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11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세종의 지시로 처음 간행된 『삼강행실도』(한문본)의 출처를 자세히 분석하여, 뒤이어 매우 많은 종류⋅수량으로 간행된 이른바 ‘행실도류’의 책들과 내용⋅형식 면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실도류는 『삼강행실도』(한문본), 『삼강행실도』(언해본),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열녀전(언해)』등이 있다. 『삼강행실도』한문본이 처음 나왔을 때는 3권 3책 330인의 행적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는데,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그 가운데 각권마다 35인을 뽑아 모두 105인의 행적을 묶어 한문으로 기록하고, 그 판 위쪽에 언해문을 새겨서 간행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전체를 다 살펴보지 못하고 「열녀도」만을 살펴본 것인데, 『삼강행실열녀도』의 110인은 대다수 중국사람이어서, 그 출처를 맨 처음엔 중국유향이 썼다는 열녀전(列女傳) 등에서 찾았으나, 실제로는 중국의 많은 역사서들을 망라하여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륜행실도』는 『삼강행실도』 언해본과 『이륜행실도』를 새롭게 언해하고 편집하여 판각함으로써 가장 발전된 양식을 보여주었다. 원문의 방대한 출처를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세종의 『삼강행실도』 편찬 의도를 찾고, 중국의 행실도류(『열녀전』)와의 연관성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세종의 지시로 처음 간행된 『삼강행실도』(한문본)의 출처를 자세히 분석하여, 뒤이어 매우 많은 종류⋅수량으로 간행된 이른바 ‘행실도류’의 책들과 내용⋅형식 면을 비교함...

      이 글은 세종의 지시로 처음 간행된 『삼강행실도』(한문본)의 출처를 자세히 분석하여, 뒤이어 매우 많은 종류⋅수량으로 간행된 이른바 ‘행실도류’의 책들과 내용⋅형식 면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실도류는 『삼강행실도』(한문본), 『삼강행실도』(언해본),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열녀전(언해)』등이 있다. 『삼강행실도』한문본이 처음 나왔을 때는 3권 3책 330인의 행적을 한문으로 기록하였는데,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그 가운데 각권마다 35인을 뽑아 모두 105인의 행적을 묶어 한문으로 기록하고, 그 판 위쪽에 언해문을 새겨서 간행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삼강행실도』 전체를 다 살펴보지 못하고 「열녀도」만을 살펴본 것인데, 『삼강행실열녀도』의 110인은 대다수 중국사람이어서, 그 출처를 맨 처음엔 중국유향이 썼다는 열녀전(列女傳) 등에서 찾았으나, 실제로는 중국의 많은 역사서들을 망라하여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오륜행실도』는 『삼강행실도』 언해본과 『이륜행실도』를 새롭게 언해하고 편집하여 판각함으로써 가장 발전된 양식을 보여주었다. 원문의 방대한 출처를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세종의 『삼강행실도』 편찬 의도를 찾고, 중국의 행실도류(『열녀전』)와의 연관성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in this article focused on finding out the source of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the form and content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a great deal of kind and quantity in Joseon dynasty,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amgang haengsildo, the first illustrated book of admonition, with other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gang haengsil yeolnyeodo and Lienu zhuan of China.
      Samgang haengsildo(Chinese version), Samgang haengsildo (Korean translation version), Sok Samgang haengsildo,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ryun haengsildo, Oryun haengsildo, Yeolnyeo jeon(Korean transla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en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composing 3 gwons 3 chaeks it recorded the deeds of 330 persons. The compilers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selected 35 persons from each gwon of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t recorded in Chinese the deeds of 105 persons in total and engraved Korean translation on the upper part of woodblock. Most of 330 persons were Chinese. At first, I tried to find its source from Lienu zhuan, Gu Lienu zhuan, Gujin Lienu zhuan which were compiled by Liu Xiang of China. However, I came to know the fact that the compilers of Samgang haengsildo referred widely to many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Han shu, Jin shu, Wei shu, Sui shu, Jiu Tangshu, Xin Tang shu, Song shi, Jin shi, Yuan shi. While Sok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followed Samgang haengsildo in form and content,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showed many changes in that it recorded only the deeds of about 1,590 Koreans as its title shows. Unlike precedent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s a pure creative work without any reference book. It is significant that Korean translation for the first time came to take up its position in the body of the book. Oryun haengsildo published afterwards showed the most developed form in that it newly translated the Korea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renewed its compilation and newly engraved. I in this article studied only Illustrations of Virtuous Women not the whole of Samgang haengsildo, came to find out Sejongs intent of the compilation of Samgang haengsildo by making a correct investigation on the extensive sources of the book and could trance its association with Chinas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번역하기

      I in this article focused on finding out the source of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the form and content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a great deal of kind and quantity in Joseon dynasty,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 o...

      I in this article focused on finding out the source of Samgang haengsildo by comparing the form and content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ich were published in a great deal of kind and quantity in Joseon dynasty,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amgang haengsildo, the first illustrated book of admonition, with other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mgang haengsil yeolnyeodo and Lienu zhuan of China.
      Samgang haengsildo(Chinese version), Samgang haengsildo (Korean translation version), Sok Samgang haengsildo,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ryun haengsildo, Oryun haengsildo, Yeolnyeo jeon(Korean translation) belong to the category of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When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composing 3 gwons 3 chaeks it recorded the deeds of 330 persons. The compilers of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selected 35 persons from each gwon of Chinese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t recorded in Chinese the deeds of 105 persons in total and engraved Korean translation on the upper part of woodblock. Most of 330 persons were Chinese. At first, I tried to find its source from Lienu zhuan, Gu Lienu zhuan, Gujin Lienu zhuan which were compiled by Liu Xiang of China. However, I came to know the fact that the compilers of Samgang haengsildo referred widely to many Chinese history books such as Han shu, Jin shu, Wei shu, Sui shu, Jiu Tangshu, Xin Tang shu, Song shi, Jin shi, Yuan shi. While Sok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followed Samgang haengsildo in form and content,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showed many changes in that it recorded only the deeds of about 1,590 Koreans as its title shows. Unlike precedent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is a pure creative work without any reference book. It is significant that Korean translation for the first time came to take up its position in the body of the book. Oryun haengsildo published afterwards showed the most developed form in that it newly translated the Korean version of Samgang haengsildo and Iryun haengsildo, renewed its compilation and newly engraved. I in this article studied only Illustrations of Virtuous Women not the whole of Samgang haengsildo, came to find out Sejongs intent of the compilation of Samgang haengsildo by making a correct investigation on the extensive sources of the book and could trance its association with Chinas illustrated books of admon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벼리〉
      • 0. 문제 제기와 연구 대상
      • 1. 『삼강행실도』와 후속 행실도류
      • 2. 중국 『열녀전』과의 관계
      • 3.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분석
      • 〈벼리〉
      • 0. 문제 제기와 연구 대상
      • 1. 『삼강행실도』와 후속 행실도류
      • 2. 중국 『열녀전』과의 관계
      • 3. 『삼강행실열녀도』의 출처 분석
      • 4. 『삼강행실열녀도』의 종합적 이해
      • 5.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중국,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2 이제현(李齊賢), "효순사실(孝順事實)』"

      3 박종국, "한글문헌 해제"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역사자료총서 Ⅳ, "한글금속활자" 국립중앙박물관 2006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강영숙, "조선조 사회상과 열녀전의 창작의식" 택민국학연구원 9 : 2012

      7 조신(曺伸), "이륜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518

      8 辛秀暻, "열녀전과 열녀도의 이미지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21) : 171-200, 2005

      9 유향(劉向), "열녀전(列女傳)"

      10 정호완,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 중국,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

      2 이제현(李齊賢), "효순사실(孝順事實)』"

      3 박종국, "한글문헌 해제"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역사자료총서 Ⅳ, "한글금속활자" 국립중앙박물관 2006

      5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6 강영숙, "조선조 사회상과 열녀전의 창작의식" 택민국학연구원 9 : 2012

      7 조신(曺伸), "이륜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518

      8 辛秀暻, "열녀전과 열녀도의 이미지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21) : 171-200, 2005

      9 유향(劉向), "열녀전(列女傳)"

      10 정호완, "역주 동국신속삼강행실도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11 고은숙, "여러 여성들의 이야기, 열녀전" 국립한글박물관 2015

      12 영조(英祖), "어제계주윤음언해" 서울대학교 1757

      13 교정청, "시경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613

      14 이경하, "소혜왕후 『內訓』의 『小學』수용 양상과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70) : 229-253, 2010

      15 김원용, "삼강행실도" 1982

      16 설순(偰循),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434

      17 김전(金詮), "번역소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518

      18 이숙인,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여이연 2005

      19 이성(李惺),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영인본 1617

      20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21 채기(綵綺)., "고열녀전(古列女傳)"

      22 해진(解縉), "고금열녀전(古今列女傳)"

      23 황청천(黃淸泉), "新譯 列女傳" 三民書局 2003

      24 지부족재장판(知不足齋藏版), "『열녀전(列女傳)』. 미국 하버드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소장본"

      25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2011년도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제3차 회의 안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1.33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