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교육을 위한 공감의 개념화 =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for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0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empathy in order to present the elements and dimensions of empathy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does not aim to derive a single, unified concept of empathy, but rather to reveal the various dimensions and elements of empathy. Through this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this study would find the various meanings and aspects of the concept of empathy, understand the criticism of empathy on that basis, and on the other hand, present the elements and direction of empathy for mor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mpathy is not a narrow, passive and instinctive emotion, but rather suggeststs the possibility that empathy can be wide and active for moral behavior and moral life. And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gnitive aspect of empathy for moral practice and the need fo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also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empathy through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empathy in order to present the elements and dimensions of empathy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does not aim to derive a single, unified concep...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empathy in order to present the elements and dimensions of empathy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The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does not aim to derive a single, unified concept of empathy, but rather to reveal the various dimensions and elements of empathy. Through this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this study would find the various meanings and aspects of the concept of empathy, understand the criticism of empathy on that basis, and on the other hand, present the elements and direction of empathy for mor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mpathy is not a narrow, passive and instinctive emotion, but rather suggeststs the possibility that empathy can be wide and active for moral behavior and moral life. And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gnitive aspect of empathy for moral practice and the need fo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also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empathy through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공감의 요소와 차원을 제시하기 위해 공감을 개념화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감의 개념화는 공감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감의 다양한 차원과 요소를 드러내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공감의 개념화를 통해 공감이라는 개념의 다양한 의미와 측면을 밝히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공감에 대한 비판을 이해하고 또 한편으로는 도덕교육을 위한 공감의 요소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 수동적이고 본능적인 차원에 머무는 협소한 정서가 아니라 도덕적 행동과 도덕적 삶을 위해 광범위하고 능동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덕적 실행을 위한 공감의 인지적 측면과 정서 조절 능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을 통한 공감 발달의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공감의 요소와 차원을 제시하기 위해 공감을 개념화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감의 개념화는 공감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개념을 도출하는 것...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공감의 요소와 차원을 제시하기 위해 공감을 개념화하는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감의 개념화는 공감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감의 다양한 차원과 요소를 드러내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공감의 개념화를 통해 공감이라는 개념의 다양한 의미와 측면을 밝히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공감에 대한 비판을 이해하고 또 한편으로는 도덕교육을 위한 공감의 요소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 수동적이고 본능적인 차원에 머무는 협소한 정서가 아니라 도덕적 행동과 도덕적 삶을 위해 광범위하고 능동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덕적 실행을 위한 공감의 인지적 측면과 정서 조절 능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교육을 통한 공감 발달의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