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의 섬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생활형 및 생육형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Life Form and Growth Form of Plant in the Island Area,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9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0 through March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with the south coast (low latitude), the east coast (middle latitude), the west coast (high latitude), the west/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and south of the west coast (Wido Island) of Korea.
      The results of an analysis, referring to the climate, topography,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by dividing into six habitats into forest, river and wetland, tidal mudflat, dune, rocky, and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s on each island to interpret the ecological adaptability of plants on islands using life form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life forms according to climatic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among the south sea, west sea, and east sea (Ulleungdo Island and Dokdo Island).
      However, as for the life forms by topographic factors and vegetation type, they were doing ecological adaptation at each habitat with different life forms. Moreover, topography, vegetation type, and soil humidity greatly affected the plant life forms distributed in each island area as well.
      As for the dormancy forms of all the islands surveyed, the distribution ratio of hemicryptophytes (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eophyte (G), therophytes (Th), and therophytes (Th(w)). However, the distribution ratios of hydatophytes (HH), therophytic aquatic plant (HH(Th)), and chamaephytes (Ch) was low.
      This is a result in which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island, including soil, wind, and topography are reflected, and the ratio of hydatophytes is low probably because the size of wetland related to water is small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radicoid form of vascular plants, non-clonal growth (monophyte), R5, was the highest on nine islands surveyed, and the ratio of R4 was low. R5 was high on lan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the most advantageous type for plant growth is the monophyte type.
      However, considering R4 radicoid form to be a form with the condition favorable for growth in sand and gravel soil in the middle and upstream of the river, this is because the area scale of the islands surveyed is small, and the river develops poor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disseminule form,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akes up about 50%, so a lot of plants chose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o be evolved, favorable for the inhabitation and survival on the island.
      As for the growth form, the erect form was distributed at the highest percentage; however, it was relatively lower on Dokdo Island. This is affected by the strong wind because of the rocky topographic condition and long distance from l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branched form (b) was 17.54%, about three times higher rate than other islands because of the strong wind and thin soil depth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growth forms on Dokdo Island and Ulleungdo Island on the east coast, Hansando Island and Bogildo Island on the 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on the southwest coast, and Wido Island, Jawoldo Island, and Daecheongdo Island on the west coast, overall, the ratios of growth forms show a tendency similar to those of land; however, as variou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island climate, soil, topography, salinity concentration, and wind/soil depth were reflected, the distribution ratios of erect form and rosette form were lower than on land, and those of branched form, tussock form, and procumbent form were high.
      A survey, subdividing six habitats on each island, showed similar tendencies in rocky and dune habitats.
      Tidal mudflat habitats were almost the same as tidal mudflat habitats on land and island habitats. This is because in the tidal mudflat habitat environment, salinity acted primarily on plant growth.
      Plant growth forms are related to the habitat environments to some extent because the behaviors or habits of stems and branches have abundant plasticity as a criterion for growth form and mutate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of location. This is because it more sensitively reflected micro-environmental differences than Raunkiaer’s dormancy form (Nakanishi et al., 1983).
      As for the dormancy form according to the latitude, in five habitats, except for the tidal mudflat on islands in the south coast belonging to low latitude (Bogildo Island, etc.), chamaephytes (Ch) showed low distribution ratios. In Daecheongdo Island at the highest latitude, it was distributed only on dune, rocky,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Ulleungdo Island at the middle latitude on the east coast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Daecheongdo Island as well.
      Epiphyten (E) was distributed in rocky or forest area at all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Geophyte (G)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it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 ratio of six habitats in Daecheongdo Island. The habitat with limited distribution of geophyte is tidal mudflat, and it seems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soil properties.
      Hemicryptophytes (H) showed very similar distribution ratios in all island areas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The distribution area of hemicryptophytes was very wide, and the adaptability was very high in different environments.
      Hydatophytes (HH) were not distributed in forest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s on middle latitude islands, and in habitats in dune and rocky areas on high latitude islands. This was not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latitude of the island but related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surveyed and the size of the island.
      Phanerophyte (M)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It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habitats, while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 in dune and rocky habitats. This phenomenon showed a similar tendency also in megaphanerophytes (MM). However, nanophanerophytes (N)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dune and rocky habitats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er, or it was not distributed on Ulleungdo Island. This phenomenon might result from the slight formation of dune habitats due to the topographic phenomena on Ulleungdo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inter annual) (Th) were high in tidal mudflat, arable land and village, and dune area in all island areas, and this wa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habitat, and disturbance, to arable land and village. In forest area habitat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as low.
      Like this, in relation to climates in the southernmost region on the latitude in Korea like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Ulleungdo Island, etc. (middle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as for the distribution ratio by dormant bud habitat, the environmental factor of latitude act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distribution of chamaephytes, and geophyte was evenly distributed in all areas regardless of the latitude.
      As for radicoid form by latitude, R1,2, R3, R4, and R5 appeared on all islands. R1,2 showe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a low ratio in forest,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This phenomenon is because R1,2 has both R1 and R2, which acts favorably for growth in these habitats.
      The form disseminated widely by wind or water (D1), a disseminule form by latitude, was high in forest,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high in rocky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rea. On high latitude islands, the ratio was high in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D2)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and a low distribution ratio in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and low latitude islands. This is because animal habitats are distributed more in forest area than in dune area, since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is greatly affected by animal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disseminated by mechanical propulsion of dehiscence of fruits (D3) was high in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D4) was the highest in habitats on all islands.
      Of the growth forms by latitude, the distribution ratio of branched form (b) was the highest in tidal mudflat area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erect form (e) was distributed high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by habitat, the ratio of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artial rosette form (pr) was the same in tidal mudflat area; rosette erect form (ps), in river and wetland area; rosette form (r), in tidal mudflat area; and tussock form (t), in dune area, and that of the forms except for rosette form (r) was the same on Ulleungdo Islands (middle latitude). Rosette form (r) on the middle latitude was distributed the highest in rocky area.
      In conclusion, the extent of disturbance, the size of the island,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 acted greatly on the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in the island regions of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plant geography were not greatly reflected on the south coast, the west coast, and the east coast.
      번역하기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0 through March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with the south coast (low latitude), the east coast (middle latitude), the west coast (high latitude), the west/south coast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20 through March 2022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with the south coast (low latitude), the east coast (middle latitude), the west coast (high latitude), the west/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and south of the west coast (Wido Island) of Korea.
      The results of an analysis, referring to the climate, topography,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by dividing into six habitats into forest, river and wetland, tidal mudflat, dune, rocky, and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considering various environments on each island to interpret the ecological adaptability of plants on islands using life forms, are as follows.
      An analysis of the life forms according to climatic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among the south sea, west sea, and east sea (Ulleungdo Island and Dokdo Island).
      However, as for the life forms by topographic factors and vegetation type, they were doing ecological adaptation at each habitat with different life forms. Moreover, topography, vegetation type, and soil humidity greatly affected the plant life forms distributed in each island area as well.
      As for the dormancy forms of all the islands surveyed, the distribution ratio of hemicryptophytes (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eophyte (G), therophytes (Th), and therophytes (Th(w)). However, the distribution ratios of hydatophytes (HH), therophytic aquatic plant (HH(Th)), and chamaephytes (Ch) was low.
      This is a result in which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island, including soil, wind, and topography are reflected, and the ratio of hydatophytes is low probably because the size of wetland related to water is small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radicoid form of vascular plants, non-clonal growth (monophyte), R5, was the highest on nine islands surveyed, and the ratio of R4 was low. R5 was high on lan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the most advantageous type for plant growth is the monophyte type.
      However, considering R4 radicoid form to be a form with the condition favorable for growth in sand and gravel soil in the middle and upstream of the river, this is because the area scale of the islands surveyed is small, and the river develops poorly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s for the disseminule form,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akes up about 50%, so a lot of plants chose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to be evolved, favorable for the inhabitation and survival on the island.
      As for the growth form, the erect form was distributed at the highest percentage; however, it was relatively lower on Dokdo Island. This is affected by the strong wind because of the rocky topographic condition and long distance from land. Especially, the distribution of branched form (b) was 17.54%, about three times higher rate than other islands because of the strong wind and thin soil depth by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s for the growth forms on Dokdo Island and Ulleungdo Island on the east coast, Hansando Island and Bogildo Island on the south coast, islands in Sinan-gun on the southwest coast, and Wido Island, Jawoldo Island, and Daecheongdo Island on the west coast, overall, the ratios of growth forms show a tendency similar to those of land; however, as various physical conditions, such as island climate, soil, topography, salinity concentration, and wind/soil depth were reflected, the distribution ratios of erect form and rosette form were lower than on land, and those of branched form, tussock form, and procumbent form were high.
      A survey, subdividing six habitats on each island, showed similar tendencies in rocky and dune habitats.
      Tidal mudflat habitats were almost the same as tidal mudflat habitats on land and island habitats. This is because in the tidal mudflat habitat environment, salinity acted primarily on plant growth.
      Plant growth forms are related to the habitat environments to some extent because the behaviors or habits of stems and branches have abundant plasticity as a criterion for growth form and mutate in response to the environment of location. This is because it more sensitively reflected micro-environmental differences than Raunkiaer’s dormancy form (Nakanishi et al., 1983).
      As for the dormancy form according to the latitude, in five habitats, except for the tidal mudflat on islands in the south coast belonging to low latitude (Bogildo Island, etc.), chamaephytes (Ch) showed low distribution ratios. In Daecheongdo Island at the highest latitude, it was distributed only on dune, rocky,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Ulleungdo Island at the middle latitude on the east coast showed a tendency similar to Daecheongdo Island as well.
      Epiphyten (E) was distributed in rocky or forest area at all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Geophyte (G)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it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 ratio of six habitats in Daecheongdo Island. The habitat with limited distribution of geophyte is tidal mudflat, and it seems that this is associated with soil properties.
      Hemicryptophytes (H) showed very similar distribution ratios in all island areas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The distribution area of hemicryptophytes was very wide, and the adaptability was very high in different environments.
      Hydatophytes (HH) were not distributed in forest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s on middle latitude islands, and in habitats in dune and rocky areas on high latitude islands. This was not related to the difference in the latitude of the island but related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surveyed and the size of the island.
      Phanerophyte (M)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It was not distributed in tidal mudflat habitats, while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 in dune and rocky habitats. This phenomenon showed a similar tendency also in megaphanerophytes (MM). However, nanophanerophytes (N)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dune and rocky habitats on islands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lower, or it was not distributed on Ulleungdo Island. This phenomenon might result from the slight formation of dune habitats due to the topographic phenomena on Ulleungdo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inter annual) (Th) were high in tidal mudflat, arable land and village, and dune area in all island areas, and this wa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habitat, and disturbance, to arable land and village. In forest area habitat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rophytes was low.
      Like this, in relation to climates in the southernmost region on the latitude in Korea like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Ulleungdo Island, etc. (middle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as for the distribution ratio by dormant bud habitat, the environmental factor of latitude act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distribution of chamaephytes, and geophyte was evenly distributed in all areas regardless of the latitude.
      As for radicoid form by latitude, R1,2, R3, R4, and R5 appeared on all islands. R1,2 showe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at low latitude, middle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a low ratio in forest,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This phenomenon is because R1,2 has both R1 and R2, which acts favorably for growth in these habitats.
      The form disseminated widely by wind or water (D1), a disseminule form by latitude, was high in forest,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on low latitude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island, the distribution ratio was high in rocky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rea. On high latitude islands, the ratio was high in rocky, river and wetland area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D2) had a high distribution ratio in forest habitats on all islands and a low distribution ratio in dune area on middle latitude and low latitude islands. This is because animal habitats are distributed more in forest area than in dune area, since the form disseminated attaching with or eaten by animals and man is greatly affected by animal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disseminated by mechanical propulsion of dehiscence of fruits (D3) was high in arable land and village area at low latitude and high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form having no special modification for dissemination (D4) was the highest in habitats on all islands.
      Of the growth forms by latitude, the distribution ratio of branched form (b) was the highest in tidal mudflat area at low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nd low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The erect form (e) was distributed high in forest area on all islands and low in tidal mudflat and dune area.
      On Bogildo Island, etc. (low latitude) and Daecheongdo Island, etc. (high latitude), by habitat, the ratio of the highest distribution of partial rosette form (pr) was the same in tidal mudflat area; rosette erect form (ps), in river and wetland area; rosette form (r), in tidal mudflat area; and tussock form (t), in dune area, and that of the forms except for rosette form (r) was the same on Ulleungdo Islands (middle latitude). Rosette form (r) on the middle latitude was distributed the highest in rocky area.
      In conclusion, the extent of disturbance, the size of the island,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 acted greatly on the plant life forms and growth forms in the island regions of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plant geography were not greatly reflected on the south coast, the west coast, and the east co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남해안(한국의 저위도), 동해안(중위도), 서해안(고위도), 서·남해안(신안군 도서) 그리고 서해안 남부(위도) 등을 대상으로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생활형을 이용한 도서식물의 생태적 적응력에 대한 해석을 위해 각 섬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산림, 하천 및 습지, 갯벌,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의 6개 서식지로 구분하여 기후, 지형, 식생, 토양환경 등을 참고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후적 요인에 따른 생활형 분석은 남해도서, 서해도서, 동해(울릉도·독도)도서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형적 요인과 식생유형에 의한 생활형은 서로 다른 생활형 유형을 가지고 각각의 서식지에서 생태적 적응을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섬 지역에서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도 지형, 식생유형, 토양습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 전체 섬의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초(Th(w))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수생식물(HH), 1년생 수생식물(HH(Th)), 지표식물(Ch)의 분포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섬의 물리적 환경인 토양, 바람, 지형 등이 반영된 결과이며, 수생식물의 비율이 낮은 것은 섬의 특성상 물과 관련된 습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관속식물의 지하기관형은 조사대상 9개 도서에서 단립식물인 R5가 가장 높았으며, R4의 비율이 낮았으며, 육지에서도 R5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식물의 생육에 가장 유리한 유형이 단립유형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R4형의 지하기관형은 하천의 중·상류 모래·자갈 토양에서 생육하기가 유리한 조건을 가진 유형인 점을 고려할 때 조사대상 도서의 면적 규모가 작고 섬의 특성상 하천발달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이 5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서 많은 식물들이 섬에서 서식과 생존에 유리한 중력산포형을 선택·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생육형은 직립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으나, 독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이유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형적 조건 및 육지와의 거리가 멀어서 강한 바람이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특히, 분지형(b)이 17.54%로 다른 섬에 비해 약 3배 높은 비율로 분포한 것은 강한 바람과 지형적 특성상 토양 심도가 얇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동해안의 독도, 울릉도, 남해안의 한산도, 보길도 등, 서남해안 신안군 도서, 서해안의 위도, 자월도, 대청도 등의 생육형은 전체적으로 생육형 비율은 육지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섬의 기후·토양·지형·염분농도·바람·토심 등의 다양한 물리적 조건이 반영되어 직립형, 로제트형 등의 분포비율은 육지보다 낮고 분지형, 총생형, 포복형 등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각 섬의 6개 서식지를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암석, 사구 서식지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났다.
      갯벌 서식지는 육지 갯벌 서식지와 섬 서식지가 거의 같았다. 이것은 갯벌의 서식환경이 염도가 식물의 생육에 1차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식물의 생육형이 서식환경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은 줄기와 가지의 행동이나 습성이 생육형의 기준으로서 가소성이 풍부하고, 입지의 환경에 대응하여 변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Raunkiaer의 휴면형에 비해 미시적인 환경의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한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中西哲 등, 1983).
      위도에 따른 휴면형은 저위도에 속하는 남해안 도서(보길도 등)의 지표식물(Ch)은 갯벌을 제외한 5개 서식지가 낮은 분포비율을 보였다. 가장 고위도에 속하는 대청도는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만 분포하였다. 동해안의 중위도인 울릉도 역시 대청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착생식물(E)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 모두 암석 또는 산림지역에서 분포하였다.
      지중식물(G)은 저위도, 중위도 섬의 갯벌에서는 분포하지 않았으며, 대청도에서는 6개 서식지 중 가장 낮은 분포비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지중식물의 분포제한 서식지는 갯벌이며, 토양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지중식물(H)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의 모든 섬 지역에서 매우 유사한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반지중식물의 분포역 및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적응력이 매우 높았다.
      수생식물(HH)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지역, 중위도 섬에서는 갯벌·사구지역, 고위도 섬에서는 사구·암석지역 서식지에서는 분포하지 않았다. 이것은 섬의 위도 상의 차이와는 관계가 없으며, 조사대상지 섬의 지형적 특징, 섬의 규모 등과 관련이 있었다.
      지상식물(M)은 모든 섬에서 산림서식지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갯벌 서식지는 분포하지 않았고, 사구와 암석 서식지는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지상식물(MM)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미소지상식물(N)은 저위도와 고위도의 섬에서는 사구와 암석 서식지에서 분포비율이 높았으며, 울릉도에서는 낮거나 분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울릉도의 지형적 현상으로 인한 사구 서식지의 형성이 미미한 결과로 보인다.
      1년생식물(Th)은 모든 섬 지역에서 갯벌, 경작지 및 마을, 사구지역 등에서 높았는데, 이것은 갯벌 및 사구지역 서식지는 물리적 환경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경작지 및 마을은 교란과 관련이 있었다. 산림지역 서식지는 1년생식물의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와같이 우리나라 위도상 가장 남쪽지역인 보길도 등(저위도), 울릉도 등(중위도) 그리고, 대청도 등(고위도)의 기후 등과 관련되 휴면아의 서식지 별 분포비율은 지표식물의 분포는 위도의 환경요인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중식물은 위도와 관계없이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였다.
      위도에 따른 지하기관형은 모든 섬에서 R1,2, R3, R4, R5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R1,2는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에서 모두 갯벌, 사구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산림,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R1,2는 R1, R2의 유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이들 서식지에서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도에 따른 산포기관형인 풍수산포형(D1)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에서 높았으며, 갯벌, 사구지역에는 낮게 나타났다. 중위도 섬에서는 암석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을 보였으며, 갯벌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위도 섬에서는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 등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동물산포형(D2)은 모든 섬에서 산림 서식지가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중위도와 저위도 섬은 사구지역에서 낮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동물산포형은 동물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동물의 서식지가 사구지역보다 산림지역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동산포형(D3)은 저위도, 고위도에서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고 모든 섬에서 산림지역에서 낮게 분포하였다.
      중력산포형(D4)은 모든 섬의 서식지에서 가장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위도에 따른 생육형 중 분지형(b)은 저위도, 중위도의 갯벌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직립형(e)은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길도 등(저위도), 대청도 등(고위도)에서 일시적로제트형(pr)은 갯벌지역, 로제트직립형(ps)은 하천 및 습지지역, 로제트형(r)은 갯벌지역, 총생형(t)은 사구지역에서 서식지 별 가장 높은 분포의 비율이 같았으며, 울릉도 등(중위도)에서는 로제트형(r)을 제외한 유형이 같았다. 중위도의 로제트형(r)은 암석지역에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도서지역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은 교란의 정도, 섬의 규모, 지형적 특성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남해안, 서해안, 동해안의 식물지리구계의 특성은 크게 반영하지 않았다.
      번역하기

      한국의 남해안(한국의 저위도), 동해안(중위도), 서해안(고위도), 서·남해안(신안군 도서) 그리고 서해안 남부(위도) 등을 대상으로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20�...

      한국의 남해안(한국의 저위도), 동해안(중위도), 서해안(고위도), 서·남해안(신안군 도서) 그리고 서해안 남부(위도) 등을 대상으로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20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생활형을 이용한 도서식물의 생태적 적응력에 대한 해석을 위해 각 섬의 다양한 환경을 고려하여 산림, 하천 및 습지, 갯벌,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의 6개 서식지로 구분하여 기후, 지형, 식생, 토양환경 등을 참고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후적 요인에 따른 생활형 분석은 남해도서, 서해도서, 동해(울릉도·독도)도서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형적 요인과 식생유형에 의한 생활형은 서로 다른 생활형 유형을 가지고 각각의 서식지에서 생태적 적응을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섬 지역에서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도 지형, 식생유형, 토양습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 전체 섬의 휴면형은 반지중식물(H)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초(Th(w))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수생식물(HH), 1년생 수생식물(HH(Th)), 지표식물(Ch)의 분포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섬의 물리적 환경인 토양, 바람, 지형 등이 반영된 결과이며, 수생식물의 비율이 낮은 것은 섬의 특성상 물과 관련된 습지의 규모가 작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관속식물의 지하기관형은 조사대상 9개 도서에서 단립식물인 R5가 가장 높았으며, R4의 비율이 낮았으며, 육지에서도 R5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식물의 생육에 가장 유리한 유형이 단립유형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R4형의 지하기관형은 하천의 중·상류 모래·자갈 토양에서 생육하기가 유리한 조건을 가진 유형인 점을 고려할 때 조사대상 도서의 면적 규모가 작고 섬의 특성상 하천발달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이 50% 내·외를 차지하고 있어서 많은 식물들이 섬에서 서식과 생존에 유리한 중력산포형을 선택·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생육형은 직립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으나, 독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이유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형적 조건 및 육지와의 거리가 멀어서 강한 바람이 영향을 미친 결과이다. 특히, 분지형(b)이 17.54%로 다른 섬에 비해 약 3배 높은 비율로 분포한 것은 강한 바람과 지형적 특성상 토양 심도가 얇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동해안의 독도, 울릉도, 남해안의 한산도, 보길도 등, 서남해안 신안군 도서, 서해안의 위도, 자월도, 대청도 등의 생육형은 전체적으로 생육형 비율은 육지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섬의 기후·토양·지형·염분농도·바람·토심 등의 다양한 물리적 조건이 반영되어 직립형, 로제트형 등의 분포비율은 육지보다 낮고 분지형, 총생형, 포복형 등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각 섬의 6개 서식지를 세분하여 조사한 결과 암석, 사구 서식지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났다.
      갯벌 서식지는 육지 갯벌 서식지와 섬 서식지가 거의 같았다. 이것은 갯벌의 서식환경이 염도가 식물의 생육에 1차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식물의 생육형이 서식환경과 일정한 관계가 있는 것은 줄기와 가지의 행동이나 습성이 생육형의 기준으로서 가소성이 풍부하고, 입지의 환경에 대응하여 변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Raunkiaer의 휴면형에 비해 미시적인 환경의 차이를 민감하게 반영한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中西哲 등, 1983).
      위도에 따른 휴면형은 저위도에 속하는 남해안 도서(보길도 등)의 지표식물(Ch)은 갯벌을 제외한 5개 서식지가 낮은 분포비율을 보였다. 가장 고위도에 속하는 대청도는 사구, 암석,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만 분포하였다. 동해안의 중위도인 울릉도 역시 대청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착생식물(E)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 모두 암석 또는 산림지역에서 분포하였다.
      지중식물(G)은 저위도, 중위도 섬의 갯벌에서는 분포하지 않았으며, 대청도에서는 6개 서식지 중 가장 낮은 분포비율을 나타냈다. 이것은 지중식물의 분포제한 서식지는 갯벌이며, 토양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지중식물(H)은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의 모든 섬 지역에서 매우 유사한 분포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반지중식물의 분포역 및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적응력이 매우 높았다.
      수생식물(HH)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지역, 중위도 섬에서는 갯벌·사구지역, 고위도 섬에서는 사구·암석지역 서식지에서는 분포하지 않았다. 이것은 섬의 위도 상의 차이와는 관계가 없으며, 조사대상지 섬의 지형적 특징, 섬의 규모 등과 관련이 있었다.
      지상식물(M)은 모든 섬에서 산림서식지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갯벌 서식지는 분포하지 않았고, 사구와 암석 서식지는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지상식물(MM)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미소지상식물(N)은 저위도와 고위도의 섬에서는 사구와 암석 서식지에서 분포비율이 높았으며, 울릉도에서는 낮거나 분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울릉도의 지형적 현상으로 인한 사구 서식지의 형성이 미미한 결과로 보인다.
      1년생식물(Th)은 모든 섬 지역에서 갯벌, 경작지 및 마을, 사구지역 등에서 높았는데, 이것은 갯벌 및 사구지역 서식지는 물리적 환경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경작지 및 마을은 교란과 관련이 있었다. 산림지역 서식지는 1년생식물의 분포비율이 낮았다.
      이와같이 우리나라 위도상 가장 남쪽지역인 보길도 등(저위도), 울릉도 등(중위도) 그리고, 대청도 등(고위도)의 기후 등과 관련되 휴면아의 서식지 별 분포비율은 지표식물의 분포는 위도의 환경요인이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중식물은 위도와 관계없이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였다.
      위도에 따른 지하기관형은 모든 섬에서 R1,2, R3, R4, R5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R1,2는 저위도, 중위도, 고위도에서 모두 갯벌, 사구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산림,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R1,2는 R1, R2의 유형을 모두 가지고 있어 이들 서식지에서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위도에 따른 산포기관형인 풍수산포형(D1)은 저위도 섬에서는 산림,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에서 높았으며, 갯벌, 사구지역에는 낮게 나타났다. 중위도 섬에서는 암석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을 보였으며, 갯벌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위도 섬에서는 암석, 하천 및 습지지역 등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동물산포형(D2)은 모든 섬에서 산림 서식지가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으며, 중위도와 저위도 섬은 사구지역에서 낮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동물산포형은 동물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동물의 서식지가 사구지역보다 산림지역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자동산포형(D3)은 저위도, 고위도에서 경작지 및 마을지역에서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고 모든 섬에서 산림지역에서 낮게 분포하였다.
      중력산포형(D4)은 모든 섬의 서식지에서 가장 높은 분포비율로 나타났다.
      위도에 따른 생육형 중 분지형(b)은 저위도, 중위도의 갯벌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직립형(e)은 모든 섬의 산림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갯벌, 사구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보길도 등(저위도), 대청도 등(고위도)에서 일시적로제트형(pr)은 갯벌지역, 로제트직립형(ps)은 하천 및 습지지역, 로제트형(r)은 갯벌지역, 총생형(t)은 사구지역에서 서식지 별 가장 높은 분포의 비율이 같았으며, 울릉도 등(중위도)에서는 로제트형(r)을 제외한 유형이 같았다. 중위도의 로제트형(r)은 암석지역에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도서지역 식물의 생활형과 생육형은 교란의 정도, 섬의 규모, 지형적 특성이 크게 작용하였으며, 남해안, 서해안, 동해안의 식물지리구계의 특성은 크게 반영하지 않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2장 조사대상지 개황 5
      • 1. 대상지 위치 5
      • 2. 자연환경 9
      • 제3장 연구방법 17
      • 제1장 서 론 1
      • 제2장 조사대상지 개황 5
      • 1. 대상지 위치 5
      • 2. 자연환경 9
      • 제3장 연구방법 17
      • 1. 식물상 17
      • 2. 서식지 구분 17
      • 3. 생활형 및 생육형 17
      • 제4장 결과 19
      • 1. 조사대상지의 서식지 별 생활형 및 생육형 19
      • 2. 전체 대상지 및 전체 서식지 유형별 생활형 및 생육형 155
      • 제5장 고찰 177
      • 제6장 적요 183
      • 참고문헌 185
      • 부 록 1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