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정치에서 정당정치의 위상과 과제 = The Status and Task of Party Politics in the Local Poli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critically examining and systematically constructing the models of local politics in Korea. We can classify thre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local politics especially according to priority of political party. Party politics model centered on all-purpose elected local council and mayor belong to certain party. Non-partisan individualist model focused on markets serving individuals as customers. Mobilization model stressed on the mobilization of disadvantaged people or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of the public.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 core task for Korea's democratic consolidation is to promote the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through constructing democratic and institutional linkages between local politics and party politic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critically examining and systematically constructing the models of local politics in Korea. We can classify thre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local politics especially according to priority of political party. Party politics...

      This paper aims at critically examining and systematically constructing the models of local politics in Korea. We can classify three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local politics especially according to priority of political party. Party politics model centered on all-purpose elected local council and mayor belong to certain party. Non-partisan individualist model focused on markets serving individuals as customers. Mobilization model stressed on the mobilization of disadvantaged people or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of the public.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 core task for Korea's democratic consolidation is to promote the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through constructing democratic and institutional linkages between local politics and party poli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자치부, "행정자치위원회 국정감사요구자료" 행정자치부 2007

      2 김석우, "한국정치사에서의 5.31 지방선거의 의미: 정치적 충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9 (29): 349-373, 2008

      3 김용호, "한국의 풀뿌리 정당조직의 실태 분석과 제도개선 방안" 2008

      4 최장집, "한국 정치의 제도개혁 - 한국 민주주의의 제도디자인 서설 -"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155-191, 2003

      5 박찬표, "한국 ‘정당민주화론’의 반성적 성찰:‘정당민주화’인가 ‘탈정당’인가?" 사회과학연구소 11 : 137-166, 2003

      6 투명사회협약실천위원회, "투명사회협약백서" 투명사회협약실천위원회 2007

      7 박찬표, "책임정당정치(책임정당정부)의 논리와 조건" 2008

      8 박종민, "지방정치에서 정당의 역할과 한계: 한 도시 이야기" 7 (7): 143-171, 2001

      9 지병문, "지방정부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8 (8): 265-286, 2003

      10 이승종, "지방정부 정책결정자의 정당, 정치이념, 정책선호와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117-135, 2006

      1 행정자치부, "행정자치위원회 국정감사요구자료" 행정자치부 2007

      2 김석우, "한국정치사에서의 5.31 지방선거의 의미: 정치적 충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9 (29): 349-373, 2008

      3 김용호, "한국의 풀뿌리 정당조직의 실태 분석과 제도개선 방안" 2008

      4 최장집, "한국 정치의 제도개혁 - 한국 민주주의의 제도디자인 서설 -" 아세아문제연구소 46 (46): 155-191, 2003

      5 박찬표, "한국 ‘정당민주화론’의 반성적 성찰:‘정당민주화’인가 ‘탈정당’인가?" 사회과학연구소 11 : 137-166, 2003

      6 투명사회협약실천위원회, "투명사회협약백서" 투명사회협약실천위원회 2007

      7 박찬표, "책임정당정치(책임정당정부)의 논리와 조건" 2008

      8 박종민, "지방정치에서 정당의 역할과 한계: 한 도시 이야기" 7 (7): 143-171, 2001

      9 지병문, "지방정부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8 (8): 265-286, 2003

      10 이승종, "지방정부 정책결정자의 정당, 정치이념, 정책선호와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117-135, 2006

      11 정명은, "지방정부 정당구도가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5-48, 2008

      12 이승종,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복지정책정향" 34 (34): 197-234, 2000

      13 황아란, "지방선거의 정당공천: 경선제 도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6 (16): 97-114, 2002

      14 박재욱,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와 경선제 -5.31지방선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9 (9): 336-359, 2006

      15 이현우, "지방선거를 통한 지방자치 평가:대표성, 민주성, 자율성" 한국세계지역학회 24 (24): 221-247, 2006

      16 유재원, "지방관료제에 대한 외부행위자들의 영향력 분석" 한국정책학회 11 (11): 23-26, 2002

      17 김욱, "중앙정치와 지방정치의 연계방향: 정당조직을 중심으로" 2006

      18 고선규, "정당원의 정당조직 운영과 정치제도평가" 2008

      19 김면회, "정당 민주화와 현대 독일정치: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1 : 59-84, 2003

      20 Elmer Eric Schattschneider, "절반의 인민주권" 후마니타스 2008

      21 Ulrich Beck, "적이 사라진 민주주의: 자유의 아이들과 아래로부터의 새로운 민주주의" 새물결 2005

      22 강원택, "영국의 정당 민주주의:형성과 변화" 사회과학연구소 11 : 7-36, 2003

      23 정상호,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의 관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 41 (41): 161-184, 2007

      24 Marion Gret, "뽀르뚜 알레그리: 새로운 민주주의의 희망" 박종철출판사 2005

      25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한국 민주주의의 변형과 헤게모니" 후마니타스 2006

      26 주용학, "민선4기 지방선거 결과 분석 및 정책적 함의 - 기초단체장의 정당공천제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19 (19): 29-51, 2007

      27 James Burns, "미국지방정치론" 대왕사 2001

      28 Charlene Spretnak, "녹색정치: 전지구적 위기에 도전하는 녹색당의 이념과 활동" 정신세계사 1990

      29 2006지방선거시민연대, "각 정당의 5·31 지방선거 공천 평가보고서" 2006지방선거시민연대 2006

      30 Stone, Clarence, "Urban Policy and Politics in a Bureaucratic Age" Prentice Hall 1986

      31 Rhodes. R.A.W., "Understanding Governance: Policy Networks, Governance, Reflexity and Accountability" Open University Press 1997

      32 Yates, Douglas, "The Ungovernable City: The Politics of Urban Problems and Policy Making" MIT Press 1977

      33 Manin, Bernard,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Gover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4 Gyford, John, "The Politicisation of Local Government in Half a Century of Municipal Decline" Allen & Unwin 1985

      35 Luttbeg, Norman R., "The Grassroots of Democracy: A Comparative Study of Competition and Its Impact in American Cities in the 1990s" Lexington Books 1999

      36 Key, V. O., "Southern Politics in State and Nation" A. A. Knopf 1949

      37 Newton, Kenneth, "Second City Politics: Democratic Processes and Decision- making in Birmingham" Clarendon Press 1976

      38 Goldsmith, Mike, "Representing Communities: Who and What? in Representation and Community in Western Democracies" Palgrave Macmillan 2000

      39 Shefter, Martin, "Political Crisis, Fiscal Crisis: The Collapse and Revival of New York City" Basic Books 1989

      40 Mair, Peter, "Party System Change: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1 Bibby, John F., "Parties and Election in Politics in the American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CQ Press 66-112, 1996

      42 Miller, William L., "Models of Local Governance: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Theory in Britain" Palgrave Macmillan 2000

      43 Crenson, Matthew A., "Dow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2

      44 Fung, Archon, "Deepening Democracy: Institutional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Verso 2003

      45 Sartori, Giovanni, "Comparative Constitutional Engineering: An Inquiry into Structures, Incentives and Outcomes" Palgrave Macmillan 1994

      46 Copus, Colin, "Communities, Parties, and Crises of Representation in Representation and Community in Western Democracies" Palgrave Macmillan 2000

      47 Offerdal, Audun, "Communal Politics in Communal Styrng" Samlaget 1991

      48 Peterson, Paul E., "City Limi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49 Bledsoe, Timothy, "Careers in City Politics: The Case for Urban Democrac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3

      50 세계일보, "2008년 9월 24일"

      51 한겨레신문, "2006년 1월 30일"

      52 문화일보, "2005년 4월 29일, 6월 30일"

      53 이기우, ""지방자치의 현주소와 진로" in 풀뿌리는 느리게 질주한다: 자치운동의 현재와 미래" 갈무리 2002

      54 김태근, ""지방자치와 진보정치: 울산 민주노동당의 경험을 중심으로" in 진보적 지방자치,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 진보정치연구소 2006

      55 이승종, ""정당참여 배제론의 논거와 비판" in 지방자치론: 정치와정책" 박영사 2005

      56 하승우, ""일상적인 삶의 정치화와 소통공간의 활성화" in 풀뿌리는 느리게 질주한다: 자치운동의 현재와 미래" 갈무리 2002

      57 하승수, ""일본의 지역정당(Local Party) 운동과 대리인운동" in 풀뿌리는 느리게 질주한다: 자치운동의 현재와 미래" 갈무리 2002

      58 정태호,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회의원 정당공천제 존치해야" in 시민과변호사" 서울변호사협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