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근혜 정부의 전작권 전환 협상 연구 :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egotiation o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ition : Focused on Habeeb's Asymmetric Negoti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1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enable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of Korea to obtain a better-than-expected negotiation result in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negotiation with the powerful US governmen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overturned the agreement betwee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to postpone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by 2015, and even under unfavorable circumstances that required a re-postponement, managed to draw out a new type of wartime OPCON transition based on conditions. This was a successful negotia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prepare for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longer than the several-year delay initially expected by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n a way that could be postponed indefinitely until conditions were m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egotiation method by applying Habib's asymmetric negotiation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outcome of negotiations was determined by 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commitment, alternatives, control) rather than aggregate structural power(national power). Although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as inferior in terms of aggregate structural power compared to the powerful US Obama administration, it was able to obtain more-than-expected negotiation results reversing the inferior negotiating power by strengthening the 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The key factors that enabled the Korean government to reverse its negotiating power, which was initially weak, are as follows. First, it changed the power of negotiation with an effective negotiation tactic. With the creative negotiation agenda of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it strengthened its power of negotiation by creating a new alternative that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The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ich was well prepared in advance, was able to get the initiative in the negotiations through a bottom-up negotiation method that proceeded step by step starting from working-level, high-level, ministerial-level, and finally ROK and US leaders. Through various means of negotiations, such as promises, compensation, and concessions, the control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improve to a level equal to that of the US government, making the overall negotiation power superior. For examp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given the promise to be able to secure wartime OPCON transition core military capabilities at an early stage, including capabilities to respond to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attacks. Compensation was also made to determine the purchase of advanced weapons from the United States in connection with the ROK military's combat power reinforcement plan. In addition, the timing of the relocation of the CFC headquarters and ancillary facilities in Yongsan was postponed, and the 210th Artillery Brigade of the US 2nd Infantry Division was conceded to remain in Dongducheon.
      Second, it made good use of the negotiation environment to have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used the negotiating environment well in conjunction with negotiation tactics to strengthen its own control and weaken the control of the US government. The negotiating environment that influenced the negotiations included the rise of China, the promotion of the ‘Asia Rebalancing Policy’ by the United States,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and military provocations, the launch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the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ROK-US alliance.
      On the other hand, as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ROK and US governments progressed, the intentions of U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US government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an emphasis on stabilizing the Korean Peninsula and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Second, the US government expected to be able to demand and control the expansion of capabilities and roles of the ROK military to meet the OPCON transition conditions. Third, they expected that more opportunities to sell US-made advanced weapons would be created in order to secure the ability of the Korean military to meet the conditions. Fourth, they required a strengthened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in response to the rise of China. Fifth, the United States did not prefer to place US and UN forces under the operational control of the ROK commander.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obtained as a result of negotiations b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can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negotiation that achieved results that exceeded initial expectations. However, it nevertheless has limitations that leave room for further negotiations due to the ambiguity of the three transition conditions agreed upon by the ROK and the US. In 2017, the Moon Jae-in government took office and continued follow-up negotiations on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roadmap that satisfies the transition condition, but it is significant that no agreement was reached in the end. As much as the ROK and the U.S. reached an agreement from a ‘Time-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to a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efforts to develop specific standards for transition conditions and a system that can certify them a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 case analysis of this thesis will be a useful framework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an effective negotiation strategy and analyze the negotiation results in asymmetric negotiations with the US, including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which has a lot of room for additional negoti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enable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of Korea to obtain a better-than-expected negotiation result in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negotiation with the powerful US government. The Park Geun-hy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rive the factors that enabled the Park Geun-hye government of Korea to obtain a better-than-expected negotiation result in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negotiation with the powerful US governmen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overturned the agreement betwee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e Obama administration of the United States to postpone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by 2015, and even under unfavorable circumstances that required a re-postponement, managed to draw out a new type of wartime OPCON transition based on conditions. This was a successful negotia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prepare for the wartime OPCON transition longer than the several-year delay initially expected by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n a way that could be postponed indefinitely until conditions were m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negotiation method by applying Habib's asymmetric negotiation theory, it was found that the outcome of negotiations was determined by 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commitment, alternatives, control) rather than aggregate structural power(national power). Although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as inferior in terms of aggregate structural power compared to the powerful US Obama administration, it was able to obtain more-than-expected negotiation results reversing the inferior negotiating power by strengthening the issue-specific structural power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The key factors that enabled the Korean government to reverse its negotiating power, which was initially weak, are as follows. First, it changed the power of negotiation with an effective negotiation tactic. With the creative negotiation agenda of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it strengthened its power of negotiation by creating a new alternative that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have. The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hich was well prepared in advance, was able to get the initiative in the negotiations through a bottom-up negotiation method that proceeded step by step starting from working-level, high-level, ministerial-level, and finally ROK and US leaders. Through various means of negotiations, such as promises, compensation, and concessions, the control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able to improve to a level equal to that of the US government, making the overall negotiation power superior. For examp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given the promise to be able to secure wartime OPCON transition core military capabilities at an early stage, including capabilities to respond to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attacks. Compensation was also made to determine the purchase of advanced weapons from the United States in connection with the ROK military's combat power reinforcement plan. In addition, the timing of the relocation of the CFC headquarters and ancillary facilities in Yongsan was postponed, and the 210th Artillery Brigade of the US 2nd Infantry Division was conceded to remain in Dongducheon.
      Second, it made good use of the negotiation environment to have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Korean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used the negotiating environment well in conjunction with negotiation tactics to strengthen its own control and weaken the control of the US government. The negotiating environment that influenced the negotiations included the rise of China, the promotion of the ‘Asia Rebalancing Policy’ by the United States,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and military provocations, the launch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nd the commemoration of the 60th anniversary of the ROK-US alliance.
      On the other hand, as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ROK and US governments progressed, the intentions of U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US government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an emphasis on stabilizing the Korean Peninsula and strengthening the ROK-US alliance. Second, the US government expected to be able to demand and control the expansion of capabilities and roles of the ROK military to meet the OPCON transition conditions. Third, they expected that more opportunities to sell US-made advanced weapons would be created in order to secure the ability of the Korean military to meet the conditions. Fourth, they required a strengthened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in response to the rise of China. Fifth, the United States did not prefer to place US and UN forces under the operational control of the ROK commander.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obtained as a result of negotiations b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can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negotiation that achieved results that exceeded initial expectations. However, it nevertheless has limitations that leave room for further negotiations due to the ambiguity of the three transition conditions agreed upon by the ROK and the US. In 2017, the Moon Jae-in government took office and continued follow-up negotiations on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in order to establish a roadmap that satisfies the transition condition, but it is significant that no agreement was reached in the end. As much as the ROK and the U.S. reached an agreement from a ‘Time-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to a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efforts to develop specific standards for transition conditions and a system that can certify them are important.
      In the future, the case analysis of this thesis will be a useful framework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an effective negotiation strategy and analyze the negotiation results in asymmetric negotiations with the US, including the ‘Conditions-based Wartime OPCON Transition’, which has a lot of room for additional negoti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의 박근혜 정부가 강대국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전작권 전환 협상에서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박근혜 정부는 이명박 정부와 미국의 오바마 정부가 합의했던 ‘전작권 전환 2015년 연기’ 결정을 번복하고, 재연기 협상을 해야 하는 불리한 여건에서 새로운 방식의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합의하였다. 이것은 조건을 달성할 때까지 무기한 연기도 가능한 방식으로 박근혜 정부가 최초 기대했던 수년 연기보다 더 길게 전작권 전환을 준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성공적인 협상이었다.
      박근혜 정부의 전작권 전환 협상사례를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협상결과는 총체적 힘(국력)보다 의제별 구조적 힘(의지, 대안, 통제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박근혜 정부는 강대국인 미국의 오바마 정부 대비 총체적 힘에서 협상력이 열세하였지만, 협상과정에서 의제별 구조적 힘을 강화하여 협상력을 역전시킴으로써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정부가 초기에 열세했던 협상력을 역전시킬 수 있었던 핵심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협상전술로 협상력을 변화시켰다.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이라는 창의적인 협상의제로 한국 정부에 없었던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협상력을 강화했다. 사전에 잘 준비된 한국 국방부는 실무급, 고위급, 장관급 협상을 단계적으로 추진한 후, 최종적으로 한미정상의 승인을 받는 상향식 협상방식으로 협상의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약속, 보상, 양보 등 다양한 협상수단으로 한국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하여 전체적인 협상력을 우세하게 만들 수 있었다. 한국군의 전작권 전환 핵심군사능력과 북한 핵⸱미사일 대응능력 조기 확보에 대한 약속과 한국군의 전력증강계획과 연계한 미국의 첨단무기 구매 보상 등이 협상수단으로 활용되었고, 용산 연합사 본부와 부속시설 이전 시기 조정 및 미2사단 210포병여단의 동두천 잔류 등 한미 국방현안에 대한 양보도 있었다.
      둘째, 한국 정부는 협상환경을 협상전술과 연계하여 협상력 강화에 유리한 방향으로 잘 활용하였다.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정책’ 추진으로 한미동맹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은 한국의 협상력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한국 정부의 안보위협 논리는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의 협상 요구를 거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한미 전작권 협상에서 나타난 미국의 의도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미국 정부는 한반도 안정화와 한미동맹 강화에 중점을 두고 협상에 임하였다. 둘째, 미국 정부는 전작권 전환 조건충족을 위해 한국군의 능력 및 역할 확대를 요구하고 통제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셋째, 한국군이 조건을 충족하는 능력 확보를 위해서 미국산 첨단무기 구매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넷째,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를 추구했다. 다섯째, 미국은 미군과 유엔군을 한국군 사령관의 작전통제 하에 두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가 얻어낸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은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로 평가할 수 있지만, 3개의 전환조건이 모호하여 추가 협상의 여지를 남기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여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대해 후속 협상을 계속하였지만, 결국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미가 목표시기에 기반한 전작권 전환에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으로 합의를 이룬 만큼, 전환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발전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 향후, 이 논문의 사례분석이 추가 협상의 여지가 많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포함한 한미 주요 현안에 대한 비대칭협상에서 한국 정부의 효과적인 협상전략 수립 및 협상결과 분석에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의 박근혜 정부가 강대국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전작권 전환 협상에서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

      이 논문은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의 박근혜 정부가 강대국 미국 정부를 대상으로 전작권 전환 협상에서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박근혜 정부는 이명박 정부와 미국의 오바마 정부가 합의했던 ‘전작권 전환 2015년 연기’ 결정을 번복하고, 재연기 협상을 해야 하는 불리한 여건에서 새로운 방식의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합의하였다. 이것은 조건을 달성할 때까지 무기한 연기도 가능한 방식으로 박근혜 정부가 최초 기대했던 수년 연기보다 더 길게 전작권 전환을 준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성공적인 협상이었다.
      박근혜 정부의 전작권 전환 협상사례를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협상결과는 총체적 힘(국력)보다 의제별 구조적 힘(의지, 대안, 통제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박근혜 정부는 강대국인 미국의 오바마 정부 대비 총체적 힘에서 협상력이 열세하였지만, 협상과정에서 의제별 구조적 힘을 강화하여 협상력을 역전시킴으로써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 정부가 초기에 열세했던 협상력을 역전시킬 수 있었던 핵심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협상전술로 협상력을 변화시켰다.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이라는 창의적인 협상의제로 한국 정부에 없었던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 협상력을 강화했다. 사전에 잘 준비된 한국 국방부는 실무급, 고위급, 장관급 협상을 단계적으로 추진한 후, 최종적으로 한미정상의 승인을 받는 상향식 협상방식으로 협상의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약속, 보상, 양보 등 다양한 협상수단으로 한국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하여 전체적인 협상력을 우세하게 만들 수 있었다. 한국군의 전작권 전환 핵심군사능력과 북한 핵⸱미사일 대응능력 조기 확보에 대한 약속과 한국군의 전력증강계획과 연계한 미국의 첨단무기 구매 보상 등이 협상수단으로 활용되었고, 용산 연합사 본부와 부속시설 이전 시기 조정 및 미2사단 210포병여단의 동두천 잔류 등 한미 국방현안에 대한 양보도 있었다.
      둘째, 한국 정부는 협상환경을 협상전술과 연계하여 협상력 강화에 유리한 방향으로 잘 활용하였다.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아시아재균형정책’ 추진으로 한미동맹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은 한국의 협상력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한국 정부의 안보위협 논리는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의 협상 요구를 거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한미 전작권 협상에서 나타난 미국의 의도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미국 정부는 한반도 안정화와 한미동맹 강화에 중점을 두고 협상에 임하였다. 둘째, 미국 정부는 전작권 전환 조건충족을 위해 한국군의 능력 및 역할 확대를 요구하고 통제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셋째, 한국군이 조건을 충족하는 능력 확보를 위해서 미국산 첨단무기 구매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넷째,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여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를 추구했다. 다섯째, 미국은 미군과 유엔군을 한국군 사령관의 작전통제 하에 두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가 얻어낸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은 기대 이상의 협상결과로 평가할 수 있지만, 3개의 전환조건이 모호하여 추가 협상의 여지를 남기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여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대해 후속 협상을 계속하였지만, 결국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미가 목표시기에 기반한 전작권 전환에서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으로 합의를 이룬 만큼, 전환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발전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 향후, 이 논문의 사례분석이 추가 협상의 여지가 많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포함한 한미 주요 현안에 대한 비대칭협상에서 한국 정부의 효과적인 협상전략 수립 및 협상결과 분석에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 1
      •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 3
      •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 7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 론 = 1
      •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 1
      • 제2절 기존 연구 검토 = 3
      •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 7
      •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분석틀 = 11
      • 제1절 비대칭협상 이론 = 11
      • 1. 하비브의 비대칭협상 이론 = 13
      • 2. 비대칭협상 이론 적용 사례 = 21
      • 제2절 전작권 전환 역사 = 28
      • 1. 노무현 정부의 전작권 전환 합의 = 29
      • 2. 이명박 정부의 전작권 전환 연기 = 42
      • 제3절 연구를 위한 분석틀 = 53
      • 1. 종속변수(협상결과) 평가 = 54
      • 2. 독립변수(의제별 구조적 힘과 행태적 힘) 평가 = 55
      • 3. 협상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수 = 58
      • 4. 연구 분석의 틀 = 60
      • 제3장 박근혜 정부와 전작권 전환 협상 = 63
      • 제1절 협상에 영향을 주는 환경 = 63
      • 1. 국제정세 = 63
      • 2. 미국의 대외정책 = 67
      • 3. 북한의 위협 = 69
      • 4. 국내정세 = 73
      • 제2절 전작권 전환 협상 전개 및 결과 = 88
      • 1. 박근혜 정부의 전작권 전환 정책변화 = 88
      • 2. 박근혜 정부와 오바마 정부의 협상 과정 = 92
      • 3. 협상 결과: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 = 105
      • 제4장 한미 정부의 전작권 전환 비대칭협상 분석 = 113
      • 제1절 2013년 10월 SCM 이전 미국 의존 협상 = 114
      • 1. 한미 정부의 초기 협상력 = 114
      • 2. 한국 정부의 협상전술과 미국 정부의 대응 = 116
      • 제2절 2013년 10월 SCM 이후 한국 주도 협상 = 124
      • 1. 한국 주도 협상 전환 = 124
      • 2. 한미 정부의 협상력 변화 = 125
      • 제3절 협상결과 분석 및 평가 = 135
      • 1. 박근혜 정부의 협상전술 분석 = 135
      • 2. 오바마 정부의 의도 분석 = 137
      • 3. 협상 성과 및 한계 = 142
      • 제5장 결 론 = 147
      • 참고문헌 = 152
      • 부록 = 162
      • ABSTRACT = 1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