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양 실트의 비정질 실리카 = Amorphous Silica in Soil Sil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5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rphous silica (SiO2) silt grains were found in some soils of Korean Peninsul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polished section of soils revealed ellipsoidal amorphous SiO2 grains with numerous submicron pores concentrated in the interior. Their amorphous structure was confirmed by lattice imaging and electron diffraction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morphous SiO2 grains were not found in the eolian sediment of the Chinese loess plateau. Although the origin of the amorphous SiO2 grain is uncertain, they are likely either phytolith or weathering product of volcanic ash. The amorphous SiO2 silt grains are not useful as a tracer of long-range transport mineral dust in soils.
      번역하기

      Amorphous silica (SiO2) silt grains were found in some soils of Korean Peninsul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polished section of soils revealed ellipsoidal amorphous SiO2 grains with numerous submicron pores concentrated in the interior. Their am...

      Amorphous silica (SiO2) silt grains were found in some soils of Korean Peninsul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polished section of soils revealed ellipsoidal amorphous SiO2 grains with numerous submicron pores concentrated in the interior. Their amorphous structure was confirmed by lattice imaging and electron diffraction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morphous SiO2 grains were not found in the eolian sediment of the Chinese loess plateau. Although the origin of the amorphous SiO2 grain is uncertain, they are likely either phytolith or weathering product of volcanic ash. The amorphous SiO2 silt grains are not useful as a tracer of long-range transport mineral dust in soi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반도 일부 토양에서 비정질 실리카(SiO2) 실트 입자들이 발견되었다. 토양 연마박편의 주사전 자현미경에서 관찰된 비정질 SiO2 입자는 타원형이며, 1마이크론 이하의 극미세 공극들이 입자 내부 에 집중 분포한다. 입자의 비정질성은 투과전자현미경 격자상 관찰과 전자회절로 확인하였다. 이 이질 적인 실트 입자들의 풍성기원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황토고원의 풍성퇴적물인 뢰스(loess) 내 SiO2 실트입자들을 조사하였으나 유사 입자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아직 기원이 명확하진 않지만, 식물규소체나 화산재 풍화물일 가능성이 있다. 토양환경에서 비정질 SiO2 실트 입자의 장거리 이동 광물먼지(황사) 추적자로서 가능성은 낮다.
      번역하기

      한반도 일부 토양에서 비정질 실리카(SiO2) 실트 입자들이 발견되었다. 토양 연마박편의 주사전 자현미경에서 관찰된 비정질 SiO2 입자는 타원형이며, 1마이크론 이하의 극미세 공극들이 입자 ...

      한반도 일부 토양에서 비정질 실리카(SiO2) 실트 입자들이 발견되었다. 토양 연마박편의 주사전 자현미경에서 관찰된 비정질 SiO2 입자는 타원형이며, 1마이크론 이하의 극미세 공극들이 입자 내부 에 집중 분포한다. 입자의 비정질성은 투과전자현미경 격자상 관찰과 전자회절로 확인하였다. 이 이질 적인 실트 입자들의 풍성기원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황토고원의 풍성퇴적물인 뢰스(loess) 내 SiO2 실트입자들을 조사하였으나 유사 입자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아직 기원이 명확하진 않지만, 식물규소체나 화산재 풍화물일 가능성이 있다. 토양환경에서 비정질 SiO2 실트 입자의 장거리 이동 광물먼지(황사) 추적자로서 가능성은 낮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영, "화력발전소 석탄회의 희유금속화학, 미세구조,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28 (28): 145-163, 2015

      2 윤순옥, "충남 서산 해미지역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지구화학적 특성" 대한지질학회 47 (47): 343-362, 2011

      3 이진영, "제주도 상창리 제4기 퇴적층 연대와 화산활동" 대한지질학회 50 (50): 697-706, 2014

      4 곽태훈,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30 (30): 11-19, 2017

      5 신재봉, "뢰스-고토양 퇴적층을 이용한 홍천강 중류에 발달한 하안단구의 형성시기" 대한지질학회 41 (41): 323-333, 2005

      6 Jeong, G. Y., "Weathering of plagioclase in Palgongsan granite" 34 : 44-57, 1998

      7 Jeong, G. Y., "The dependence of localized crystallization of halloysite and kaolinite on primary minerals in the weathering profile of granite" 48 : 196-203, 2000

      8 Chun, Y.,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106 (106): 18461-18469, 2001

      9 Jeong, G. Y., "Rb-Sr and K-Ar systems of biotite in surface environments regulated by weathering processes with implications for isotopic dating and hydrological cycles of Sr isotopes" 70 : 4734-4749, 2006

      10 Jeong, G. Y., "Quantitative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 thick Chinese loess-paleosol section : implications for loess provenance and weathering" 37 : 1271-1287, 2008

      1 정기영, "화력발전소 석탄회의 희유금속화학, 미세구조,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28 (28): 145-163, 2015

      2 윤순옥, "충남 서산 해미지역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지구화학적 특성" 대한지질학회 47 (47): 343-362, 2011

      3 이진영, "제주도 상창리 제4기 퇴적층 연대와 화산활동" 대한지질학회 50 (50): 697-706, 2014

      4 곽태훈, "전남 나주시 장동리 지역에 노출된 적갈색 점토-실트 퇴적물의 광물 및 지화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30 (30): 11-19, 2017

      5 신재봉, "뢰스-고토양 퇴적층을 이용한 홍천강 중류에 발달한 하안단구의 형성시기" 대한지질학회 41 (41): 323-333, 2005

      6 Jeong, G. Y., "Weathering of plagioclase in Palgongsan granite" 34 : 44-57, 1998

      7 Jeong, G. Y., "The dependence of localized crystallization of halloysite and kaolinite on primary minerals in the weathering profile of granite" 48 : 196-203, 2000

      8 Chun, Y.,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106 (106): 18461-18469, 2001

      9 Jeong, G. Y., "Rb-Sr and K-Ar systems of biotite in surface environments regulated by weathering processes with implications for isotopic dating and hydrological cycles of Sr isotopes" 70 : 4734-4749, 2006

      10 Jeong, G. Y., "Quantitative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 thick Chinese loess-paleosol section : implications for loess provenance and weathering" 37 : 1271-1287, 2008

      11 Sohn, Y. K., "Primary versus secondary and subaerial versus submarine hydrovolcanic deposits in the subsurface of Jeju Island, Korea" 55 : 899-924, 2008

      12 Lee, J. -Y., "Preliminary geological interpretation of Quaternary deposits between volcanic activities in Jeju island" Korea Institute of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2014

      13 Shoji, S., "Opaline silica of recent volcanic ash soils in Japan" 22 : 101-108, 1971

      14 Kim, K., "Nature of phytoliths and their applications in botany" 35 : 283-305, 1992

      15 Gi Young Jeong, "Nanofiber calcite in Asian dust and its atmospheric roles"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33 (33): 2006

      16 Jeong, G. Y.,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environment of kaolin minerals in the weathering of granitoids : weathering of biotite in Palgongsan granite" 11 : 97-105, 1998

      17 Jeong, G. Y., "Long-range transport of giant particles in Asian dust identified by physical, mineralogical, and meteorological analysis" 14 : 505-521, 2014

      18 Yu, K. -M.,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Dukso area, Namyangju City, Korea (South)" 176-177 : 96-103, 2008

      19 Kukla, G., "Loess stratigraphy in central China" 72 : 203-225, 1989

      20 Liu, T. S., "Loess in China" China Ocean Press, Springer 224-, 1988

      21 Henmi, T., "Laminar opaline silica from some volcanic ash soils in New Zealand" 28 : 57-60, 1980

      22 Kim, J. C., "Geochemistry of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eongokri archaeological site, Korea :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palaeoenvironments during the Late Pleistocene" 27 : 260-268, 2011

      23 Jeong, G. Y.,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Asian dust in Paleolithic sites, Korea" 78 : 283-300, 2013

      24 Jeong, G. Y., "Changes in mineralogy of loess-paleosol sections across the Chinese Loess Plateau" 75 : 245-255, 2011

      25 Gi Young Jeong,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sian dust and a comparison with its source soils"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113 (113): 2008

      26 Uno, I., "Asian dust transported one full circuit around the globe" 2 : 557-560, 2009

      27 정기영, "2018년 4월 6일과 15일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31 (31): 103-111, 2018

      28 박미연, "2015년 2월 22일 인천광역시 덕적도에서 포집된 황사의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 29 (29): 79-87,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20-0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물학회지 -> 광물과 암석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2019-12-30 통합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6 0.5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