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의 의미를 조명해 보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유아교육의 전통적인 접근방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타급학교와 구별되는 유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의 의미를 조명해 보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유아교육의 전통적인 접근방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타급학교와 구별되는 유아...
본 논문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의 의미를 조명해 보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은 유아교육의 전통적인 접근방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타급학교와 구별되는 유아교육의 특성과 고전적인 유아교육의 개념과 현대적 유아교육의 개념을 알아보았고, 유아교육에서 통합의 의미와 유아교육에서 통합교육이 필요한 이유들을 인식론적 측면, 심리적 측면, 그리고 사회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아교육의 통합의 근거가 되는 유아교육사상가들의 주요 개념을 고찰해보고, 이런 이론들에서 제안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접근방법들로 주제중심 통합교육방법, 프로젝트 접근방법, 그리고 홀리스틱 접근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통합교육과정 운영에서 발생하는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천의 문제와 잡동사니 교육과정의 문제 둥을 고찰하고,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유아교육에 적합한 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raits, classical concep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raits, classical concepts, and contemporary concep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eaning of integration and the necessity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review the major concept of philosophers, and methods of integrated curriculum-theme integrated approach, project approach, and holistic approach. And it is to find problem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educational practice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tegrated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 양서원 1997
2 명지원,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의 유아교육 활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49-473, 2007
3 변길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67-181, 2006
4 이숙희,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407-430, 2005
5 노영희,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의 조건 탐색" 3 (3): 153-174, 1999
6 조덕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185-204, 1998
7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교과서 구조개선 연구"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1996
8 교육과정개정 연구회, "통합교과의 교과과정" 한국교육개발원 1996
9 권낙원, "통합 수업 분류 준거 탐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1-49, 2006
10 조덕주, "통합 교육과정 적용의 이유에 대한 고찰" 25 (25): 41-52, 1997
1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활동중심 통합교육과정" 양서원 1997
2 명지원,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의 유아교육 활동"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49-473, 2007
3 변길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7 (27): 167-181, 2006
4 이숙희, "통합적 유아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407-430, 2005
5 노영희, "통합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육과정 계획의 조건 탐색" 3 (3): 153-174, 1999
6 조덕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185-204, 1998
7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교과서 구조개선 연구"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1996
8 교육과정개정 연구회, "통합교과의 교과과정" 한국교육개발원 1996
9 권낙원, "통합 수업 분류 준거 탐색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1-49, 2006
10 조덕주, "통합 교육과정 적용의 이유에 대한 고찰" 25 (25): 41-52, 1997
11 "통계청 http://www.index.go.kr"
12 이경수, "탐색․표현․감상의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9 : 45-82, 2006
13 이숙종,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교육과학사 1996
14 김수천, "존듀이의 교과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9
15 노영희, "제 6차 교육과정과 활동중심 교육프로그램의 통합" 서울교육대학교 63-81, 2006
16 곽병선, "제 5차 교육과정 총론 개정시안의 연구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986
17 이영, "인간발달생태학" 교육과학사 1995
18 최미화, "의미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활동 적용" 507-524, 2007
19 이유영, "음악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4 (34): 41-54, 2003
20 교육인적자원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총론"
21 강미희,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의미하는 통합과 실제 통합교육의 문제" 29 : 39-59, 2004
22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총론"
23 김영옥,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18 (18): 15-43, 2001
24 박해정, "유치원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실행" 한국교원대학교 2008
25 이윤경, "유치원 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교육영역의 운영에 관한 연구" 17 (17): 337-354, 2000
26 오영희,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젝트개발 및 적용연구" 24 : 179-201, 2001
27 김영옥, "유아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12 (12): 27-49, 2001
28 이윤옥, "유아미술교육과 과학교육의 통합적 접근 연구" 5 : 181-216, 2001
29 이기숙,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12 (12): 91-112, 1992
30 이현숙, "유아교육에서의 통합적 교육과정 적용" 3 : 379-403, 1999
31 김숙자, "유아교육에서의 통합 교육과정 접근 :전인 교육에 터한 교육과정 통합 실천 방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65-277, 2006
32 김규수, "유아교육에서 통합의 의미와 원리에 관한 연구" 3 (3): 145-170, 1998
33 이영석, "유아교육론" 형설출판사 1997
34 김영옥, "유아교육과정에 있어서 통합의 의미와 과제. in :유아교육에서의 통합: 그 의미와 실천" 교원대학교 25-51, 2008
35 임재택, "유아교육과정" 양서원 2005
36 우수경, "유아교과교육론" 창지사 2009
37 문미옥, "영유아 교육과정" 창지사 2008
38 김정주, "문학을 통한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0 (50): 229-252, 2007
39 정계숙, "동화를 활용한 통합활동 중심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 연구" 13 : 17-41, 2004
40 "다음 국어사전 http://krdic.daum.net"
41 이영덕,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83
42 김재복,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교육과학사 1998
43 Ingram,J.B,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창지사 1995
44 Fogarty,R, "교사를 위한 통합교육의 방법" 원미사 1998
45 지성애, "감성과 논리적 사고증진을 위한 통합적 유아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23 (23): 171-195, 2003
46 Boyd,J, "Understanding the primary curriculum" Hutchinson 1984
47 Katz,L.G., "The project approach. In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millan 209-221, 1993
48 Wheeler,R.H, "The problem of integration. in Integration: It's meaning and application." D. Appleton Century Co. 1936
49 Kovalik,S., "The model books for educator"
50 Dressel.P.L, "The integr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51 Charbonneau,M.P., "The integrated elementary classroom:A developmental model of education for the 21th century" Allyn and Bacon 1995
52 Krogh,S, "The inte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McGraw-Hill 1995
53 Dewey,J, "The child and curriculum and the school and socie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54 Dewey,J, "Restrucion in philosophy" The Bacon Press 1948
55 Bredekamp,S., "Reaching potentials.Transforming curriculum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NAEYC 2-, 1995
56 Robison,H.F., "New directions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College Press 1965
57 Jacobs,H.H, "Interdisciplinary curriculum:Design and implementation" ASCD 1989
58 Katz,L.G., "Engaging children's minds:the project approach" Ablex Publishing Co. 1989
59 Elkind,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ts own terms,In Early-schooling:The national debate" Yale Univesiy Press 98-115, 198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2 | 1.01 | 1.133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