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교과서 서술의 교재화 = Making Teaching of the History Textbook’s Narr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34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역사학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는 전제 아래 각 해석들이 대변하는 집단을 밝히는 것이며, 역사교육의 목적도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시키고 역사 연구방법과 타당성에 대하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역사교육계가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반대한 이유도 정부가 옳다고 정한 단하나의 역사 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것에 대한 반대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국정교과서를 폐기하고 난 후 역사교육의 지향점을 부산교육청이 개발하고 있는 역사과 교단지원자료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학습하는 교재가 아니라, 역사교과서의 서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업자료 개발은 이전부터 있어왔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7차 교육과정 이후의 검정 교과서들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학사 교과서 및 국정 교과서 등을 주제별로 묶어서 교과서 서술에 담긴 역사 해석의 차이를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뉴라이트 진영이 서술한 교과서 서술도 포함시킨 것은 현재 한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 해석을 학습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역사 해석의 다양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역사교과서 국정제를 반대한다는 것은 검정제를 지킨다는 것이 아니다. 국정제를 극복한다는 것은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외우는 수업이 아니라 교과서의 서술에 담긴 역사 해석의 차이를 바탕으로 토의 토론, 역사글쓰기 수업을 하는 것으로 역사교육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역사학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는 전제 아래 각 해석들이 대변하는 집단을 밝히는 것이며, 역사교육의 목적도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시키고 역사 연구방법과 타당성에 대하 끊임없이...

      역사학은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는 전제 아래 각 해석들이 대변하는 집단을 밝히는 것이며, 역사교육의 목적도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시키고 역사 연구방법과 타당성에 대하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이다. 역사교육계가 박근혜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반대한 이유도 정부가 옳다고 정한 단하나의 역사 해석을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것에 대한 반대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국정교과서를 폐기하고 난 후 역사교육의 지향점을 부산교육청이 개발하고 있는 역사과 교단지원자료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학습하는 교재가 아니라, 역사교과서의 서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수업자료 개발은 이전부터 있어왔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7차 교육과정 이후의 검정 교과서들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학사 교과서 및 국정 교과서 등을 주제별로 묶어서 교과서 서술에 담긴 역사 해석의 차이를 학습할 수 있게 하였다. 뉴라이트 진영이 서술한 교과서 서술도 포함시킨 것은 현재 한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역사 해석을 학습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역사 해석의 다양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역사교과서 국정제를 반대한다는 것은 검정제를 지킨다는 것이 아니다. 국정제를 극복한다는 것은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외우는 수업이 아니라 교과서의 서술에 담긴 역사 해석의 차이를 바탕으로 토의 토론, 역사글쓰기 수업을 하는 것으로 역사교육이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y teaches various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raise critical thinking. The reason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opposed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was that they tried to inject a single interpretation of history into the stud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ints of history education after eliminating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Education in the form of injecting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is not desirable. History lessons should be in a form that can criticize the narrative of history textbooks.
      Therefore,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de textbooks of history textbook’s narratives possible to learn.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texts in history textbooks by studying these materials. Through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his textbook supports students in their doing history, including discussion and historical writing classes.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study history on their own.
      번역하기

      History teaches various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raise critical thinking. The reason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opposed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was that they tried to inject a single interpretation of his...

      History teaches various interpretations.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raise critical thinking. The reason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opposed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was that they tried to inject a single interpretation of history into the stud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ints of history education after eliminating the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Education in the form of injecting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is not desirable. History lessons should be in a form that can criticize the narrative of history textbooks.
      Therefore,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ade textbooks of history textbook’s narratives possible to learn.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texts in history textbooks by studying these materials. Through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his textbook supports students in their doing history, including discussion and historical writing classes.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study history on their ow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2 김민수, "역사교과서 문제의 교재화와 학습자의 인식" 효원사학회 35 : 95-124, 2009

      3 임병철,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그 이후?"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55-290, 2016

      4 김육훈,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이후의 역사교육정책 제안" 한국역사교육학회 (26) : 357-385, 2016

      5 양정현, "목표설정에서 평가까지-현대사 수업사례-" (45) : 1999

      6 키스 젠킨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1999

      7 김민수, "교육과정 大綱化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 역사교육연구회 (120) : 61-97, 2011

      1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2 김민수, "역사교과서 문제의 교재화와 학습자의 인식" 효원사학회 35 : 95-124, 2009

      3 임병철,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쟁, 그 이후?" 한국역사교육학회 (24) : 255-290, 2016

      4 김육훈,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이후의 역사교육정책 제안" 한국역사교육학회 (26) : 357-385, 2016

      5 양정현, "목표설정에서 평가까지-현대사 수업사례-" (45) : 1999

      6 키스 젠킨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1999

      7 김민수, "교육과정 大綱化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 역사교육연구회 (120) : 61-9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