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작불 영상을 선호하는 대중 심리에 대한 해석적 연구 = An Interpretive Study on the Public's Preference for the Fireplace Vide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09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수년간 유튜브 등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끈 장작불 영상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끄는 대개의 영상이 플롯이 있고, 매우 짧은 영상도 행위로서의 ...

      본 연구는 지난 수년간 유튜브 등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끈 장작불 영상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다. 영상 플랫폼에서 인기를 끄는 대개의 영상이 플롯이 있고, 매우 짧은 영상도 행위로서의 사건이나 반전과 같은 서사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이야기 전개의 재미를 찾아볼 수 없는 단조로운 장작불 영상이 대중적 인기를 끈 것은 그 자체로 낯설게 볼 만한 일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의 영상으로 재현된 장작불 영상을 ‘불멍’이라는 유행어와 연계하여 대중적으로 크게 주목받았다는 점에서 비평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했다. 먼저 ‘멍때리기’에 대한 담론이 심리적 효과에 경도되어 있고, 그 효과가 영상의 제작과 유통의 목적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선행연구로서 장작불 영상의 심리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멍때리기’ 콘텐츠 중 ‘불멍’을 특화하기 위해 ‘불멍’ 영상 고유의 미디어 역사와 특히 서구 가정에서의 문화적 맥락을 고찰했다. 또, 불의 이미지를 몽상이나 물질적 상상력, 휴식, 치유와 연계하여 고찰한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논의를 통해 ‘불멍’ 콘텐츠를 선호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해석했다. ‘불’과 ‘불멍’의 인식론적 관계를 해석적 연구로 밝히고, 이를 통해 문화원형으로서의 불의 이미지에 의미를 부여하는 콘텐츠 비평으로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popular video content of fireplace video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on platforms such as YouTube over the past few years. As most popular videos on video platforms have a plot and even very short videos contain narrative el...

      This study focuses on the popular video content of fireplace video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on platforms such as YouTube over the past few years. As most popular videos on video platforms have a plot and even very short videos contain narrative elements such as events or twists, it is noteworthy that monotonous fireplace videos without a story have gained such widespread popularity. This study attempts a critic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by linking the online reproduction of fireplace videos with the trendy term “hitting mung” which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e public.
      Starting from the discourse on “daydreaming” being linked to psychological effects and being presented as the purpose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videos, previous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ampfire videos was explored. Then, to specialize in “hitting mung” among various “daydreaming” contents, the unique media history of “hitting mung” videos and the cultural context of Western households were examined. In addition, by examining Gaston Bachelard's discussion of the imagery of fire in relation to daydreaming, material imagination, relaxation, and healing, the study interpreted the psychology of modern people who prefer “hitting mung” videos. The study presents a content critique that gives meaning to the imagery of fire as a cultural archetype through an interpretive analysis of the epistemo-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fire” and “hitting mu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장작불 영상 선호 원인으로서의 심리적 이완 효과
      • 3. 장작불 영상 선호 원인으로서의 건축문화와 미디어 장르 관습
      • 4. 토론: ‘불멍’에 대한 바슐라르적 해석
      • 5. 결론
      • 1. 서론
      • 2. 장작불 영상 선호 원인으로서의 심리적 이완 효과
      • 3. 장작불 영상 선호 원인으로서의 건축문화와 미디어 장르 관습
      • 4. 토론: ‘불멍’에 대한 바슐라르적 해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