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서 최초로 세워진 호계서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황과 그의 제자인 류성룡, 김성일을 모신 사액서원으로서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호계서원의 경우 다른 서원과 비슷...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15781
정재훈 (경북대학교)
2022
Korean
호계서원 ; 강학 활동 ; 학풍 ; 『심경』 ; Hogye Seowon ; Lecture activities ; Academic traditions ; 『Shimgyeong(心經)』
KCI등재
학술저널
43-70(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안동에서 최초로 세워진 호계서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황과 그의 제자인 류성룡, 김성일을 모신 사액서원으로서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호계서원의 경우 다른 서원과 비슷...
안동에서 최초로 세워진 호계서원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황과 그의 제자인 류성룡, 김성일을 모신 사액서원으로서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호계서원의 경우 다른 서원과 비슷하게 16~17세기에는 개별적인 학습을 중시하고, 또 그에 대한 평가 위주로 강회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강회를 운영하는 것에 관한 기록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18~19세기에는 대규모의 강회가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을 기록으로까지 남기는 경우가 생겼다. 이들 강회에서는 『대학』, 『중용』, 『근사록』, 『심경』, 『태극도설』, 『서명』 등 다양한 서적이 검토되었지만 특히 그 가운데서도 『심경』의 비중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성은 이미 이황의 단계에서부터 『심경』에 대한 주목이 높았던 사실과 연관된다. 호계서원에서 간행된 『송계원명이학통록』이나 강론된 『학부통변』 역시 이황이 당대 조선에서의 성리학의 이해와 실천 방향과 관련하여 고민하는 가운데 저술되거나 주목된 책으로서, 두 책 모두 실천적인 고민 아래에 주목된 것이 었다. 그런데 18~19세기에 호계서원에서 이루어진 『심경』에 대한 관심은 이황-김성일-이현일-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풍의 계승을 확인하는 의미를 지녔 다. 이는 심학에 기반한 성리학의 학설을 고집하기는 힘든 당시의 현실 상황에서는 한계를 지닌 것이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2 김대식, "화서(華西) 문인공동체(門人共同體) 강회(講會)의 실제" 교육사학회 21 (21): 39-64, 2011
3 박종배,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교육사학회 19 (19): 59-83, 2009
4 윤희면, "조선후기 소수서원의 교육 사례" 역사교육연구회 (92) : 99-125, 2004
5 정경주, "조선의 서당에서 배우는 사회적 교육의 지혜" 새물결 2018
6 정재훈,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신구문화사 2008
7 김자운,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유학연구소 55 : 89-118, 2021
8 권오영,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
9 김자운,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6) : 295-329, 2020
10 김대식, "논문으로 읽는 교육사" 문음사 2006
1 "栗谷全書"
2 김대식, "화서(華西) 문인공동체(門人共同體) 강회(講會)의 실제" 교육사학회 21 (21): 39-64, 2011
3 박종배, "학규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서원 강회" 교육사학회 19 (19): 59-83, 2009
4 윤희면, "조선후기 소수서원의 교육 사례" 역사교육연구회 (92) : 99-125, 2004
5 정경주, "조선의 서당에서 배우는 사회적 교육의 지혜" 새물결 2018
6 정재훈, "조선시대의 학파와 사상" 신구문화사 2008
7 김자운,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유학연구소 55 : 89-118, 2021
8 권오영,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
9 김자운,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민족문화연구소 (76) : 295-329, 2020
10 김대식, "논문으로 읽는 교육사" 문음사 2006
11 "鶴峯集"
12 이동희, "陳建의 『學蔀通辨』과 그의 朱子學" 7 : 1994
13 "退溪集"
14 鄭萬祚, "退溪學派의 書院(敎育)論" 9 : 1999
15 "虎溪講錄"
16 "艮齋集"
17 "溪巖日錄"
18 "永嘉誌"
19 "梅園日記"
20 "松巖集"
21 金鶴洙, "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 조선사회연구회 1998
22 "月川集"
23 "惟一齋先生實記"
24 "廬江記聞錄"
25 정순목, "寒岡 鄭逑의 敎學思想" 13 : 1985
26 "大山集"
27 전병철, "大山學派의 高山精舍 講會와 性理說 講論 -金塇의 「高山講義」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38) : 39-72, 2009
28 "九思堂集"
29 "中宗實錄"
30 권오영,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동향" 민족문화연구소 (70) : 25-68, 2018
31 최광만, "19세기 서원 강학활동 사례 연구: 『호계강록』을 중심으로" 교육사학회 22 (22): 109-145, 2012
32 김자운 ; 이우진, "1765년 虎溪書院 『大學』 강회 연구(1)" 민족문화연구소 (79) : 327-367, 2021
33 김영나, "16~18세기 안동지역 사족의 虎溪書院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73) : 115-152, 2015
홍가신(洪可臣)의 인적 네트워크 : 화담학(花潭學)과 퇴계학(退溪學)의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