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베이커리 카페구성원을 대상으로 갈등 요인에 따른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갈등 해소 방안을 제시해 인사와 조직 관리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8390
강경구 (광주대학교 호텔조리제과제빵학과)
2025
Korean
베이커리 카페 구성원 ; 갈등 요인 ; 회복탄력성 ; 직무소진 ; 매개효과 ; bakery cafe workers ; conflict factors ; resilience ; job burnout ; mediating effect
KCI등재
학술저널
429-438(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베이커리 카페구성원을 대상으로 갈등 요인에 따른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갈등 해소 방안을 제시해 인사와 조직 관리에 ...
본 연구는 베이커리 카페구성원을 대상으로 갈등 요인에 따른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갈등 해소 방안을 제시해 인사와 조직 관리에 효율적인 관리를 시사하고자 한다. 첫째, 갈등 요인의 하위요인인 관계갈등, 과업갈등, 절차 갈등은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나타나 채택되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부( - )의 영향이 나타나 채택되었다. 셋째 갈등 요인의 하위요인인 관계갈등, 과업갈등, 절차 갈등은 직무소진에 유의미한 정( + )의 영향이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갈등 요인과 직무소진 간에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갈등 요인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의사소통과 협력 방안, 역할 분담, 근무 환경개선 등을 찾아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어 구성원 간에 상생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여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resilience according to conflict factors for bakery caf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tended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s b...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job burnout and resilience according to conflict factors for bakery caf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it is intended to suggest effective management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s by suggesting conflict resolution measures. First, relationship conflict, task conflict, and procedural conflict, which are sub-factors of conflict factors, were adopted by showing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resilience. Second,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job burnout and was adopted. Third, relationship conflict, task conflict, and procedural conflict, which are sub-factors of conflict factors, were adopted 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burnout. Fourth, resili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onflict factors and job burnout. Fi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measures, role sharing, an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reduce the stress caused by conflict factors. It should also lead to continuous change and share common goals based on the reliability of win-win.
여가동기와 여가소비성향 변수의 타당성 분석: 자기결정성이론을 중심으로
국내 공항 지상직 직원의 정서적 소진, 직무성과, 직무 만족, 이직 의도의 영향 관계
발명가 네트워크의 구조적 진화와 혁신기업 성과 간의 관계: 다이슨(Dyson)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기 군 조직의 AI 사용의도와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의 이중 매개경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