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생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집단의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 The Effect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To examin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Elementary School Violenc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Initiative for Safe School Seoul Council(2002) was used. Adjustment at school was assessed by the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made by Lim(1993), and modified by Yoon(1994).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ssessed by the Permissive Attitud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igby and Slee(1993) and Perry at al(1986) and revised by Kim(2000) and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Questionnaire based on Perry's Self Efficacy Scale and prepared by Kim(2000).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49.9%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bulling and victimization both. This mount was much more than one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f either bullying(18.1%) or victimization(7%).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i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Bully/Victim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y on adjustment at school and the Bully/Victim students and the people experienced bulling others had high permissive attitude level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Moreover, one being a victim in peer violence had more and less level in probability of aggression.
      Third,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with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more they experienced victimization, the more they adjust at school in Bully/Victim Group. Permissive attitude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was also produced from the students who had more experiences bullying others in Bully/Victim group and Bullies as well.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had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ullying experience of Victim group.
      Forth, victimization was prov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he adjustment at school and bullying experience on peer violence predicting the permissive attitude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in Bully/Victim group. Bullying experience was also a influencing variable explaining the attitude for bulling of the students mainly bullying 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ffected by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especially in Bully/Victim Group. Therefore,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strategy not making up for peer violence problems as simply diving the students as bullies or victims so far is required to solve the sever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and repetition of peer violence among Bully/Victim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com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To examin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Elementary School Violenc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Initiative for Safe School Seoul Council(2002) was used. Adjustment at school was assessed by the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made by Lim(1993), and modified by Yoon(1994).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ssessed by the Permissive Attitud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igby and Slee(1993) and Perry at al(1986) and revised by Kim(2000) and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Questionnaire based on Perry's Self Efficacy Scale and prepared by Kim(2000).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49.9%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bulling and victimization both. This mount was much more than one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f either bullying(18.1%) or victimization(7%).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i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Bully/Victim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y on adjustment at school and the Bully/Victim students and the people experienced bulling others had high permissive attitude level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Moreover, one being a victim in peer violence had more and less level in probability of aggression.
      Third,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with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more they experienced victimization, the more they adjust at school in Bully/Victim Group. Permissive attitude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was also produced from the students who had more experiences bullying others in Bully/Victim group and Bullies as well.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had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ullying experience of Victim group.
      Forth, victimization was prov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he adjustment at school and bullying experience on peer violence predicting the permissive attitude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in Bully/Victim group. Bullying experience was also a influencing variable explaining the attitude for bulling of the students mainly bullying 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ffected by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especially in Bully/Victim Group. Therefore,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strategy not making up for peer violence problems as simply diving the students as bullies or victims so far is required to solve the sever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and repetition of peer violence among Bully/Victim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아동들이 실제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현황이 어떠한지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고려해서 알아보고, 아동들의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허용도, 행위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또래폭력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부산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대상은 총 594명으로 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서울특별시ㆍ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2002)의 초등학생 학교폭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은 임정순(1993)이 개발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유윤희(1994)가 재구성하고 최진희(2000)가 다시 수정ㆍ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를 설명해주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은 Rigby와 Slee(1993) 그리고 Perry와 동료들(1986)의 것을 번안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허용도 척도와, Perry와 동료들(1986)이 제시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척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행위가능성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척도들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른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수준은 75%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을 동시에 하고 있는 아동(49.9%)이 가장 많았고, 가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18.1%)과 피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7%)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은 그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를 모두 경험하는 아동들이 학교적응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고, 또래폭력의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과 가해만 주로 경험하는 아동들 모두 또래폭력에 대한 높은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피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들 역시,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무경험 아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또래폭력 경험에 따른 집단별 가해ㆍ피해경험과 학교적응,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학교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 모두, 그리고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 둘 다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경험만 많은 아동들도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ㆍ피해집단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의 경우에도 그들의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또래폭력은 실제 가해, 또는 피해만을 경험하는 아동보다 가해와 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들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보이는 아동들은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그들의 학교적응과 또 다른 또래폭력을 시도할 수 있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와 행위가능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경험 아동들의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또래폭력의 문제를 이전과 같이 가해자 또는 피해자로 구분해서 처리하지 않고,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해결책이 요구되어져야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아동들이 실제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가해ㆍ...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아동들이 실제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현황이 어떠한지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고려해서 알아보고, 아동들의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허용도, 행위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또래폭력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부산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대상은 총 594명으로 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서울특별시ㆍ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2002)의 초등학생 학교폭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은 임정순(1993)이 개발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유윤희(1994)가 재구성하고 최진희(2000)가 다시 수정ㆍ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를 설명해주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은 Rigby와 Slee(1993) 그리고 Perry와 동료들(1986)의 것을 번안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허용도 척도와, Perry와 동료들(1986)이 제시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척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행위가능성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척도들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른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수준은 75%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을 동시에 하고 있는 아동(49.9%)이 가장 많았고, 가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18.1%)과 피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7%)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은 그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를 모두 경험하는 아동들이 학교적응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고, 또래폭력의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과 가해만 주로 경험하는 아동들 모두 또래폭력에 대한 높은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피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들 역시,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무경험 아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또래폭력 경험에 따른 집단별 가해ㆍ피해경험과 학교적응,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학교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 모두, 그리고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 둘 다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경험만 많은 아동들도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ㆍ피해집단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의 경우에도 그들의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또래폭력은 실제 가해, 또는 피해만을 경험하는 아동보다 가해와 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들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보이는 아동들은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그들의 학교적응과 또 다른 또래폭력을 시도할 수 있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와 행위가능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경험 아동들의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또래폭력의 문제를 이전과 같이 가해자 또는 피해자로 구분해서 처리하지 않고,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해결책이 요구되어져야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목차
      • 국문개요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또래폭력 = 5
      • 1) 또래폭력의 개념 및 실태 = 5
      • 2) 또래폭력 가해ㆍ피해자의 특성 = 8
      • 2.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 11
      • 1)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 = 13
      • 2) 또래폭력의 행위가능성 = 14
      • 3) 또래폭력 경험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 14
      • 3. 학교적응 = 15
      • 1) 학교적응의 개념 및 특성 = 15
      • 2) 또래폭력 경험과 학교적응 = 17
      • Ⅲ. 연구방법 = 19
      • 1. 연구대상 = 19
      • 2. 측정도구 = 22
      • 3. 연구절차 = 25
      • 4. 자료분석 = 26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7
      • 1. 초등학생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현황 = 27
      • 2.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른 집단간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 = 32
      • 3. 각 집단별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6
      • Ⅴ. 논의 및 결론 = 42
      • 1. 논의 = 42
      • 2. 결론 및 제언 = 45
      • 참고문헌 = 49
      • 부록 =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