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지각이 자기효능감과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에 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2395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5. 2
2015
한국어
155.2 판사항(21)
인천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ial characteristic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vii, 76 p. ; 26cm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영신 교수님
참고문헌 : p.56-6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지각이 자기효능감과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에 미...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지각이 자기효능감과 심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363명(남: 176명, 여: 187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4)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 α=.56∼.95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기대에 대한 일치가 가장 높은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외에도 통제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갈등은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모의 기대에 일치하는 정도가 높고, 부모가 통제할수록,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고, 부모와 갈등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둘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서는 갈등이,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서는 정서적 지원이 높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부모와 갈등이 많은 중학생일수록 스트레스 증상이 높고,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는 중학생일수록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에 대한 존경과 정서적 지원이 높은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적대는 중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이 있었다. 부모자녀관계가 중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에 대한 존경이 가장 높은 정적인 영향력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통제와 정서적 지원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갈등은 행복에 대해 부적 영향력이 있었다. 그러므로 부모를 존경하고 부모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많이 받는 중학생일수록 생활에서 만족하고 더욱 행복하였다. 부모와 적대적인 중학생은 생활만족도가 낮았으며, 부모와 갈등이 있는 중학생은 행복 수준이 낮았다.
주요어: 부모자녀관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행복,정서적 지원, 부모기대일치, 부모존경, 통제, 갈등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