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계서원의 지식문화 인프라 : 서적의 생산과 보급 = Knowledge Cultural Infrastructure of Hogye Seowon :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5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6~18세기에 虎溪書院(廬江書院)에서 이루어진 서적의 생산과 보급을 통해 이 서원만이 지니는 출판문화사적인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6세기는 『理學通錄』과 『退溪集』이 간행되는 상황에서 여강서원이 특정 단계의 교정을 진행하거나 刊本 제작을 위한 臺本을 제공하는 등 퇴계저술의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여강서원목활자는 퇴계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의 인적망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지식의 생산과 보급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출판문화사 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7세기에는 鶴峯과 西厓의 문집이 간행・보급되었는데, 『학봉집』은 1647년 여강서원에서 初刊된 이래로 李栽와 李象靖에 이르러 年譜 (1726년)와 續集(1781년)이 續刊되었다. 1633년에는 합천에서 『서애집』이 초간 되었는데, 당시 여강서원은 합천초간본 제작을 위한 淨書本을 담당할 정도로 상당한 출판입지를 갖추고 있었다. 18세기에 이재가 편찬한 『朱書講錄刊補』는 1743~1767년까지 장기간의 교정 끝에 1785년에 간행되어, 영남지역 가문을 중심으로 균형있게 보급되었다.
      즉 호계서원은 16세기에는 퇴계의 저서를 중심으로 서적을 생산・보급하였고, 17세기 초에는 『서애집』간행을 위한 협업의 토대를 구축했다. 그러다가 17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봉 계열 문인들이 주축이 되어 선대의 업적을 추숭하고 사상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에서 서적을 간행하고 보급해 나갔다.
      번역하기

      이 글은 16~18세기에 虎溪書院(廬江書院)에서 이루어진 서적의 생산과 보급을 통해 이 서원만이 지니는 출판문화사적인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6세기는 『理學通錄』과 『...

      이 글은 16~18세기에 虎溪書院(廬江書院)에서 이루어진 서적의 생산과 보급을 통해 이 서원만이 지니는 출판문화사적인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16세기는 『理學通錄』과 『退溪集』이 간행되는 상황에서 여강서원이 특정 단계의 교정을 진행하거나 刊本 제작을 위한 臺本을 제공하는 등 퇴계저술의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여강서원목활자는 퇴계학맥을 계승한 문인들의 인적망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지식의 생산과 보급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출판문화사 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17세기에는 鶴峯과 西厓의 문집이 간행・보급되었는데, 『학봉집』은 1647년 여강서원에서 初刊된 이래로 李栽와 李象靖에 이르러 年譜 (1726년)와 續集(1781년)이 續刊되었다. 1633년에는 합천에서 『서애집』이 초간 되었는데, 당시 여강서원은 합천초간본 제작을 위한 淨書本을 담당할 정도로 상당한 출판입지를 갖추고 있었다. 18세기에 이재가 편찬한 『朱書講錄刊補』는 1743~1767년까지 장기간의 교정 끝에 1785년에 간행되어, 영남지역 가문을 중심으로 균형있게 보급되었다.
      즉 호계서원은 16세기에는 퇴계의 저서를 중심으로 서적을 생산・보급하였고, 17세기 초에는 『서애집』간행을 위한 협업의 토대를 구축했다. 그러다가 17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이재-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봉 계열 문인들이 주축이 되어 선대의 업적을 추숭하고 사상을 보급하기 위한 목적에서 서적을 간행하고 보급해 나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혜봉, "한국목활자본" 범우사 1993

      2 "한국고전종합DB"

      3 안병걸, "풍산류씨 가문의 학문 전통과 가학 계승 -류중영과 그 후손들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155-188, 2018

      4 김자운,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유학연구소 55 : 89-118, 2021

      5 김소희, "조선시대 「大明一統志」의 수용과 활용" 한국서지학회 (88) : 79-95, 2021

      6 장진엽, "김성일의 「조선국연혁고이(朝鮮國沿革考異)」와 「풍속고이(風俗考異)」에 대한 재고" 열상고전연구회 (67) : 7-50, 2019

      7 金誠一, "鶴峯先生文集"

      8 정석태, "陶山書院 光明室 및 上溪 光明室 所藏 資料 撮影 結果 解題" 퇴계학연구원 114 : 233-272, 2003

      9 "鏤板考"

      10 權德秀, "逋軒先生文集"

      1 천혜봉, "한국목활자본" 범우사 1993

      2 "한국고전종합DB"

      3 안병걸, "풍산류씨 가문의 학문 전통과 가학 계승 -류중영과 그 후손들의 학문-" 한국국학진흥원 (35) : 155-188, 2018

      4 김자운,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유학연구소 55 : 89-118, 2021

      5 김소희, "조선시대 「大明一統志」의 수용과 활용" 한국서지학회 (88) : 79-95, 2021

      6 장진엽, "김성일의 「조선국연혁고이(朝鮮國沿革考異)」와 「풍속고이(風俗考異)」에 대한 재고" 열상고전연구회 (67) : 7-50, 2019

      7 金誠一, "鶴峯先生文集"

      8 정석태, "陶山書院 光明室 및 上溪 光明室 所藏 資料 撮影 結果 解題" 퇴계학연구원 114 : 233-272, 2003

      9 "鏤板考"

      10 權德秀, "逋軒先生文集"

      11 柳鐸一, "退溪의 文獻觀과 文獻學的 學風의 展開-鶴峯系派를 中心으로"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 : 1988

      12 柳雲龍, "謙菴先生集"

      13 柳成龍, "西厓集"

      14 李埈, "蒼石先生文集"

      15 權文海, "草澗集"

      16 李埦, "艮巖遺稿"

      17 金璡, "聯芳世稿"

      18 崔笠, "簡易文集"

      19 李時發, "碧梧先生遺稿"

      20 柳希春, "眉巖日記"

      21 裵龍吉, "琴易堂集"

      22 金坽, "溪巖日錄"

      23 李仁榮, "淸芬室書目"

      24 金玏, "栢巖先生文集"

      25 權宇, "松巢先生文集"

      26 權好文, "松巖集"

      27 정석태, "書簡 중심의 문집 출현과 『退溪集』 ― 『退溪集』 諸 異本에 대한 한 고찰 ―" 영남퇴계학연구원 (17) : 141-178, 2015

      28 "嶺南各邑校院書冊錄"

      29 李栽, "密菴先生文集"

      30 黃後幹, "夷峯先生文集"

      31 李象鼎, "大山集"

      32 金圻, "北厓先生文集"

      33 李鳳煥, "劔南遺集"

      34 金樂行, "九思堂集"

      35 남권희, "『간보개간시일기』에 의한 『주서강록간보』의 간행 경위에 관한 고찰" 서지학회 8 : 1992

      36 정석태,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영남퇴계학연구원 (2) : 157-326, 2008

      37 이아름, "<퇴계집> 간행 과정에 담긴 교육적 함의 -‘월천・서애 시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4 (34): 187-205, 2020

      38 강경현, "<宋季元明理學通錄>의 구성과 의의" 한국학연구소 (32) : 491-530, 2014

      39 옥영정, "16세기 조선의 목활자 인쇄와 1577년 조보(朝報) 인쇄의 가치" 한국출판학회 46 (46): 5-32,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