중 Peptococcaceae는 사과 5% 시험군이 타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고, Streptococcus는 쑥 15% 섭취군에서만 타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은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쥐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던 Cl. perfringens가 노화가 진행된 흰쥐에게 나타났으며 Clostridium속균은 사과 5%에서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5% 식이섬유 첨가군이 15%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Staphylococcus는 섬유질원이 첨가된 모든 실험군들이 셀룰로즈 첨가군보다 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군에서 쑥 15% 섭취군이 장내 균총 개선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식이섬유질원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dietary fiber sources such as mugwort, apple, sea mustard, butterbur on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aged rats. Nine groups of aged rats (12months after weanling) were fed each experim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dietary fiber sources such as mugwort, apple, sea mustard, butterbur on the intestinal microflora in aged rats. Nine groups of aged rats (12months after weanling) were fed each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5% and 15% dietary fibers for 4 weeks. The contents in large intestine of aged rat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intestinal microflora. Total viable counts and numbers of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Clostridium, E. coli and Staphylococcus were determined by nonselective medium and various selective media. The intake of dietary fiber sources employed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tal microorganisms,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It was remarkable that Clostridium perfringens appeared in the colon of aged rats. The populations of Peptococcus and Clostridium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apple 5% group than in other dietary fiber groups while the number of Staphylococcus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dietary fiber groups than in cellulose groups. And the Streptococcus populations decreased in the mugwort 15% group.
      Accordingly, the mugwort 15% group is effective in improving intestinal flora of aged ra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