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력(Sense of Coherence)과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의 연관성 연구 = The relationship of ‘Sense of Coherence’, Suicidal Thought and Soci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2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thought and Sense ofCoherence (SOC) and to identify social support as GeneralResistant Resources (GRRs) for improving SOC. For the study, Seoul WelfarePanel Study (SWPS, 2010) wa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thought and Sense ofCoherence (SOC) and to identify social support as GeneralResistant Resources (GRRs) for improving SOC. For the study, Seoul WelfarePanel Study (SWPS, 2010) was analyzed and final sample is consists of 2,357individuals aged 18 and over. This study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is to verifythat SOC has an impact on suicidal thought, even though social structural·psychological factors(sex, age, marital stat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depression) were controlled. Second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increasing SOC as GRRS. For this analysis,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lastly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 has on great positiveeffects on decreasing suicidal thought; moreover SOC can decrease impacts ofdepression on suicidal though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mparatively highlevel of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re the factors for promoting SOC.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might be done that GRRS, such as socialsupport should be developed as policy because SOC is necessary to reducesuicidal as well as depre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에 따라 자살생각과 통합력의 연관성의 검증하고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

      본 연구의 목적은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에 따라 자살생각과 통합력의 연관성의 검증하고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0년 서울시 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였고,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최종 대상자수는 2,357명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은 두 부분으로 나눠지는 데, 첫 번째는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성별,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우울 정도)을 통제하고도 통합력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두 번째는 일반적 저항자원으로서 사회적 지지(지각된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력은 인구・사회・심리적 요인을 통제하였음에도 불구하고여전히 자살생각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력은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줄이는 완충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수준이 통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면 자살생각은 물론 우울증을 줄이기 위해 통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통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같은 일반적 저항자원의 개발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최경희, "한국의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 실태와 과제" 3 : 5-14, 2009

      2 김형수,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5, 2013

      3 서인균,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7-157, 2011

      4 모지환,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1-145, 2011

      5 이귀행, "자살의 심리학적 측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0 (10): 11-14, 2004

      6 박병선,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485-521, 2012

      7 이구상, "자살사망자의 축약 심리적 부검에 관한 연구" 2012

      8 Durkeim E., "자살론" 청아출판사 2008

      9 박형민, "자살, 차악의 선택: 자살의 성찰성과 소통 지향성" 이학사 56-60, 2010

      10 김연정, "유방암과 간암환자의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 간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40 (40): 524-532, 2010

      1 정최경희, "한국의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 실태와 과제" 3 : 5-14, 2009

      2 김형수,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5, 2013

      3 서인균,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7-157, 2011

      4 모지환, "자살행동 영향 요인: 성별, 연령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121-145, 2011

      5 이귀행, "자살의 심리학적 측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0 (10): 11-14, 2004

      6 박병선,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485-521, 2012

      7 이구상, "자살사망자의 축약 심리적 부검에 관한 연구" 2012

      8 Durkeim E., "자살론" 청아출판사 2008

      9 박형민, "자살, 차악의 선택: 자살의 성찰성과 소통 지향성" 이학사 56-60, 2010

      10 김연정, "유방암과 간암환자의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 간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40 (40): 524-532, 2010

      11 윤숙희, "우울, 희망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 24 (24): 209-218, 2012

      12 이현경,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672-682, 2012

      13 서울시 복지재단, "서울시 복지패널 소개"

      14 문은식, "생활사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남고생과 여고생의 비교"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77-293, 2011

      15 정일영,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64-177, 2013

      16 박재순, "병원근무 간호사의 통합성과 대처자원" 7 (7): 348-358, 2001

      17 허정은, "동성애자의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 및 우울과 자살사고(自殺思考)간의 관계" 4 (4): 57-72, 2004

      18 권중돈,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 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89-114, 2012

      19 고재욱, "독거노인의 자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사회학회 (30) : 29-48, 2011

      20 이금룡,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62-189, 2013

      21 이혜자,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 인구학적 관련변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2 : 127-150, 2003

      22 유정균,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가족불안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1995-2005" 한국인구학회 31 (31): 21-44, 2008

      23 한삼성,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64-181, 2009

      24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4-62, 2011

      25 배지연,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회 25 (25): 59-73, 2005

      26 장미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14 (14): 33-42, 2005

      27 공혜선,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3 (13): 113-125, 2012

      28 양남영, "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및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515-524, 2012

      29 엄태완,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55-379, 2007

      30 Dunleavy A., "Wellbeing for homeless people: a Salutogenic approach" 2012

      31 Antonovsky A.,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Jossey-Bass 1987

      32 Mann J. J., "Toward a Clinical Model of Suicidal Behavior in Psychiatric Patients" 156 (156): 181-189, 1999

      33 Callahan L. F., "The sense of coherence scal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8 : 28-35, 1995

      34 Antonovsky A., "The salutogenic model as a theory to guide health promotion" 11 (11): 11-18, 1996

      35 Billings A. G,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4 : 139-157, 1981

      36 Leenaars A., "Suicide notes. 138" Human Sciences Press 1988

      37 Mehlum L., "Suicidal ideation and sense of coherence in male conscripts" 98 (98): 487-492, 1998

      38 Wolff A. C., "Stress,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21 (21): 182-197, 1999

      39 O’ Heron C. A., "Stereotypic and nonstereotypic sex role trait and behavior orientation, gender ident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58 : 134-143, 1990

      40 Strang S., "Spiritual thoughts, coping and ‘sense of coherence’ in brain tumor patients and their spouse" 15 (15): 127-134, 2001

      41 Sjostrom N., "Sleep, Sense of coherence and suicidality in suicide attempters. Goteborg: Institute of Neuroscience and Physiology, Section of Psychiatry and Neurochemistry at Sahlgrenska Academy, university of Gothenburg" 44 (44): 821-831, 2009

      42 Mcsherry W. C., "Sense of coherence: its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cess prior to, during, and after a stressful situation" 50 (50): 476-487, 1994

      43 Etrie K., "Sense of cohere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hopelessness as correlates of reattempting suicide" 31 (31): 293-300, 1992

      44 Mellqvist M., "Sense of coherence in elderly suicide attempters: the impact of social and health-related factors" 23 (23): 986-993, 2011

      45 Sairenchi T., "Sense of coherence as a predictor of onset of depression among Japanese workers: a cohort study" 11 (11): 205-212, 2011

      46 Kivimäki M., "Sense of coherence as a modifier of occupational stress exposure, stress perception, and experienced strain: a study of industrial managers" 83 (83): 971-981, 1998

      47 Richardson C. G., "Sense of coherence as a moderator of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health" 59 (59): 979-984, 2005

      48 Sjöström N., "Sense of coherence and suicidality in suicide attempters: a prospective study" 19 : 62-69, 2012

      49 Torsheim T., "Sense of coherence and school-related stress as predictors of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in early adolescence: interactive, indirect or direct relationships?" 53 (53): 603-614, 2001

      50 Kouvonen A.M., "Sense of coherence and psychiatric morbidity: a 19-year register-based prospective study" 64 (64): 255-261, 2010

      51 Flensborg-Madsen T., "Sense of coherence and physical health. Testing Antonovsky's theory" 9 (9): 2212-2219, 2006

      52 Javtokas Z., "Sense of coherence and awakening pattern: Evidence from the population survey in Lithuania" 3 (3): 46-50, 2004

      53 Ristkari T., "Sense of coherence among Finnish young men a cross-sectional study at military call-up" 59 (59): 473-480, 2005

      54 정채원, "Sense of Coherence in Salutogenic Paradigm" 30 (30): 1049-1057, 1999

      55 Lindström B., "Salutogenesis" (59) : 440-442, 2005

      56 Tsuno Y. S,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coherence, resources, and mental health in urban and rural residents in Japan" 23 (23): 1107-1116, 2012

      57 Heimburg D. V., "Moving towards a Salutogenic paradigm of health promotion: The significance of psychosocial resistance resources for health and well-being"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0

      58 Recker G. T., "Meaning and purpose in life and well-being: A Life-span perspective" 42 : 44-49, 1987

      59 Carstens J. A, "Major depression: a breakdown in sense of coherence?" 80 (80): 1211-1220, 1997

      60 Blom E. C. H., "Low Sense of Coherence (SOC) is a mirror of general anxiety and persistent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 a cross-sectional study of a clinical and a non-clinical cohort" 10 : 58-63, 2010

      61 Gana K., "Is sense of coherence a mediator between advers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ults?" 17 (17): 77-83, 2001

      62 Antonovsky A., "Health, Stress and Coping" Jossey-Bass 1979

      63 Kobasa S. C.,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42 : 168-177, 1982

      64 Matsuura E., "Frequency and analysis of factor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cleroderma" 30 (30): 1782-1787, 2003

      65 Kähönen K., "Development of sense of coherence during two group interventions" 53 : 523-527, 2012

      66 Beck A. T., "Cognitive models of depression" 1 (1): 5-37, 1987

      67 Lundberg O., "Childhood conditions, sense of coherence, social class and adult ill health: exploring thei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lations" 44 (44): 821-831, 1991

      68 Eriksson M.,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scale and the relation with health: a systematic review" 60 (60): 376-381, 2006

      69 Rosenbaum M., "A schedule for assessing self-control behavior: Preliminary findings" 11 : 109-121, 1990

      70 김경숙, "2차 종합병원 간호사의 업무환경요인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121-12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